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41

        601.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2,800원
        602.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대구시(大邱市)의 주요 하천(河川)인 이천(梨川), 범어천(汎魚川), 칠성천(七星川), 신천(新川), 달서천(達西川) 및 공단천(工團川)의 오염상태(汚染狀態)를 조사(調査)하여 도시하수(都市下水)의 효과적(效果的)인 처리(處理)와 금호강(琴湖江)의 오염방지책(汚染防止策)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코자 하였다. 시기별(時期別) 각(各) 하천(河川)의 pH, DO, COD, 질산염 및 인산염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각(各) 지점별(地點別) 평균치(平均値)는 pH 7.3~8.2, DO 흔적~6.5ppm, COD 20.4~116.9ppm, T-N 23.2~31.7ppm, -N 18.3~27.7ppm, -N 0.08~1.89ppm, -N 0.19~1.51ppm, -P 2.50~17.28ppm이었다. 2) 지점별(地點別) 오염도(汚染度)가 가장 높은 곳은 공단천(工團川)이었으며 12개월(個月)동안의 평균치(平均値)는 pH 8.2, DO 흔적, COD 116.9ppm, T-N 23.2ppm, -N 18.3ppm, -N 1.89ppm, -N 1.51ppm, -P 17.28ppm이었다. 3) 시기별(時期別)로 비교(比較)하면 pH, DO, COD, T-N, -N의 함량(含量)과 pH는 겨울철이 여름철보다 높았으며 -N and -P의 함량(含量)은 여름철이 다소 높았다.
        4,000원
        603.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수(硬水)나 오수(汚水)로부터 청정(淸淨)하고 안전(安全)한 음용수(飮用水)를 얻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할 목적으로 한국산 점토광물(粘土鑛物)(Kaolinite, Montmorillonite)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과 이들에 의한 각종 양이온들의 경쟁흡착(競爭吸着)을 조사(調査)하였다. 양이온들간의 흡착력(吸着力)의 세기는 Kaolinite나 Montmorillonite의 두 점토광물(粘土鑛物) 공(共)히 > > > 의 순(順)이었으며 Kerr의 공식에 의한 Montmorillonite에서의 양(陽)이온 선택성계수(選擇性系數)(K)는 > , > 의 순(順)이었다. 한편 으로 포화(飽和)된 Montmorillonite의 경우 양(陽)이온의 흡착량(吸着量)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경수(硬水)나 오수(汚水) 중의 각종 양(陽)이온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除去)하기 위해서는 Montmorillonite에 을 포화(飽和)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4,000원
        604.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질(良質)의 천궁근(川芎根)을 생산(生産)하기 위한 우량품종(優良品種)을 선발하기 위한 목적(目的)으로 각(各) 주산지(主産地)의 재배산(栽培産) 종근(種根)을 수집하여 종근(種根)의 무게를 표준구(標準區)(20~25 g)와 소구(小區)(15~20 g)로 구분(區分)하여 재배(栽培)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주당(株當) 생근(生根) 및 건조근(乾燥根)의 중량(重量)은 표준구(標準區)가 92.7 g 과 18.5 g 이었으며, 소구(小區)에서는 94.5 g 과 17.0 g 이었다. 지역간(地域間)에는 울릉산(鬱陵産)이 타지역산(他地域産)에 비(比)하여 많았다. 생근(生根) 및 건조근(乾燥根)의 수량(收量)은 표준구(標準區)의 경우 906.8kg/10a와 190.2kg/10a이었으며, 소구(小區)에서는 721.2kg/10a, 165.2kg/10a으로서 표준구(標準區)의 수량(收量)이 더 많았으며, 울릉산(鬱陵産)의 수량(收量)이 타지역산(他地域産)에 비(比)하여 많았다. 회분(灰分) 및 에테르엑기스함량(含量)은 각각(各各) 3.38~3.59%와 3.67~3.87%의 범위에 속(屬)하였으며, 대전(大田), 공주산(公州産)은 회분함량(灰分含量)이, 울릉산(鬱陵産)은 에테르엑기스함량(含量)이 비교적 많았다. 표준구(標準區)에서는 주당(株當) 근중량(根重量) 및 수량(收量)은 에테르엑기스함량(含量)과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 소구(小區)에서는 회분함량(灰分含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그러므로 천궁(川芎) 재배시(栽培時)에는 종근(種根)의 무게가 20 g 이상(以上)인 울릉산(鬱陵産)을 선정(選定)함이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이 우수(優秀)한 천궁근(川芎根)을 생산(生産)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4,000원
        605.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400원
        606.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300원
        608.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질계(砂質系) 답토양(畓土壤) 유형별(類型別)로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및 Bentonite와 Zeolite를 동시(同時)에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이 수도생육(水稻生育)고 수량(收量) 및 토양개량(土壤改良) 효과(效果)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포장(圃場) 시험(試驗)하였다. 수도수량(水稻收量)은 삼요소(三要素)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에 비(比)해 삼요소(三要素)와 점토광물(粘土鑛物) 동시(同時) 전량전층(全量全層) 시용(施用)이 증수(增收)되었는데 사양토(砂壤土)에서는 Zeolite 1.0 M/T, 사토(砂土)에서는 Bentonite 0.5 M/T, 시용(施用)이 각각(各各) 5%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었고 사토((砂土)에서 Bentonite 1.0 M/T 시용(施用)은 1% 수준(水準)에서 유의증수(有意增收)되었다. 출수기(出穗期) 수도경엽중(水稻莖葉中)의 양분함량(養分含量)은 삼요소(三要素)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에 비(比)해 삼요소(三要素)와 점토광물(粘土鑛物)을 동시(同時)에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함으로써 질소(窒素)와 규산함량(珪酸含量)은 높아졌고 인산(燐酸) 및 염기(鹽基)의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또 토양(土壤)의 pH와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다소 높아졌고 유효규산(有效珪酸) 및 치환성염기(置換性鹽基)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다.
        4,000원
        609.
        198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5,200원
        610.
        198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aolinite, Zeolite 및 Montmorillonite에 Trifluralin을 첨가(添加)하여 흡착실험(吸着實驗)을 행하고 대맥(大麥)을 사용(使用)하여 점토(粘土) 현탁액중(懸濁液中)에서의 Trifluralin의 활성변화(活性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Trifluralin의 흡착량(吸着量)은 Montmorillonite>Zeolite>Kaolinite의 순서(順序)이었으며 점토량(粘土量)이 많아질수록 흡착량(吸着量)은 증가(增加)되었으나, 단위(單位) 중량당(重量當) 흡착량(吸着量)은 감소(減少)하였다. Trifluralin의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흡착량(吸着量)은 증가(增加)하였으며 각(各) 농도(濃度)에서 Montmorillonite가 가장 높은 Kd치(値)를 나타냈다. Trifluralin은 현탁액(懸濁液)의 pH변화(變化)에도 불구하고 흡착량(吸着量)의 차이(差異)는 없었다. 이는 점토(粘土) 표면(表面)에 Trifluralin이 물리적(物理的)인 힘에 의해서 흡착(吸着)된 것이라 판단(判斷)되었다. Trifluralin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대맥(大麥)의 생육(生育)은 조해(阻害)되었으나 점토광물(粘土鑛物)의 첨가(添加)로 대맥(大麥)의 생육조해율(生育阻害率)은 약간 감소(減少)되었다.
        4,000원
        611.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200원
        612.
        198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2,000원
        614.
        198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600원
        615.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2,900원
        616.
        197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618.
        197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900원
        619.
        197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