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13-year-old female lion underwent a simple mastectomy for a rapidly growing abdominal mass, confirmed as mammary adenocarcinoma after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Mammary tumors are common in domestic cats but less frequently reported in African lions. This report presents the first documented case of mammary adenocarcinoma in an African lion in South Korea. The mass was successfully excised through stable anesthesia and surgery. This report adds to the limited literature on mammary tumors in large felids and discusses the need for tailored management strategies.
Sympathetic innervation stimulates β-adrenergic receptors, triggering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 production and enhancing protein secretion in salivary gland cells. While cAMP signaling, in conjunction with Ca2+ signaling, is essential for salivary gland function, the identified cAMP-producing G-protein-coupled receptors (GPCRs) remains limited. Here, we report the presence of cAMP-producing adenosine receptors in salivary gland cells. By reanalyzing publicly available single-cell transcriptome datasets of human and mouse submandibular glands, we identified mRNA expression of adenosine A1, A2A, A2B, and A3 receptors. Additionally, we confirmed that 5’-N-ethylcarboxamidoadenosine (NECA), an adenosine A2B receptor agonist, increases cAMP levels in human salivary gland cells, suggesting a physiological role for adenosine A2B receptors. Our findings enhance understanding of adenosine’s regulatory function in salivary glands and highlight new avenues for research on cAMPproducing adenosine receptors.
This study explored how teachers could provide support to enhance students’ out-ofclass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engagement. We interviewed five Korean English teachers who used Class Card, a focal technology of this study, for their students’ self-directed vocabulary learning. Additionally, students of the interviewed teachers completed a survey on their perceptions of teacher support and MALL engagement. This study has three major findings. First, the teachers adopted either a proactive or a passive approach to promoting students’ out-of-class MALL engagement, which was influenced by their beliefs about whether teachers or students should be responsible for learning beyond the classroom. Second, all teachers provided orientation and behavioral support to enhance out-of-class MALL engagement, although the consistency and intensity in providing this support varied between proactive and passive teachers. Finally, student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teacher support reported greater out-of-class MALL engagement.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classroom-based teacher support to enhance MALL engagement beyond the classroom as pedagogical implications.
최근 몇 년 동안 높은 감도, 빠른 응답 및 쉬운 제작 공정을 갖춘 습도 센서가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여기서는 PET 기판의 깍지낀 전극(IDE)에 감지 층을 증착하여 길이 대 직경의 종횡비가 낮고 (PVP-ZnO-1), 높은(PVP-ZnO-2) PVP 개질 ZnO 나노막대 센서(PVP-ZnO)의 쉬운 제작 공정을 보고 한다. PVP-ZnO-2는 PVP-ZnO-1 센서(41,647%)에 비해 85% 상대 습도(RH)에서 99,397%의 더 높은 정전용량성 습도 감도를 보였다. PVP-ZnO-2 센서는 또한 순환 습도 조건에서 응답시간 7초 및 복구시간 10초를 나타냈다. PVP-ZnO-2의 높은 습도 감도 성능의 이점을 활용하여 다양한 호흡 정도의 정전용량 변화와 모스 부호 메시징을 시연하였다. 이 연구는 높은 표면적을 갖는 고성능 나노소재 기반 습도 센서의 엄청난 잠재력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목표로 효모 유래 MPC의 세포 생리활성을 조사하였 다. 피부 세포주에 처리된 Cu와 Zn 이온 모두 세포 독성이 확인되었지만, 정제된 MPC는 결합된 금속 이온의 세포 독성을 획기적으로 제거하였다. 게다가 특정 농도의 MPC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 율을 오히려 약 20% 증가시켰다. MPC 중 효모 펩타이드-Cu(YP-Cu)는 UVB 자극으로 유도되는 세포 내 활성산소의 양을 약 30% 정도 유의하게 감소시켰지만, YP-Zn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YP-Cu 처리는 피부 세포에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량을 2배 증가시켰고, 프로콜라겐 분비량은 1.7배 증 가시켰으며, UVB 자극에 의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 저해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했다. 결론적으로, 유리 금속 이온 자체는 세포독성 효과로 인해 화장품 소재에 적합하지 않지만, 정제된 MPC, 특히 YP-Cu는 이러한 금속 이온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상쇄하고 세포 생존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UVB 자극에 따 른 유해 효과를 완화하기 때문에 잠재적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상업은행을 대상으로 COVID-19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친 변수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표본을 대상으로 맘퀴스트지수 (Malmquist index) 생산성 분석을 실시하여 COVID-19 전후 생산성이 모두 양호했던과 모두 불량했던 그룹 으로 구분한 후, 각 그룹별로 패널 (panel) 분석을 수행하여 수익성 결정요인을 비교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OVID-19 전후 지속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한 중국상업은행 은 자산건전성이 높을수록, 수지비율이 낮을수록, 규모가 작을수록 그리고 이자수익이 높을수록 수 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하여 COVID-19를 극복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두 그룹 간 생산 성변화 차이가 은행의 경영자원 배분과 경영특성에 의한 것임을 시사한다. 향후 중국상업은행은 수 익구조 개선,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 디지털전환에 대한 적극 대응을 해나가야만 지속가능한 성장 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Scaling relations are fundamental tools for exploring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galaxies and understanding their formation and evolution. Typically, galaxies follow a scaling relation between mass and size, measured by effective radius. However, a compact class of galaxies exists as outliers from this relation, and the origin of these compact galaxies in the local universe remains unclea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compact dwarf galaxy SDSS J134313.15+364457.5 (J1343+3644), which is the result of a merger. Our analysis reveals that J1343+3644 has a half-light radius of 482 pc, significantly smaller than typical galaxies with the same brightness (Mr = −19.17 mag). With a high star-formation rate (SFR) of 0.87 M⊙ year−1, J1343+3644 is expected to evolve into a compact elliptical galaxy in a few million years. J1343+3644 could, therefore, be a progenitor of a compact elliptical galaxy. The phenomenon happened in early universe, where compact galaxies were co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