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 부생가스 중 파이넥스 공정에서 발생하는 FOG는 CO2 (46.6%) 및 CO (30.3%)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주로 저효율 열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고순도의 CO2와 CO는 화학원료로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경우 온실가스 절감 및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5-(2,5-dioxotetrahydrofuryl)-3-methyl-3-cyclohexene-1,2-dicarboxylic (DOCDA)와 4,4'-Oxydianiline (ODA)를 이용하여 선택성이 우수한 DOCDA-ODA 폴리이미드를 합성하였고, 이산화탄소의 투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산화탄소 친화성이 좋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DOCDA-ODA에 도입하여 폴리이미드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바이오파울링은 정삼투 공정(FO)에서 비가역성 오염을 야기한다. 바이오파울링 성장과정에서 미생물은 신호전달물질(AHL)의 분비를 통해 의사소통하며, 이를 쿼럼 센싱(QS)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Rhodococcus sp. BH4의 용해액에 있는 AHL 분해효소(quorum quencher; QQ)를 이용하여 FO에서의 바이오파울링을 저감하고자 한다. QQ 물질 유무에 따라 P.aeruginosa 종의 막 표면의 바이오필름 성장 및 부착량을 비교한 회분식 실험에서 10mg/L의 QQ 물질이 AHL을 70% 이상 분해함을 확인했다. FO 장치를 이용한 실험실 규모의 연속 실험에서는 10mg/L의 QQ 물질 존재 시 체외 고분자물질(EPS)이 대조군에 비해 80% 이상 감소했다. 위 연구를 통해 QQ가 FO에서 바이오파울링을 저감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련 과정 중 발생하는 폐황산에는 다양한 희소금속들이 포함되어 있으나, 공정수에서 희소금속 회수가 처리기술 부족으로 중화되어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습식제련공정에서의 모액(침출액)은 황산(10~15%) 용액 상태이며, 모액중의 유가금속 (Cu, Zn 등) 및 희소금속(In, Se, Re 등)은 보통 수 ppm에서 수 % 단위로 용해되어 있다. 희소금속은 첨단소재로서의 가치가 높고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공정수에서 희소금속 처리 기술 부족으로 폐 황산 속 희소금속은 중화되어 폐기되고 있다. 희소금속 처리기술로서 분리막 공정을 희소금속 회수에 적용하면 효율적인 분리/농축을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산성이 뛰어난 방향족 모노머인 메타페닐렌디아민과 파라페닐렌디아민, 지방족 아민모노머인 피페라진와 블렌딩하여 계면중합을 실시하고 물성을 평가한다. 그리고 제조된 분리막의 내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5 wt% 황산용액에 침지한 후 투과성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lay를 고분자와 복합하여 전기방사법을 이용해 나노섬유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다양한 친·소수성 고분자에 균일하게 clay를 nanofiller로 첨가함으로서 일반적으로 나노섬유 자체가 보여주는 취약한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증가시켜 수처리 막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고분자와 clay간의 interaction이 제조된 복합막들의 특성에 어떤 영향을 나타내는지 고찰해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nanofiller를 활용한 다양한 나노섬유 복합막의 제조 및 나노섬유의 물리적 특성을 보완 하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Hummer`s method를 개선하여 GO를 합성하였다. 전기방사법으로 GO + PAN 나노섬유 복합체 막을 제조하였으며, 표면특성· 인장강도· Flux 및 단백질 제거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GO+계면활성제, rGO로 PAN 나노섬유 복합체 막을 제작하였으며, 물리적 강도 측정 및 염 제거 실험에 활용하였다. GO나 rGO를 함유한 PAN 복합체 분리막의 경우 기계적 특성뿐만 아니라 단백질 및 염 제거에 효과적인 특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폐수 속의 유기물질 제거에 효과적인 분리막 연구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리막 장치는 액체, 기체의 물질분리를 위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어 왔다. 특히 액체 분리에 적용되는 분리막 장치는 수처리분야, 화학산업공정, 바이오산업공정, 의약분야 등으로 확장되면서 분리정제 공정에 보편적인 기술로 자리잡았다. 분리막 공정은 막 특성상 분리되는 물질에 따라 다양한 막힘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막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막과 시스템이 발전하여왔고, 시스템 분야에서는 막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진동, 회전, 와류 등을 이용하여 막표면에 발생하는 막힘현상을 억제하는 모듈들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고, 이런 설비들을 Dynamic filtration 설비로 구분하고 있다. Dynamic filtration 설비들 중에서 특히, 와류를 이용하는 Anti-Fouling Membrane System(FMX)은 고농도 고점도 특성을 갖는 용액에서 물질을 분리하는 성능이 우수하여, 최근 급성장하는 바이오산업분야의 생산공정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About 130 million tons of ethylene and 55million tons of propylene have been produced every year in the world and thus, olefin production process is very important in the chemical process. Cryogenic distillation process has been used for olefin/paraffin separation commercially. but the process has been extremely high energy-consuming; about 20% of the energy of petrochemical industry have been consumed. Facilitated transport membranes (FTMs) could be a promising alternative for olefin/paraffin separation, We have prepared dense and composite FTMs using polymeric ion complex containing AgNO3. Excellent olfein/paraffin selectivity and olefin flux with the FTMs were obtained through pure gas permeation test. A simulation program based on the obtqined results was developed , which could predict the FTMs could provide high-purity olefin at high recovery from olefin/paraffin mixtrue at one-stage process.
Although adolescents’ obesity prevalence increases recently in Korea due to Westernized dietary life, according to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physical activity decline, distorted body image and improper dietary habits are prevalent, because of excessive obsession with weight control, deriving from psychological impacts including appearance supremac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health oriented awareness and attitude related with dietary habits targeting adolescents, such as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younger than 24, from May 11 to May 29, 2015. In this study, 280 questionnaire copies were collected out of 300 distributed questionnaire copies, and used 269 copies as analysis data, except 11 copies of which responses were inadequ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dietary regularity than the college students. Especially, 95.5% of the college students showed very high irregularity of lunch, compared with just 4.5% of the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adolescents showed distorted perceived body image in comparison with body mass index (BMI). As a result of examining BMI relationship, according to one’s own perception on body type, 28.6%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mselves fat, despite normal BMI, and 40.4%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mselves normal, despite low BMI. Third, health behavior activities level was higher, as the regularity of breakfast (B=1.093), lunch, (B=0.650), and dinner (B=0.765) was higher. The variable affecting the most (β =0.372) was the regularity of breakfast. As interest in weight control was higher, health behavior activities was lower. Because over-interest in weight control may be linked with improper dietary habits or weight control, a caution is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the policy and health-oriented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adolescents’ health behavior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