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실내공간의 상부에서 일정유속이 유입하여 양측면 하부쪽으로 유출될 경우, 책상형의 가열 장애물 영향에 의한 유동장의 변화와 온도분포를 수치계산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표준 k-ε 2 방정식 모델로 난류유동장을 해석한 결과 장애물을 기준으로 상하부에는 독립적인 큰 재순환 영역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2) 유입류의 속도 변화에 따른 전제적인 유동패턴은 큰 변화없이 상사적인 분포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유입속도가 감소함에 따라서, 공간에 대한 발열체의 온도영향이 커진다. (4) Re수가 작은 범위 (10 상(4)-10 상(5)에서는 열전달이 급격히 상승하여, Re수가 10 상(5)이상이 도면 열전달이 거의 일정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belter residential environment in Apt. complex. In this study, the management consciousness of exterior spac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on the GI-SAN Apt. complex in Taegu city.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bout the exterior space of Apt. complex and analyzed by the SPSS/PC.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 The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were the cleanness factor and the arrangement factor, which have great influenced in residents image of exterior space. The dissatisfaction source of the management conditions were owing to the lake of management techniques and the discord of residents. The subject of management in the residents consciousness was the management office. In additionally, the management form by the residents were highly showed the cleaning and weeding. The main issues of their dissatisfaction about the exterior space was the lake of size, quantity of plants and rest space. The place of the most demand on management was investigated the children playground which was regarded to be the most damaged.
담배나방의 알의 고추화 담배에서의 포장내 공간분포와 식물내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식물체 1주를 표본단위로 할 때 고추포장에서의 알의 공간분포는 집중분포 유형 (a=1.3915,b=1.1648)을 보였으나 담배포장에서는 균일분포 유형(a=1.6.35, b=0.6880)을 보였다. 알의 고추 부위별 빈도는 잎(76.2%), 과실(16.8%), 줄기(6.5%), 꽃(0.45)의 순서로 대부분 잎에 위치를 하였다. 잎에서는 70.1%가 잎의 앞면, 25.2%가 잎의 뒷면에 위치하였다. 담배의 경우도 대부분 잎에 위치하였으나, 잎 앞면과 잎 뒷면이 각각 33.7%와 66.3%로 잎뒷면에 더 많이 위치하였다.
파에서 파밤나방 유충의 시기별 공간분포 양식을 충남 아산군 인주면 파 재배 단지에서 조사하였다. 유충의 발생 최성기는 8월 중순과 9월 중하순으로 2회였고 유충의 공간분포 양식은 2가지 형으로 10월의 임의 분포를 제외하고는 모두 집중 분포를 하고 있었다. 유충의 영기별로 공간 분포 양식을 분석한 결과 각 영기 모두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고 집중도는 영기가 낮을수록 높았다. 전남 광주와 무안 지방에서 기주 식물별로 파밤나방 유충의 공간 분포 양식을 조사한 결과 발생량이 많았던 고추, 대파 및 주기주 작물인 쪽파, 배추 무 등에서는 집중 분포를 하였고 녹두, 팥, 땅콩, 상치, 호박, 국화, 콩, 개비름 등 발생량이 적었던 작물에서는 임의 분포를 하였다.
우리 은하계내 field RR Lyrae 변광성의 관측자료(GCVS 4th ed. )의 특성과 이들의 공간분포 및 증원소함량 분포를 조사하였다 이들의 공간분포에서 scale height 가 H = 0.6 kpc 인 원반(thick)형과 H = 2.2 kpc 인 헬로형의 두 성분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증원소함량의 은하중심거리와 은하정면거리에 따른 변화율은 각각 d[Fe/H]/dr = −0.013∼−0.020/kpc −0.013∼−0.020/kpc (r≤20kpc r≤20kpc ), d[Fe/H]/d|Z| = -0.034 /kpc (|Z|≤10kpc |Z|≤10kpc ) 이다. 이러한 공간분포와 증원소함량의 기울기 변화는 구상성단의 경우와 비슷하게 이증진화모형을 나타낸다. 그러나 증원소함랑의 빈도분포로 보아 field RR Lyrae 변광성이 모두 구상성단에서 기원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른 生長條件(growth chamber, outdoor)과 室素施肥條件(N 0, N 60kg ha-1')에서 자란 Perennial rye- grass잎에 있어서 葉伸長率(LER)과 伸底部位의 空間的 移動 및 細胞의 伸長등을 알아보고자, 잎 基部내 伸長部位의 O~30mm에 pin처리를 하고 일정시간후 Pin hole의 이동거리로서 長을 조사하었으며 표면복 제방법에 의해 細胞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Growth chamber에서 자란 목초의 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