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는 산업의 구조가 전통적인 차원의 생산 중심에서 탈피해 다양한 문화산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한류는 우 리나라 문화산업 발전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이에 심층 한류 단체의 소비자 주도형 비즈니스 모델 구축 방안을 제시하여 부가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선순환 비즈니스 전략을 제안하였다. 한류와 향기에 대한 시장 동향을 조사하고 종합 분석을 통해 기존 한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문제점 및 발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 과 같다. 첫 번째, 한류 문화콘텐츠와 스타 마케팅을 연계하여 스타들과 한류 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두 번째, 한류와 향기 산업을 연계한 심층 한류 단계의 소비자 주도형 비즈니스 모델 구축 을 통해 경쟁력 있는 향기 브랜드를 확보해야 한다. 세 번째, 본 연구는 스타와 소비자가 교감할 수 있는 문화의 장을 형성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네 번째, 향후 한류스타 향기 제품군의 디자인은 휴대가 용이하고 교환 방식의 조향기술을 접목한 향기 모듈로 개발하고자 한다.
왕홍은 온라인상의 유명인사로서 중국에서 활동하는 파워블로거를 지칭한다. 인터넷과 스마트 폰 보급의 확대로 온라인의 접근성이 용이해짐에 따라 왕홍의 영향력은 팽창하고 있으며,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팬들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쌓은 신뢰도가 제품의 매출로 연결되면서 많은 기업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왕홍에 관한 연구로서, 새롭 게 부상하는 중국 왕홍 비즈니스에 대한 특징과 실질적인 내용을 파악해 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인 고찰로서 왕홍의 개념에 대하여 파악하고, 왕홍 비즈니스의 마케팅적 요소에 대하여 이해하며, 본론으로 서 왕홍 비즈니스의 실제적인 부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 왕홍 비즈니스는 셀럽 경제와 바이럴 마케팅의 요소 를 기반으로 온라인상에서 활약하며, 다수의 네티즌을 실질적인 구매자로 전환시킬 수 있는 영향력을 통해 상업적인 가치 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사업부문에서의 활용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특히 패션과 뷰티 부문에서 왕홍의 신뢰도는 막강한 영 향력을 지녀 향후 국내 마케팅 분야에서도 왕홍 비즈니스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될 것으로 파악된다.
부산의 해운비즈니스 산업은 항만물류 중심으로 영세하며,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산업시너지를 창출해 내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부산의 해운비즈니스 산업을 집적화하고 고부가가치 해운서비스 산업을 부산에 유치하기 위한 해운비즈니스 클러스터 집적화 단지의 조성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집적화 단지의 조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부산 및 수도권의 해운비지니스업체를 대상으로 집적화 단지의 수요를 조사하여 부산신항 중심의 명지지역에 부산 지역의 산업체와 행정기관 및 교육연구기관의 이전 집적화와 국내외 산업체 및 관련기관을 유치하는 집적화 조성 전략을 제시하고 집적화 단지의 경제적 기대효과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운기업을 대상으로 e-비즈니스 활용의 영향요인과 활용수준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신뢰성분석과 타당성분석(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어떠한 요인이 e-비즈니스 활용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도출된 9개의 독립변수와 2개 종속변수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9개의 요인 중에서 실질적으로 e-비즈니스 서비스업무 활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5개인 것으로, e-비즈니스 실거래업무 활용수준에는 4개의 요인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세계의 항만은 중국 효과 및 세계 물동량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항만 체증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선사는 선박의 대형화를 통한 물류비 절감을 위하여 기항지 항만의 축소에 따라 지역 내 항만간의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다. 항만 체증에 따라 선사는 선박대기시간비율과 재항시간 등의 항만 서비스품질 (QoS : Quality of Service)을 기항지로 선택하는 평가기준으로 활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신성장 산업의 기반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는 RFID (Radio Frequence IDentification) 기술을 항만 운영시스템에 활용함으로써 트윈리프트 갠트리크레인 (Twin-lift Gantry Crane)의 하역 생산성의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RFID기반의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을 활용하여 항만 QoS가 보장되는 유비쿼터스 항만(U-Port)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는데 있다.
최근 항만물류산업의 고부가가치화에 관한 논의와 더불어, 항만물류산업의 e-비즈니스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두드러진 연구의 성과는 아직까지 나와 있지 않은 실정이다. 게다가, e-비즈니스화의 활성화를 위한 기술적 측면에서의 여러 가지 방안들은 업계의 이용실적이 미비하여, 실효를 거두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에 주목하여, 실증적인 차원에서 인지 모델링 기법을 바탕으로 항만물류산업의 e-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출하고, 그 체계를 수립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항만물류산업의 성공적인 e-비즈니스 도입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사항들을 파악하고, 주요 핵심 사항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e-비프니스로 대표되는 비즈니스의 공간시장(Market place)화는 대부분의 산업에 파급되어 새로운 비즈니스 패러다임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으나, 항만물류와 관련한 산업에는 그 파급속도가 매우 느린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항만물류산업의 e-비즈니스화를 위해, 여러 가지 정책과 연구가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해당 비즈니스의 특성과 무관하게, 매우 일반적인 활성화 정책을 제시하거나, 혹은 특정사례에만 치중한 개별적 차원의 방안을 제안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어, 연구의 확장성 및 범용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이러한 새로운 비즈니스와 관련하여 어떤 이론을 수립하거나 혹은 그러한 이론에 바탕을 둔 연구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항만물류산업의 e-비즈니스화와 관련한 연구는 당장의 활성화방안의 수립에 앞서 오히려, 기반 연구에 해당되는 기초 작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즉, 항만물류산업의 e-비즈니스와 관련한 연구는 우선, 항만물류산업의 특성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더불어, 공간시장화의 파급에 따른 산업계의 구조변화에 대한 검토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시장화에 따라 해당산업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비즈니스 유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그러한 토대위에 e-비즈니스를 구체적으로 고려하는 수순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여기에 주목하여 공간 시장화에 따른 항만물류산업 관련 산업구조의 변화에 주목하여,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비즈니스 유형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류를 위한 이론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비지니스의 계층성과 업계의 가치사슬에 주목한 BL-VC모델을 대표적 항만물류산업중 하나인 선박급유업에 적용하여, 선박급유업과 관련한 일반화된 분류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결과에 의하면 세포질막을 제거한 정자에 외래 유전자가 묻게 되며, 이 정자는 외래유전자를 수정란내로 옮겨 매개체로서의 역할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로 수정시켰을 때 수정율은 각각 63.3%, 64.6%와 88.2∼90.0%였으며, 분할율은 각각 26.7%, 29.2%와 52.9%, 67.5%로서 ICSI법으로 수정시켰을 때 수정율과 분할율이 크게 향상되었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여러 결과에서 김치 파쇄물을 14%첨가한 구에서 물성 및 관능적 품질특성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일본음식 중 가장 높은 시식경험을 가진 것은 우동(95.3%)이었고 그 다음은 스시(93.1%), 덴뿌라(81.9%)순이었고 반면에 니쿠자가(6.4%), 오차즈께(9.3%), 오코노미야끼(11.1%), 다코야끼(16.0%) 등은 매우 낮은 시식경험을 보였다. 7. 일본음식에 대한 기호도는 우동(3.98점), 스시(3.85점), 덴뿌라(3.69점), 소바(3.43점), 스키야끼(3.12점)는 대체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낸 반면 낫또(2.68점), 오차즈께(2.76점), 오코노미야끼(2.87점), 미소시루(2.88점), 다코야끼(2.88짙) 등은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변모해 가는 우리전통 식사예절의 동향 파악이 가능하였고 가족간의 화목과 건강한 사회를 이루기 위한 가족 단란의 식사지침이 요구되었다. 한편 일본음식중에는 우동과 스시가 한국대학생들에게 가장 인기가 높은 음식임을 알 수 있었고 대부분의 일본요리에 대해 장식이 예쁘고 색채가 아름답지만 값이 비싸다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서 가격을 좀 더 낮춘다면 그 이용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낫또, 오차즈께, 오코노미야끼 등 이용도가 낮은 음식에 대해서는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요리법을 가미한다면 대중화가
본 연구는 산업계 구조변화와 그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형태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석하기 위한 이론과 개념을 수립하고 그것을 토대로 e-business를 포함한 새로운 비즈니스의 분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한 모델은 비즈니스의 계층성에 주목한 비즈니스 계층(BL)의 개념, 업계를 연계하는 가치사슬(VC)의 개념, 그리고 실세계(혹은 실 주체)와 가상공간 세계(혹은 가상주체)의 개념을 상징 하는 R/V(Real/Virtual)의 개념을 기본 프레임으로 하여 구성되었으며, 이러한 BL-VC-R/V의 조합을 통해 이론상 해당업계에서 존재할 수 있는 모든 비즈니스의 분류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개념을 토대로 e-business의 새로운 정의를 제시하였고, 산업에 본 모델을 적용하여 공간시장화에 따른 구조변화와 그에 따른 비즈니스 분류를 행하였다. 그리고, 비즈니스차원의 관점에서 최근에 거론되고 있는 e-Logistics를 새롭게 정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