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다면적 사회 맥락에 대해 살펴보고, 사교육과 공교육의 특성을 비교해봄으로써 사 교육에 대한 개념화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부가 지속해서 ‘사교육 경감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도 불구 하고 사교육시장 규모 및 사교육 문제가 경감되지 않고 있는 맥락은 무엇이며, 사교육의 어떤 특성이 이러한 맥락을 유 지하도록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사교육의 본질적인 특성과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였고, ‘그림자 교 육(shadow education)’으로 개념화되어 있는 사교육을 ‘사적인 교육(private tutoring)’으로 재개념화하였다. 사교육에 대한 개념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은 공교육 및 공교육 보충 교육(방과후학교, EBS 교육 방송) 이외의 교육 서비스이고,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학원, 학습지, 온라인 사교육, 개인과외 등이 있다. 둘째, 사교육은 경제적, 사회적, 문 화적, 교육적, 역사적, 정치적 요인 등 다양한 다면적 사회 맥락이 밀접하게 연계된 수요와 공급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서 비스이다. 셋째, 사교육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만족 극대화를 추구하는 가운데 사적으로 거래되는 교육 서비스이다. 넷째, 사교육은 수월성의 가치를 우선시하고,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학생 중심적인 교육 서비스 이다. 다섯째, 사교육은 시장경제의 원리에 기반하여 영리를 추구하는 시장친화적인 교육 서비스이다.
본 연구는 학원강사들이 지각하는 조직지원인식(학원지원, 상사지원, 동료지원), 직무열의(활력, 전념, 몰두), 조직시민 행동(학원지향, 동료지향, 고객지향)에 대한 인식과 개인배경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조직지원인식과 직무열의가 조직 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원 내 조직지원의 수준을 높이고, 학원 강사의 직무열의 및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학원의 경영 안정화 및 교육적 기능 강화에 도 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원에서 초·중·고등학생들을 지도하는 학원강사들을 대상으로 구글(Google) 설문지를 활용하여 총 35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4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조직지원인식,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은 보통이었다. 다만 학원강사의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지원인식과 직무열의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 배경 에 따른 조직지원인식,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인식은 성별, 연령, 근무기간, 소속계열에서는 차이가 없는 반면, 학력, 직급,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지원인식의 학원지원, 상사지원, 동 료지원이었고,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지원인식의 동료지원과 직무열의의 전념, 몰두였다. 결론적으 로 학원강사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영자 및 상사가 학원강사들에게 물질적, 정서적 지원을 하여야 하고, 동료 간에 상호이해 증진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동료지원이 중요하고, 학원 강사가 직무에 전념하고 몰두할 수 있는 ‘행복한 일터’ 환경의 조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사람과 조직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환경 내에 존재하는 가치 있고 우수한 요인을 협력 기반의 질문을 통해 찾아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변화의 방법인 Appreciative Inquiry(긍정적 가치탐색)를 활용하여 사교육기관의 지속가능경영 연구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긍정적 가치탐색 방법이 소개된 1986년 이후 의 국내외 문헌을 웹 기반 전자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총 321건(국외 298편, 국내 23편)을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지속 가능한 사교육기관의 교육 경영을 위해서는 문제 중심의 접근법이 아닌 가치와 강점 중심의 접근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 다. 사교육기관의 지속 가능한 변화와 발전을 위한 가치 중심적 접근과 연구의 중심에는 긍정적 가치탐색이 있다. 사교 육기관은 긍정적 핵심 가치탐색과 활용을 통해 이상적인 교육 경영 모델을 수립하고, 이해관계자들의 의미요소를 파악하 여 소통방안을 마련하며, 기관과 기관 종사자들의 강점과 장점 및 우수요인과 성공 경험을 통해 발전 전략을 세우고, 기 관의 잠재력 활용과 적극적인 구성원들의 참여를 통한 효용성 있는 협력체계를 구성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