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KCI 등재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3권 2호 (2018년 12월) 8

1.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ock bream iridovirus (RBIV) is a megalocytivirus widely infected in various fish species in Korea, causing symptoms of acute inflammation and enlargement of spleen. In our previous study, RBIV induced the initial upregulation but later down-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IFN1 gene expression. Signal transducers and activators of transcriptions (STAT) are transcription factor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immune genes including IF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expression of STAT2. The expressional study of STAT2 gene was performed in head kidney and spleen upon RBIV infection and immune stimulants like LPS or poly I:C in vitro. Consequently, STAT2 gene expression pattern was different in head kidney and spleen as it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LPS from 4 h to 8 h but down-regulated at 24 h while up-regulated by poly I:C at 8 h in head kidney while, in spleen, STAT2 gene expression was down regulated by LPS but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poly I:C. Upon RBIV stimulation, STAT2 gene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by high dose RBIV at 4 h but up-regulated at 8 h and 24 h in head kidney. In spleen cells, it was up-regulated by medium dose RBIV at 4 h and by high dose RBIV at 4 h and 8 h but down regulated later then. In vivo, STAT2 gene ex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RBIV infection while significant up-regulated by vaccination at day 7 post-vaccination, indicating STAT2 gene can be involved in adaptive immune response in rock bream.
4,000원
2.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온의 변화는 어류의 거의 모든 생리학적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기후 변화로 인한 수온의 상 승은 어류에게 물리적 피해를 줄 수 있다. 이 연구는 최적의 수온(15°C)보다 높은 수온(20°C)에 서의 대서양 연어의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간 조직은 열 적응에 중요한 대사 기능을 발휘하기에 본 연구에 간 조직을 사용하였다. 생체지표유전자의 개발을 위한 분석 방법 으로는 NGS RNAseq 방법을 사용하였고, 생체지표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기 위한 분석 방 법으로는 RT-qPCR을 사용하였다. NGS RNAseq 분석을 통해 1,366개의 차별적 발현 유전자를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서 880개의 증가하는 유전자와 486개의 감소하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생체지표유전자로는 heat shock protein 90 alpha (Hsp90α), heat shock protein 90 beta (Hsp90β) 및 cytochrome P450 1A (CYP1A)을 선정하였는데 이들 유전자는 NGS RNAseq 분석에서 수온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유전자들이었다. 이들 유전자의 RT-qPCR을 통한 발현 양상은 NGS RNAseq 분석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른 어종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산업 적으로도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3.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갯벌의 건강 수준에 대한 평가는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건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생체지 표유전자의 발현 분석을 통하여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건강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 의 목적은 heat shock protein 70 (Hsp70), heat shock protein 90 (Hsp90),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 및 thioredoxin (TRX)과 같은 생체지표유전자를 이용하여 서해안 갯벌의 건강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들 유전자는 스트레스, 면역 및 항산화 관련한 유전자들로서 이들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생물의 건강 정도를 관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의 8개 정점에서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을 수집했다. 유전자의 발현은 RT-qPC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Hsp70, Hsp90, GST 및 TRX 유전자들의 발현이 8개 정점에서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Hsp90 및 GST의 발현 또는 Hsp70 및 TRX의 발현은 유사하였다. 이것 은 각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화학적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분석에 적합한 유전자를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결과는 Hsp70, Hsp90, GST 및 TRX 유전자는 갯벌의 건강을 평가하기 위한 생체지표유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4,000원
4.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온, 염분, 사육밀도 및 혼합 먹이생물 공급량과 같은 환경요인이 왕우럭 Tresus keenae의 유생사육 시 생존 및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왕우럭 유생사육의 최적 조건은 수온 20℃에서 24℃, 염분 30 psu, 사육밀도 1 ml당 5개체 및 먹이생물 I. galbana, C. simplex 및 T. suecica 혼합 공급량 10×104 세포/ml이였다. 본 연구 결과 를 통해 밝혀진 왕우럭 유생 최적의 사육 환경요인은 빠른 성장 및 높은 생존을 통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4,000원
5.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은은 다양한 산업활동에 사용되어 해양 환경 내에 지속적으로 유입되며 먹이사슬을 따라 축 적되며 생물체 내로 유입 시 해양 생물의 성장, 발생, 생식, 대사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수산 물벼룩 Diaphanosoma clelbensis에 대한 수은의 급성 독성과 산화적 스 트레스 지표(총 glutathione 함량, GST, GR, GPx 활성)를 이용한 항산화 반응을 조사하였다. 24시 간 수은을 노출시킨 결과 생존율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24시간 LC50 값은 0.589 mg/l (95% C.I. 0.521~0.655 mg/l)로 나타났다. 수은(0.08과 0.4 mg/l)을 24시간 노출 시킨 D. celebensis에서 총 glutathione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GST, GR, GPx 활성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은 노출에 의해 D. celebensis 에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되었음을 의미하며, 이들 산화적 스트레스 지표의 변화는 세포 내에서 방어기전으로 작용하였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D. celebensis에서 수은 독성의 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중금속 오염된 해양 생태계 모니터링과 해양 생물의 건 강성 평가에서 이들 분자지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4,000원
6.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ibration on primary (e.g. plasma cortisol), secondary (e.g. plasma gluco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Na+, K+ and Cl- and tertiary (e.g. mortality) stress responses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For this purpose, three groups (including one control group and two stress groups) were set up. The control group was made exposed to vibration corresponding to 48 decibel (dB, V) (produced using electric vibrators) for 15 minutes per hour every day, and the two stress groups was made exposed to vibration corresponding to 58 and 68 dB (V) (produced using the same electric vibrators), equally, for 15 minutes per hour every day. Blood was sampled at day 0 (before starting vibration stress tests, BS), and days 1, 3, 5, 7, 9 and 11 (after starting vibration stress tests). As a result, plasma cortisol showed trend to continuously rise by consecutive stress from 4.1±0.1 ng/ml in BS. In 48 dB group (control), cortisol showed the highest level with 7.6±0.9 ng/ml after 7 days (p <0.05), but at 9 and 11 days was not significantly compared with BS level. In 58 dB group, the cortisol showed the highest level with 43.1±4.8 ng/ml after 1st day. Cortisol of 68 dB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14.4±2.3~32.0± 5.7 ng/ml) (p<0.05). In 58, and 68 dB group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differed significantly compared to 48 group (p <0.05). Glucose in 48 dB were increased from 42.0 ±5.7 (BS) to 52.5±2.1 (1 day), the level was not significantly from 1 to 11 days. Glucose in 58 and 68 dB group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BS during experimental period (p <0.05). K+ in 68 dB increased significantly (p <0.05) from 2.3±0.2 mE/ql (BS) to 3.3± 0.5 mE/ql at 5 days. In 48 and 58 dB group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differed significantly (p <0.05). Na+ and Cl- levels were not differed significant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ST and ALT in 58 and 68 dB groups showed trend to continuously rise by consecutive stress. At 7 and 9 days in AST, between 48, 58 and 68 dB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p <0.05). In 48, 58 and 68 dB groups at 1 day, blood hematocrit increased significantly higher than BS. The 11 days after vibration stress, the mortality in 48, 58 and 68 dB groups was 1.1, 5.1 and 5.8%, respectively. The present results have shown that A. japonica exhibited ''typical'' physiological responses when exposed to chronic vibration stress. These data suggested that chronic vibration stress caused substantial stress in the fish; especially the persisting elevated plasma AST and ALT levels observed would be expected to adverse effect. In conclusion, chronic vibration stress could greatly affects the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in A. japonica.
4,000원
7.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effects of starvation on physiological changes, stress response, and survival of cobitid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exposed to sodium nitrite (NaNO2), a 4- week experiment was conducted. Fewer fish survived in the starved group than those in the fed group during the experiment. Starvation resulted in growth retardation, leading to differences in body length and body depth between fed and starved groups. The fed gorup continued to grow and remained in good condition. Blood chemical analysis (plasma cortisol and gluco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response to nitrite exposure between fed and starved groups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l parameters employed in this study to assess effects of starvation with NaNO2 stress are useful information for researching nutritional status in cobitid loach.
4,000원
8.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간흡충(Clonorchis sinensis)은 우리나라에서 인체 감염율이 가장 높은 기생충이며, 이는 담수어 류를 중간숙주로 삼는다. 따라서 강 유역에 서식하는 담수어류를 대상으로 간흡충의 메타세르 카리아(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e, CsMc)가 감염되어 있는지를 조사한 연구가 많이 수 행되었으나 호수에 서식하는 물고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인 공호수인 소양호, 남양호, 안동호, 춘천호에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잉어과어류를 채집하여 CsMc의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생흡충류의 메타세르카리아는 남양호에서 채집한 치리 및 붕어와, 소양호에서 채집한 피라미와 끄리에서 관찰되었다. 간흡충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사 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남양호의 치리에서 관찰된 것이 CsMc 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요 인공호수에 서식하는 잉어과어류에서 CsMc의 감염 실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하고 있으며, 남양호의 치리에서 CsMc 감염을 처음으로 보고하고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