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gabenthos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10-min trawls towed at 17 stations from 2015 to 2016. The dominant species (>1% of the total density) were Stegophiura sterea (10.4%) and two subtropical species, Mactrinula dolabrata (9.0%) and Acila divaricate (8.3%), respectively. The community structure of the megabenthos fell into four groups: the southeast, the southernmost region off Jeju Island, the frontal zone of the South Sea with C3, and a diagonal area from the south coast to the western side of Jeju Island. The total numbers of species, diversity, density and biomass were higher in the C3 region of the South Sea. Environmental factor analysis showed that differences in the megabenthos community were related to depth, gravel contents, and sorting value (σ).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South Sea of Korea affect the megabenthos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Leuconostoc spp. are generally utilized as kimchi starters, because these strains are expected to have beneficial effects on kimchi fermentation, including improvement of sensory characteristics. Here, we developed a detection method for verifying the presence of the kimchi starter 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33, which is used for control of kimchi fermentation. A primer set for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designed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plasmids in strain WiKim33, and their specificity was validated against 45 different strains of Leuconostoc spp. and 30 other strains. Furthermore, the starter strain consistently tested positiv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other bacterial species in starter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Our findings showed that application of a strain-specific primer set for strain WiKim33 presented a rapid, sensitive, and specific method for detection of this kimchi starter strain during natural kimchi fermentation.
고랭지농업은 고도가 높은 지대에서 이루어지는 농업을 총칭하는데, 상대적으로 낮은 연평균 기온과 높은 강수량 등의 환경적 특성으로 인하여 독특한 농업 해충군을 가지고 있다. 강원도를 중심으로 재배되는 씨감자와 고랭지 배추 등이 대표적인 작목인데, 최근 엽채류, 아마란스 등 신소득 작물과 과수까지 그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고랭지농업 해충은 기후변화에 매우 민감한데, 고령지농업연구소에서는 그에 대응하는 방제 전략을 개발, 연구하고 있다. 살충제 저항성 관리 및 돌발해충 방제, 기후 변화에 따른 해충군의 분포 확산, 개체군의 변화 등은 물론 고랭지농업만이 갖는 여러 유용 곤충, 미생물 자원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분야와 관련 성과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Honeybees are inevitably threatened by various pathogens including Sacbrood virus (SBV) and Galleria mellonella. Recently, RNA interference (RNAi) has been suggested as a promising strategy for suppression of honey bee viruses. Also, Bacillus thuringiensis (Bt) has been widely applied for the control of lepidopteran pests such as G. mellonella.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develop dsRNA production platform using Bt. For this, the pHT1K-SBV vp1 vector which transcribes sense and anti-sense SBV vp1 gene under control of Cyt1Aa sporulation-dependent promoter was introduced into Bt strain NT0423 expressing Cry1-types toxins. SBV replication was suppressed in the worker A. cerana ingested dsRNA produced from the Bt transformant. Crystal proteins from the Bt transformant showed high level of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4th instar larvae of G. mellonella.
To verify the progenitor of B. mori, we sequenced 14 B. mori strains preserved in Korea and one B. mandarina collected in Korea and conducted phylogenetic analysis of Bombycidae using maximum-likelihood method and concatenated sequences of 13 PCGs and 2 rRNA genes. All B. mori strains, regardless of their origin, formed a strong monophyletic group, with the highest nodal support. This B. mori group was placed as the sister to the two B. mandarina collected each from Korea and Shandong, China with the highest nodal support. Finally, the remaining two B. mandarina, which were collected in Japan were independently placed as the most basal lineage of B. mori and B. mandarina group. These results appear to indicate that an immediate ancestor for the domestic silkworm strains may have been originated from China and Korea.
In this study, we developed ten microsatellite markers specific to L. angelina using the Illumina NextSeq 500 platform. Forty-three individuals of L. angelina collected from three localities in South Korea were genotyped to validate these markers and to preliminarily assess population genetic characteristics. The observed number of alleles, observed heterozygosity (HO), and expected heterozygosity (HE) at a locus ranged from 4–13, 0.211–0.950, and 0.659–0.871 in the population with the largest sample size (20 individuals), respectively, thereby validating the suitability of the markers for population analyses. Our preliminarily assessment of the population genetic characteristics indicates the presence of inbreeding in all populations, an isolation of the most geographically distant population (Seocheon), and lower HO than HE. The microsatellite markers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studying the population genetics of L. angelina collected from additional sites in South Korea and from other regions.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paper.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전북지역 오디 생산용 뽕나무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의 발생 양상과 유기농업자재에 의한 뽕나무이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부안과 익산지역을 중심으로 수확 전 발생하는 주요 해충은 뽕나무이, 미국흰불나방, 뽕나무명나방, 노린재류, 꽃매미 6종이었으며 수확 후에는 미국흰불나방, 뽕나무명나방, 총채벌레, 미국선녀벌레, 노린재류 등 5종이 발생하였다. 또한 오디 생산용 뽕나무 재배시 가장 문제가 되는 병해충인 균핵병과 뽕나무이를 동시에 친환경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리스 추출물(데리스 90%) 250배와 황토유황 500배를 혼합하여 처리하는 것이 방제효과 97.6%로 효과적이었다. 선발된 유기농업자재에 효과적인 처리시기는 4월 상·중순이며, 7일 간격으로 3회 방제하면 94% 이상의 방제효과가 있고 약해도 발생하지 않아 유기농업자재를 이용한 뽕나무이의 친환경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global biopesticide market was estimated to become about 4% of the total crop protection market in 2015, mainly due to variability of their efficacy, narrow spectrum or difficulties in long-term storage. Therefore, many people focus on overcoming these issues as a big trend. Suggested solutions include the investigation of synergy between microorganisms, the use of genetic engineering, improving the pesticide life shelf, etc. As a result, biopesticides market has grown by more than 17% over the last decade. In this context and aiming to develop new entomopathogenic fungi–based pest management tools, we constructed a fungal library by isolating insect pathogenic fungi from soil. A total of 581 isolates belonging to 35 species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Beauveria bassiana was the most abundant, representing 38.55% of the total strains, followed by Metharizium anisopliae (22.55%) and bubillosa (8.6). …% of the total isolates were highly virulent against Tenebrio molitor killing most of the treated insects in 2 to 3 days.
루비깍지벌레 Ceroplastes rubens는 감귤에 피해를 주는 주요 깍지벌레 중 하나로 연 1회 발생하며 수액을 흡즙하는 직접적인 피해와 분비된 감로로 인한 그을음병 유발의 간접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제주지역에서 루비깍지벌레 천적으로는 루비붉은깡충좀벌 Anicetus beneficus와 애홍점박이무당벌레 Chilocorus kuwanae 2종이 확인되었다. 1975년 일본에서 도입 방사한 천적인 루비붉은깡충좀벌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루비깍지벌레 발생 억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2018년 4월부터 12월까지 도내 유기재배 감귤원 (2개소)에서 황색끈끈이트랩을 이용 루비붉은깡충좀벌 성충의 시기별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월동세대 성충은 5월 중순, 제1세대와 제2세대 성충은 각각 7월 중순과 8월 하순에 발생 정점을 나타내었다. 조사 포장에서 루비깍지벌레의 기생률은 9월 중순에 9.6%와 19.6%이었다.
이리응애과의 많은 종들은 잎응애, 총채벌레 및 가루이와 같은 미소 해충의 생물학적 방제원으로 이용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칠레이리응애와 같은 포식활동이 왕성한 일부 종은 현재 농업에서 전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정 지역이나 생태계 또는 작물에 서식하는 이리응애과의 다양성 조사는 포식성 이리응애의 활용을 위한 좋은 기초자료가 된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와 관련된 자료는 90년대에 1건에 그쳐 자생 이리응애의 활용을 위한 후속 연구를 도모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부지역의 6개도 17개 시군에서 2018년 7월부터 10월까지 자생 이리응애의 발생상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29과 57종의 식물종에 서식하는 20종의 이리응애를 확인하였다. 다양한 이리응애가 서식하는 식물종은 벚나무로 긴꼬리이리응애를 포함한 6종이 출현하였다. 서식 식물종이 가장 많은 이리응애는 긴꼬리이리응애로 17종이 식물에서 출현했고, 두 번째는 긴털이리응애로 16종의 식물에서 발견되었다.
본 조사지인 돌리네 습지보호지역은 경북 문경시 산북면 굴봉산 정상부에 위치하였으며, 물이 고이기 힘든 돌리네(doline) 지형에 형성된 희귀 습지이다. 뿐만 아니라 멸종위기종과 법적보호종이 분포하는 등 생물다양성 또한 매우 풍부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습지보호지역 주변으로 과수원 등 경작지가 형성되어 있어, 관리 및 보전을 위한 조사 및 대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습지보호지역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돌리네 습지의 곤충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방법에는 곤충의 다양한 습성과 서식환경을 고려하여, Searching, Sweeping, Pitfall trap, Bucket trap으로 총 4가지의 채집방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11목 82과 188속 237종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딱정벌레목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특이사항으로 환경부지정종 51종(중복포함)이 조사되었으며, 그중 멸종위 기종 1종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돌리네 습지보호지역의 곤충상을 파악하고 관리 및 보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Nitidulidae includes 10 subfamilies and over 350 genera and 4500 species and is the largest family in Cucujoidea. We place the enigmatic subfamily Calonecrinae into the internal relationship of Nitidulidae, a comprehensive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ive gene regions (COI, 28s, CAD, H3, Wingless) for 80 taxa. We included 73 ingroup taxa representing nine of the ten currently recognized subfamilies of Nitidulidae and 7 outgroups. The phylogenetic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ior molecular studies, that include a polyphyletic Nitidulinae with the inclusion of Meligethinae and Cillaeinae and that the Calonecrinae is sister taxon to Epuraeinae. Ancestral state reconstruction of feeding behavior indicates that stem group nitiduilds were most probably sap-feeding with transitions to other feeding types independently derived multiple tim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11 microsatellite markers specific to A. crataegi using NGS to investigate the genetic relationships of A. crataegi populations from South Korea to circumferential Asian countries (China, Russia, Mongolia, and Japan). Further, two mitochondrial DNA (mtDNA) gene segments (COI and CytB) were sequenced from the samples. The population- and individual-based Principal Coordinates and STRUCTURE analyses collectively suggested that the South Korean population of A. crataegi is most differentiated from the Japanese population, whereas it was closer to Mongolian and Chinese populations. These results collectively suggest that northern populations, in particular, Mongolian populations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genetically compatible one as donee population, when the reintroduction program is launched.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paper.
A residual contact vial plus water (RCVpW) bioassay method was established to monitor insectiside resistance in field populations of the melon thrips, Thrips palmi. Resistance level against six major insecticides were evalutated in five regions to test applicability of RCVpW as an on-site resistance monitoring tool. Reduced mortality in response to six test insecticides were exhibited compared to the RDA susceptable strain showing 100 % mortality, indicating different degree of resistance. An apparently reduced mortality to emamectin benzoate and chlofenapyr was observed in some field populations, suggesting uneven distribution of resistance to these insecticides in field populations. In addition, spinosad resistance was high and widely distributed in the test regions. Synergistic bioassay revealed that cytochrome P450-mediated metabolic factor is involved in spinosad resistance in the Korean population.
Insecticide Resistant Management (IRM) and Positive List System (PLS) is the main keyword in current insect pest management. So we are trying to develop a integrated insect pests control prescription issuing system based on big data which linked National Crop Pest Management System (NCPMS). To manage the insecticide resistance, IRAC suggest some tips for effective control : choosing the effective insecticide and alteration of these insecticides based on MOA. Then, how to distinguish the effective or non-effective insecticide. Until now, bioassay is the right answer. However that is time-consuming, labor-intensive and costly process. So we have been steadily advancing molecular based insecticide resistance diagnosis for supporting and/or substitution of classical bioassay. And it will link to PLS. Here we discuss more detailed methodology of molecular based insecticide resistance diagnosis and its application for the insect pests control prescription issuing system.
선박재활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피해는 국제해운에서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져 오던 문제이다. 특히, 동남아시아 지역의 선박재활용 환경 문제는 유럽 및 선진국에 소재한 선박소유주들로부터 비롯되고 있다는 여러 보고들이 최근 유럽의 비정부기관과 사회단체들로부터 발표되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러한 환경피해를 막기 위해 여러 가지 국제 및 지역적 규제를 개발해오고 있지만, 관할권 및 제도적 한계, 그리고 선주의 의도적 법률 우회로 인해 제도적 실효성에 의문점이 많은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선박재활용과 관련된 현 국제조약 및 제도들이 선박소유자들의 편의치적 사용으로 인한 관련 제도 집행력의 부족과 선박 매매 중계자로 인한 실제 선박소유주 식별의 어려움으로 인해 그 실효성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보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국제제도 필요성에 대해 알아본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선박재활용으로 인한 환경피해를 중심으로 그 피해를 보상하기 위해 선박소유자의 책임을 국제환경법 원칙 (오염자부담원칙 및 월경(越境)피해 책임 원칙)을 통해 어떻게 부과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가상현실이란 디지털로 표현된 가상 환경을 뜻하며 인터넷 쇼핑, 아바타 등 기본적으로 디지털 환경을 일컫는 단어이며, 최근에는 머리에 장착하는 디스플레이(HMD : Head Mounted Display)의 등장으로 사용자가 현실과 유사한 환경을 직접 경험하는 체험형 콘텐츠로서 의미를 확장했다. 현재 가상현실은 게임을 비롯한 힐링 콘텐츠, 관광, 군사 시뮬레이션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HMD의 보급 또한 활발하다. 사용자가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제약이 발생하는데, 사용자의 시야가 차단되 현실공간감각이 상실된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되었던 입력장치인 키보드, 마우스 등의 사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HMD를 개발하는 개발사들은 위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가상현실 체험에 특화된 핸드트래킹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 또한 상호작용, 이동, 제스처가 손에 집중되어있어 가상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이용자의 사용자 편의가 낮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동의 문제를 아두이노를 통해 제작한 발 트레킹 디바이스로 이동을 분리시켜 해결하고자 하였다. IMU의 각속도계와 가속도계를 이용해 다리의 궤적을 측정하려 하였고, 이때 발생한 오차는 상보필터를 통해 해결하였다. 또한 기본적으로 발생하는 센싱-통신-연산 과정에서의 노이즈는 두가지 이동평균기법과 생략평균값을 이용해 안정화 시켰다. 사용자는 해당 장비와 Oculus Rift를 착용하고 Unity3d환경으로 구축된 실험환경에서 임무 수행 속도, 이동방향 오차율등을 측정해 기존 HMD컨트롤러와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컨트롤러를 비교 검증했다. 실험 결과 임무 수행 속도와 이동 오차율 모두에서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장치가 우수한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토대로 이동조작 분리가 높은 접근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HMD 이동 컨트롤러를 포함한 이후 개발되는 다양한 사용자 제스처 인식 컨트롤러에도 적용 가능할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에 맞는 음악을 생성, 재생하는 방법을 고안 하였다. 단순히 이미지를 청각화 하는 기술적인 의미 뿐 아니라 사용자의 이미지에 담긴 정서와 의도 또한 담아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사용자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어플리케이션에 원하는 물체를 그린다. 인공지능을 통해 이미지가 어떤 물체인지 판별 후, 그 물체와 이어질 수 있는 감정을 대응해 해당 멜로디의 감정과 분위기를 맞출 수 있도록 하였다. 정서에 알맞는 음정(key)를 설정한 뒤, 사용자가 이미지를 그릴 때 입력한 획순을 분석해 이를 기준으로 음계를 추출하여 선율을 생성하였다. 향후 이미지의 청각적 표현을 구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림에 대한 예술적인 이해와 의미 있는 음악을 만들어내기 위한 화성법 등의 작곡이론을 연구하여 이미지에 담긴 예술성과 의도를 음악에 담아낼 수 있는 한 가지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그림을 인식하고 판별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술과 그림 분석, 음악 생성 등의 예술 분야를 결합해 공학과 예술의 융합이라는 방향으로서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실제 대인관계에서 형성된 관계의 친밀감이 게임 플레이 시 플레이어의 게임 및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줄 것이라 보았다. 그러나 사회적 관계 정도에 따른 게임 사용자 경험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에서는 게임 플레이어의 사회적 네트워크나 팀워크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전략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 간의 사회적 관계 정도가 게임에 대한 협동심, 만족,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모바일 게임 앱 플레이테스트 실험처치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사회적 관계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순수하게 알아보기 위해 참여자의 게임 몰입(Flow)을 공변량(Covariance)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시간 전략 게임인 ‘클랜시 오브 로얄' 게임 앱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사회적 관계가 높을수록 게임에 대한 협동심과 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게임 기획 시 플레이어의 인적 네트워크와 게임 진행 방식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