간행물

사교육연구 The Journal of Private Tutoring Research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1권 제1호 (2021년 10월) 3

1.
202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기영어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원어민 강사를 대상으로 조기영어교육기관의 특성과 근무환경, 직무 만족 및 직무몰입에 대한 인식과 차이를 조사하고,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원어민 강사의 업무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원어민 강사가 제공하는 교육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조기영어교육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기영어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원어민 강사 2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15명에게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영어교육기관 특성에 대한 원어민 강사의 인식은 아동의 애착과 존경이 가장 높고 협력수업에 대한 인식이 뒤를 이은 반면, 의사결정형태 및 직무연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어민 강사의 근무환경과 개인배경에 따른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은 조기영어교육기관의 근로자 수와 원어민 강사의 한국어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에는 조직공정성, 상사의 직무역량, 상사의 의사결정형태, 동료지원, 아동의 애착과 존경이 영향을 미치고, 직무몰입에는 상사의 의사결정형태, 아동의 애착과 존경, 직무만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 수준을 높이고, 이를 통해 조기영어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수준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조기영어교육기관, 기관 내 상사 및 협력강사, 원어민 강사의 노력이 요구된다.
6,600원
2.
202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원강사의 역할수행이 중・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수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서 학원강사들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중・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 및 수학 학습태도를 향상하려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원에서 수학 과목을 수강 중인 중・고등학생 7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원강사의 역할수행은 학습지도> 학급운영> 생활지도≥ 보충지도> 상담지도> 진로지도의 순이고, 학생의 회복탄력성은 긍정성>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의 순이며, 학생의 수학학습태도는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 교과에 대한 태도 >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강사의 역할수행은 학년과 수강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고, 중・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은 성별, 학년, 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수학학습태도는 학년, 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은 성적이 높을수록, 학원강사가 생활지도, 상담지도, 보충지도를 잘한다고 인식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등학생의 수학학습태도는 학원강사가 진로지도를 잘하고, 학생의 자기조절 능력 및 긍정성이 좋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500원
3.
202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원구성원의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학원교육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원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395명)와 심층면 담(12명)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에서는 생리적 욕구가, 직무환경에서는 학생환경이, 직무만족에서는 직무자체 만족이, 직업정체성에서는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원구성원의 개인배경 에 따라 욕구수준, 직무환경, 직무만족, 직업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원구성원의 직 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원장환경, 동료환경, 시설환경, 업무환경이고,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생리적 욕구, 애정소속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직무만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원 차원에서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을 고려한 인사관리와 직무환경에 대한 개선을 통해 학원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학원구성원 차원에서는 전문성 향상 및 사명감 제고를 통해 직업정체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6,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