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21.
        1992.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sbauer 분광법으로 비정질 Fe32Ni36Cr14P12B6의 자기적 성질을 연구하였다. 88K의 스펙트럼 분석에 의하면 초미세 자기장의 값은 140.5kOe이며 사중극자 분열은 거의 0의 값을 같는데 이는 초미세 자기장이 전기장 기울기 주축에 대해서 무질서하게 나열함을 의미한다. 시료의 Tc는 280K이고 상자성 온도 영역에서는 사중극자 분열값은 온도에 무관하게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냈다. 되튐없는 확률로부터 시료의 Debye특성 온도 288K를 얻었다.
        4,000원
        22.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3.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콜라겐 펩타이드(collagen peptide)는 단백질의 가수 분해물로서 주름 완화, 보습력 증대, 탄력 개선 등의 특정 피부 효능을 나타낼 수 있어 화장품 혹은 피부 개선 기능식품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γ -aminobutyric acid (GABA)는 척추 동물의 뇌, 척수에 존재하는 신경전달 물질로서 수면의 질과 양을 개선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콜라겐 펩타이드와 GABA의 복합물이 수면 장애가 있는 여성에게 8주 경구 섭취를 통해서 수면 및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 확인하였다. 복합물(J85091900)은 8주간 연속 적으로 섭취 시, 수면장애지수(PSQI)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수면 시간을 7% 증가시켰다. 또한, 피부 거 칠기, 눈가 주름 및 피부 수분량(capacitance)을 유의적으로 개선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콜라겐과 GABA의 복합물은 복합 수면 장애에 따른 피부의 노화 현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먹는 화장품의 핵심 소재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24.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에는 콜라겐 펩타이드가 항상화효과를 통해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한다는 연구가 보고되고있다. 본 구는 저분자 경구 콜라겐 펩타이드가 1550 nm fractional photothermolysis 레이저 치료 후 피부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실험에 참여한 환자는 총 10명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각 5명씩 무작위배정되었다.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동일하게 fractional photothermolysis 레이저를 시술받았다. 실험군에서는 경구 콜라겐 펩타이드를 하루에 1,000 mg씩 총 8주간 복용하였다. 치료 전후 모든 환자에서 피부의 탄성도, 경표피수분손실도, 홍반지수를 측정하였다. 피부탄성도는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피부의 탄력성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p < 0.05). 경표피수분손실도는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홍반지수는 실험군에서 더 빨리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평가에서 시술 4주 후 환자의 만족도는 실험군에서 평균 2.0점, 대조군에서 1.2점으로 나타났다.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는 1550 nm fractional photothermolysis 레이저 치료 후 피부회복 촉진에 도움이 된다.
        25.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쿠메스트롤은 식물이 스트레스에 대항해 합성하는 phytoalexins의 일종으로, 알팔파 새싹, 클로버, 콩나물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쿠메스트롤의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진피세포 광노화 예방 효능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쿠메스트롤 전처리는 자외선 B 조사에 의해 감소된 Sirt1 단백질 발현 및 활성과 하위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관련 유전자인 PGC-1α, NRF1, TFAM의 발현 변화를 감소시켰다. 또한, ATP 및 ROS 생성량을 정상화시키고 피부 노화를 유도하는 최종당화산물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쿠메스트롤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진피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손상 및 이에 따른 당화 단백질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광노화 현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6.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금까지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는 인간의 피부에 유용한 녹차 카테킨 중에서 가장 강력한 항산화 성분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팀은 용매, 온도, 압력 등 다양한 조건을 변화시키며, 멸균과정(autoclaving) 중에 발생하는 이성질체화(epimerization) 과정을 연구하여, gallocatechin-3-gallate (GCG) 함량이 크게 증가된 열전환-EGCG-복합체(heat-epimerzied-EGCG-mixture, HE-EGCG-mix)를 순수한 EGCG로부터 조제 하였다. 이러한 열전환-EGCG-복합체는 무모쥐 SKH-1을 이용한 실험에서,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 시에 인보루크린 7 (involucrin 7) 단백질의 발현량을 EGCG 처리 시보다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GCG는 PPAR-α에 대한 전이활성(transactivation) 효과가 EGCG보다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열전환-EGCG-복합체에 함유된 고함량의 GCG 성분에 의해서, 피부 장벽 손상 회복 시 PPAR에 의해 매개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분화가 더욱 촉진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EGCG의 C-2 에피머(epimer)인 GCG는 녹차 카테킨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용도의 화장품과 건강식품 개발 시 주요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27.
        2003.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율무, 옥수수, 메밀, 표고버섯, 당귀, 감초 및 대추의 물추출 혼합물(13 : 50 : 15 : 2 : 5 : 5 : 5, v/v) 이 쥐 혈청과 피부의 testosterone(T) 및 dihydrotestosterone(DHT) 함량과 간독성 및 생화학적 및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일 9 mL/kg-BW 씩 음용수에 섞어 SD(Sprague-Dawley)계의 흰쥐에 5주 동안 투여하였으며, 5-a -reductase의
        29.
        196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시험은 비옥도가 중위로 보이는 유기공함량 5.0%, 전질소함량 2.8%, 인산 166ppm, 가리 1.13me/100g 및 규산함량 3.9ppm이 되는 논에서 고수준의 인산시용의 효과와 아울러 완숙 ?퇴비에 중과인산석회의 혼적에 의한 인산질강화퇴비의 시용이 수도의 생육과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저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산의 효과는 10a당 5kg, 7.5kg 및 10kg의 시용구간에 수량과 그밖에 수량 구성각요소들은 유의차가 없으며 인산증시의 효과가 없었다. 2. 완숙한 볏짚퇴비 1000kg/10a 시용과 인산 5kg, 7.5kg 및 10kg/0a 시용구간에 현미수량은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으나 수치적으로는 퇴비 1000kg/10a 시용구 220kg 인산 5kg/10a시용구 232kg, 7.5kg/10a 시용구 266kg 및 10kg/.0a시용구 243kg을 냈다. 3. 인산비료 즉 중과인산석회와 비료를 수도에 시용하는 경우에는 시용전에 그들을 미리 혼적하여 두었다가 시용한 것이 수량구성각요소가 증수의 방향으로 발현되며 현미량이 증대하였다. 4. 인산과 퇴비시용에 있어서의 교호작용은 각수량구성요소에 따라 구구하였는데 수량에 있어서는 인산과 비료를 병용하는 것이 유리함을 인정하였다. 5. 이 시험의 10개처리구중에서 현미수량이 가장많았던 것은 10a당 인산 7.5kg과 퇴비 1,000kg을 3개월간 혼적해두었다가 시용한 구와 인산 5kg과 퇴비 1.000kg을 마찬가지로 3개월간 혼적해 두었다가 시용한 구가 가장 많았다. 6. 이 시험에서 퇴비의 시용은 등열율을 높이는데 효과가 컸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