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21.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균질한 중립 상태에 있는 대기층에서 발생되는 바람의 특성을 재현하는 것이다. 이를 판단하기 위하여 표준 k-ε난류모델을 이용하여 해석 영역을 통과하는 기류가 입력한 특성으로부터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본다. 네 가지 지표조도에서 정의된 KBC-2009 기준의 멱지수 형식인 평균 풍속과 회귀 분석으로 결정한 자연로그 형식의 평균 풍속을 적용하였다. 기준을 이용한 난류 운동에너지 k 및 소산률 ε을 표준 모델로부터 유도한 근사해를 이용하여 풍속과 상응하게 입력하였다. 표준 k-ε 난류모델에서 3개의 상수와 지표 경계조건 등을 지표조도에 따라 변화시켰다. 제안된 두 형식으로부터 큰 차이 없이 기준의 기류 특성들은 CFD에서 적절히 재현되었다. 로그 형식의 입력이 멱지수 형식에 비교하여 입력 성질이 약간 더 효과적으로 유지되었다. 부드러운 지표조도일수록 기류의 특성이 효과적으로 재현되었다. 지표 경계에 접한 첫 번째 유체요소 안에 적절한 지표조도를 반영한 경계조건이 필수적이었다.
        4,000원
        2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억새의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발생 캘러스 유도시 첨가되는 auxin으로는 2,4-D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3 mg/L 2,4-D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발생 캘러스가 가장 높은 빈도로 유도되었다. 식물체 재분화는 배발생 캘러스를 1 mg/L 2,4-D와 2 mg/L BA가 첨가된 재분화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높은 재분화효율
        4,000원
        24.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들잔디의 최적 조직배양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들잔디 성숙종자로부터 재분화능이 높은 배발생 캘러스 유도효율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성죽종자의 소독은 30% (v/v) NaOCl 농도로 60분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낮은 오염율과 가장 높은 캘러스 유도 효율을 보였다. 옥신류의 혼용처리에 따른 배발생 캘러스 유도효율은 2,4-D와 diacamba를 각각 3 mg/L로 혼용처리 하였을 때 가장 높은 배발생 캘러스 유도효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25.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는 기상학적으로 연중 총강수량의 약 2/3가 6~9월에 편중해서 내리고 있고, 지형적으로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로 구성되어 경사가급해 수해를 입을 가능성이매우 크다. 또한 산업화 및 도시화로인해 불투수층의 증가로 강수량의 대부분이 직접유출로 기여해 강우초기에 노면상의 오염물질을 급속히 하천으로 이동시켜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위락시설지역은 도시화에 따른 인구집중으로 지역민들에게 휴식공간 및 공원기능의 제공으로 비점오염원의 이동능력도 증
        27.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공신경망 이론을 이용하여 강한 비선형성의 경향을 보이고 있는 강우-유출간의 관계를 모형화하기 위한 연구들은 예측뿐만이 아니라 대상자료들의 양상을 분류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는 데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패턴분류를 위한 SOM(Self-Organizing Map: SOM)의 연구 결과를 검토해보면 SOM 훈련을 위한 지도크기 및 배열의 결정은 SOM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지도크기 결정시 지도의 종방향 크기와 횡방향 크기를
        28.
        200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6~13 ㎎/L base water concentration on monthly BOD has been kept at the Geukrak bridge point for this research target and it indicates the water quality under the existed rank. Due to this present condition of water quality, the demage of ecology from the upper stream to the lower one of the bridge could be conjectured. Moreover, nonstructural extinction of the ecology seems to have gotten worse between both the streams of Yeoungsan River. On this research, eco-corridor between the upper stream and the lower stream of the river should be ensured, the ecological demage needs to be cut off, a dispersed discharge method which the existed method of the 1st sewage plant in Gwangju was enhanced to should be inducted for the procuring of various water ecosystem, and the conditions by the scenario suggested from this research could be applied to a water quality model. then, analysis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water quality adjacent the river. From the test result, Case3-Type1 scenario is thought to be the best one. From the test result with Case3-Type1, when the concentrated discharge was never done, 0.07 mg/L of BOD concentration was increased at the lower stream where Yeoungbon B point (Haksan Bridge) is but the water improvement effect of 0.24~2.87 mg/L is thought to have been done at the area of water deterioration.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