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77

        602.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levels of swine manure fermented with sawdust(SMFS) and degree of the slope on productivity of corn, and nitrogen and organic matter runoff in corn cultivation soil. Main plots were consis
        4,000원
        603.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yd, the effect of the dominant follicle aspiration for the superovulatory response in HanWoo was investigated. The criterion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ominant follicle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examination. The dominant follicle was aspirated 48hr before the onset of superovulation treatment by 6.5MHz convex probe connected with a carrier and superovulation induced by FSH (Super-Ov Tyrer, Texas, U.S.A) adminstered twic a day s.c. over 4 day in a decreasing regimen. From 13 HanWoo scanned daily to determine the presence and growth of the dominant follicle, its an average diameter of 15.4mm was measured and an average diameter of corpora lutea was 18.7mm on day of follicular aspiration. In the experiment, a follicular remove by ultrasound-guided aspiration, the ovarian response was significantly enhanced when animals were superovulated in the aspiation of a dominant follicle compare with animals superovulated non-aspiration of a dominat follicle. In the aspiration of a dominant follicle donors yieleded more corpora lutea(14.44.7 vs 8.63.4) and transferable embryos(8.94.2 vs 5.42.7) than control. In cows in which the dominant follicle had been aspirated under sonographical control 2 days before superovuation, the number of corpus lutea and transferable embryo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compared with animals superovulated in the presence of a dominant follicle (14.44.7 vs 6.92.7, ; 8.94.2 vs 3.31.6). After 7 days of artificial insemination, the embryos at 7 days were cllected by uterine flushing after dominant follicle insemination, the embryos at 7 days were collected by uterine flushing after dominant follicle aspiration and superovulation treatment, and evaluated their quality by morphological criteria. Sixteen embryos with excellent and good grade were transferred into 8 recipient cows. Six pregnancies were identified at 60 and 120 days of gestation by rectal palpation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1)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ominant follicle signficicnatly affects superovulatory responses, and 2) ultrasound-guided follicular aspiration of the dominant follicle and superovuation treatment provides an accurate and procedure to increase ovarian responses in HanWoo.
        4,000원
        605.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사일리지용 옥수수와 수수 × 수단그라스에 대해서 젖소액비 시용방법에 따른 작물생산성과 토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1996년 3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2년동안 축산기술연구소 사료작물 포장에서 수행되었다. 간장에 있어서 두 작목 모두 기비로 화학비료, 추비로 액비를 시용한 구(T4)가 각각 260cm와 246cm로 가장 길었다. 반면 엽장과 엽폭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화학비료 표준구(T1)가 각각 85cm와 10.9cm로 가장 높았고, 수수 × 수단그라스에서의 엽폭에서는 T1, 엽장에서는 전량 액비시용구(T2)에서 높았다. 조단백질 함량은 두 작목 모두 화학비료표준구(T1)가 각각 6.5%와 8.9%로 높았지만, 가소화양분비율에서는 두 작목 모두 T3구에서 각각 73.8%와 59.0%로 높게 나타났다. TDN 수량에서 사일리지 옥수수의 경우, 화학비료구(9.5톤/ha)와 액비시용구(8.4~9.3톤/ha)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수량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수수 × 수단그라스 교잡종구에서는 화학비료구(T1)의 12.6톤/ha 보다 기비로 화학비료, 추비로 액비를 사용한 구(T4)가 13.3톤/ha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한편 토양중 pH는 두 작목 모두 시험전이 시험 후 보다 높았으며 유기물 함량은 시험 후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효인산 함량과 다른 양이온 함량은 액비 사용방법에 따라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토양적인 면과 영양수량적인 면을 고려할 때 사일리지 옥수수에서는 화학비료구와 액비사용형태멸로는 차이가 없었으며, 수수 × 수단그라스 교잡종에서는 기비로 화학비료, 추비로 액비를 사용한 구가 우수하였다.
        4,000원
        606.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의 거의 모든 호수는 인공호이며 그 상당수가 부 영양 상태이고 영양염류가 주로 유역의 비점오염원에서 유입되고 있어 기계적 오염원 관리가 어려운 상태이다. 본 연구는 수생관속식물을 이용한 영양물질 제거를 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팔당호 자연습지의 수생관속식물에 의한 질소와 인의 연간 총흡수량은 연간 외부 총유 입부하량의 1% 내외에 불과하나, 강우가 적은 4~6월의 시기 중 생육지에서 인의 유입대비 흡수비는 약 27%에 달하며, 탈질이나 인의 용출억제 효과를 고려할 때 수질에 미치는 수생관속식물의 역할은 매우 크다. 팔당호에서 재배된 부레옥잠의 생체량 기준 비증식속도는 0.034 ~0.086 /d, 배가시간은 8~19일, 증식의 온도계수는 1.06, 질소흡수율은 0.56~1.67 gNm-2d-1, 인흡수율은 0.10~0.33 gPm-2d-1였으며 대규모 재배지에서의 수질은 현저히 개선되었다. 부레옥잠의 지하부 건물량(U)에 대한 지상부 건물량(A)의 비(U/A)는 수중의 영양물질 농도와 함께 증가하였다. 하수처리시 식물체의 인 함량과 수중의 인농도는 밀접한 관계를 보인 반면 질소는 유의성이 없었는데, 이는 하수의 질소/인 농도비가 높아 질소가 식물성장의 제한요인이 되지 못함을 시사한다. 하수원수에 대한 체류시간 2.2일의 인공늪지 처리시 BOD5 제거효율은 61~68%로 식물종류별로 차이가 적었으나 인제거효율은 부레옥잠조 63%, 기타 정수식물 (애기부들, 미나리, 꽃창포) 처리조는 35% 이하였다. 하수원수와 2차하수처리수에 대한 부레옥잠 인공늪지시스템의 인제거율은 각각 0.22, 0.16 gPm-2d-1이었으며, 기타 정수식물 처리조는 각각 0.06~0.12 gPm-2d-1, 0.03~ 0.06 gPm-2d-1의 범위였다. 유출수의 질소/인 비는 수로 시스템에 비해 늪지시스템에서 낮았는데 늪지 저토에서의 탈질과 인 용출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2차 하수처리 수에 대한 질소 제거율(R)과 식물체흡수율(U)의 백분비 (U/R)는 부레옥잠조 31~58%, 미나리조 5~11%, 기타 처리조는 5% 이하였으며, 인에 대한 U/R비는 부레옥잠조 47~54%, 미나리조 11~45%, 기타 처리조는 10% 이하였다. 부수식물 시스템에서는 흡수제거가 크나 정수식 물 시스템에서는 침전과 흡착 및 탈질이 주요 제거기작임을 알 수 있다.
        4,500원
        608.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싱글트러스토마토시스템을 국내에 도입하여 효율적으로 생산관리를 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의 모델을 이용하여 지역별로 수확량, 수확시기를 예측하고 효율적인 생산관리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전지역이 겨울철에 최대수확 가능량을 달성하는데는 광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인공광을 이용한 생산량 증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원지역과 진주지역의 연간 총 수확량의 차이가 12kg.m-2 으로 나타나 토마토 온실의 설치 계획시 지역의 자연광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역과 계절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인공광을 이용하여 수확시기의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광의 이용에는 많은 경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인공광의 용량을 지역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는 방법과 저렴한 심야전기를 가능하면 많이 이용할 수 있는 인공광의 제어전략 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4,000원
        609.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시험의 목적은 방목초지의 이용방법을 개선하여 효율성이 높은 집약 이용체계를, 확립하고 방목이 육질과 육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이다. 체목일수를 단기체목(2-3일), 장기체목(5-6일)로 두어 목초의 생산성과 이용성을 조사하였으며 추후 방목이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예정이다. 본 시험의 결과 1. 방목초지의 이용형태에 따른 식생변화는 차이가 적었으나, 집약방목구에서 두과 목초비율이 약간 증가하였다.(중략)
        610.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주요 목초에서 엔도파이트가 생성하는 물질을 구명하고, 안정수준의 물질을 생산하는 우수종을 분리 접종하여 환경저항성 식물을 개발하려고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톨 페스큐 5 품종을 선발 공시하였으며, 엔도파이트 비율과 품종의 생육특성, 수량과 사료가치를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톨 페스큐 품종 중 엔도파이트 비율이 29%인 Barvetia가 초장과 엽폭이 크고, 녹색도가 우수하였다.(중략)
        611.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시험은 1997년 9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제주 화산회토양의 혼파초지에서 양돈 분뇨시용에 따른 목초생산 및 유해성분 축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키 위해 질소시비 수준과 양돈분뇨의 시비수준을 달리하여 분활구 배치법으로 시험이 수행되었다. 목초초장이나 건물수량은 질소시비수준 1, 150 및 300kg/ha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를 얻었으나 양돈분뇨시용 1, 750, 1,500 및 3,000kg/ha 효과는 얻지 못했다.(중략)
        612.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팔파(Medicago sative L.)의 질소공급형태에 따른 저장질소의 함량과 재생기간 중 저장 질소의 이용 및 재생활력을 구명하고자 수경재배하에서(NH4)2SO4, KNO3, Urea, Organic-N 및 NH4NO3를 1mM/week로 4주간 공급후 예취하여 건물생산량을 보았으며, 다시 4mM로 40일 동안 각각의 질소 형태로 공급하여 흡수 및 잔여기관내 축적된 질소의 함량을 분석하였고, 저장된 질소에 의한 재생
        613.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페레니얼 라이그라스(Lolium perenne L.)의 질소공급형태에 따른 저장질소의 함량과 재생기간 중 저장질소의 이용 및 재생활력을 구명하고자 수경재배 하였다. (NH4)2SO4, KNO3, Urea, Organic-N 및 NH4NO3의 서로 다른 질소형태로 각각 1mM/week을 4주간 공급하여 건물생산량을 보았고, 예취 후 각각의 질소 형태로 4mM/40days동안 공급하여 흡수된 질소의 함량 및 잔여기관내 축적된
        614.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996-1998년에 걸쳐 조숙 다수성의 양질 조사료용 연맥을 선발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 우량품종으로 선발된 연맥 품종의 평균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는 다음과 같았다. 1차 시험에서 Pallinup과 Yilgarn 품종은 출수 시작일이 각각 10월 4일과 6일로 조생연맥이었으며 Casket 및 Euro 품종은 출수 시작일이 각각 10월 12일과 16일로 조ㆍ중생연맥으로 평가되었다.(중략)
        615.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996-1998년에 걸쳐 경기 수원, 경북 경산 및 제주에서 수행된 시험결과 우량품종으로 선발된 호밀 품종의 평균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는 다음과 같았다. 월동률에 있어서는 대조품종인 Kodiak(91%)과 함께 선발된 품종들은 90-94%로 내한성이 비슷하였다. 숙기에 있어서는 만생종인 Kodiak을 제외하고는 선발된 다른 품종(Oklon 및 Bates)은 모두가 4월 8일에 출수가 시작되어 조생종으로 평가되었다.(중략)
        616.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996-1998년에 걸쳐 경기 수원, 경북 경산 및 제주에서 시험결과 우량품종으로 선발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육특성과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는 다음과 같았다. 월동률에 있어서 FL80(장려품종)이 중북부 지역인 수원에서 69%로 가장 낮았고 Marshall(장려품종) 및 Grazer 등이 가장 높았다. 숙기는 Grazer 및 FL80(장려품종)이 4월 중순에 출수가 시작되어 가장 조생종으로 평가되었다.(중략)
        617.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996-1998년까지 3개년에 걸쳐 경기 수원, 경북 경산 및 제주지역에서 수행된 시험결과 오처드그라스 공시품종의 생육특성, 건물 수량 및 사료가치는 다음과 같았다. 오처드그라스의 유식물에 있어서 활력은 Dawn 품종이 7점으로 보통이었으나 다른 품종은 8-9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내병성에 있어서는 공시품종간에는 차이가 없이 8점으로 양호한 편이었다. 월동률에 있어서는 Kara 품종이 85%로 가장 낮았으나 기타품종은 91% 이상으로 높았다.(중략)
        618.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병원성 사상균에 길항작용이 있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세균을 이용하여 연작 및 비연 작토양에 있어서 옥수수(Zea may L.)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옥수수는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부속동물사육장내 vinyl house에서 자연광 상태에서 p o t ( 30 × 50 c m ) 로 재배한 다음 파종 후 50일 및 90일에 수확하여 건물중을 조사하였으며, 시험토양은 연작 및 비연작지의 양토와 버미큘라이트를 1:1 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본 시험에 이용된 세균은 목초근권에서 직접 분리한 Bacillus subtilis 였다. 연작 및 비연작 토양 모두 B. subtilis 처리구에서 옥수수의 건물중이 B. subtilis 무처리구보다 그리고 병원성 사상균 처리구보다 증가되었다. 그리고 비연작 토양에서 생장한 옥수수의 건물중은 연작토양에서 보다 증가하였다. 옥수수의 생장에 있어서 B. subtilis 접종효과는 연작토양보다 비연작토양에서 좋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작 및 비연작토양 모두 병원성사상균을 접종함으로써 옥수수의 건물중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4,000원
        619.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에서는 젖소액비의 시용수준(施用水準)이 담근먹이 옥수수의 생육(生育), 수량(收量), 토양변화(土壤變化) 및 토양중(土壤中) 침출수(浸出水)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코자 1996년 3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2년동안 축산기술연구소 사료작물 포장에서 수행(遂行)되었다. 간장 및 조단백질 함량은 액비(液肥) 150%구에서 각각 264cm, 6.8%로 가장 높았지만, 건물수량(乾物收量)과 TDN 수량(收量)은 화학비료구(化學肥料區)(T1)가 각각(各各) 14.5톤/ha, 9.5톤/ha로 가장 높았는데 액비로 시용할 경우, 액비 100%구(100톤/ha)가 각각(各各) 14.0톤/ha, 9.1톤/ha으로 T1구의 96% 및 97% 수준(水準)이었다. 토양산도(土壤酸度)는 시험전(試驗前) 토양에서 보다 시험 후 액상분뇨(液狀糞尿) 시용구(施用區) 토양에서 낮게 나타났다. 토양의 유기물(有機物) 함량과 인산 함량은 시험전(試驗前)에 비하여 시험(試驗) 후(後)에 액상분뇨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시용량(施用量)을 증가에 따른 비레적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액비시용에 따른 침출수 중 N O 3 − N 함량은 전기간(全期間)에 걸쳐서 가축의 음용허용치(飮用許容値)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젖소액비의 적정시용량은 질소 함량 기준으로 200kg/ha(액비 100톤)시용이 적합하였다.
        4,000원
        620.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초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목개시시 초장(주구 3처리 ; 15, 30, 45cm)과 여름철 혼파된 화본 과목초에 경합력이 낮은 화이트클로바 품종(세구 4처리; Regal, Tahora, Brown, STVR)을 선발하기 위해 제주농업시험장의 사료작물시험포장에서 1994년 9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2년간 시험이 수행되었다. 혼파목초의 건물수량은 전체적으로 평균 예취시 초장 30cm 이상에서 유의적 증수를 보였으나(P<0.05) 2년차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2년째 수확시에만 목초의 건물수량이 Brown 품종구에서 타 품종 보다 통계적으로 고도의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P<0.01). 2년차에 예취시 초장에 따른 식생구성율에 분명한 차이를 발견치 못하였다. 다만 white clover 품종 처리별로 비교할 때 white clover의 비율은 Regal와 Tahora구에서 보다 Brown과 SRVR 처리구에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2년차 마지막 예취시에 잡초비율도 주구나 세구간 효과를 발견치 못하였다. 목초의 ADF와 NDF 함량은 예취 초장 15cm에서 가장 낮았고 인 함량은 15cm에서 가장 높았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혼파목초의 K 함량은 30cm 초장에서 가장 낮았으며 (P<0.05) 질소 함량은 예취시 초장과 품종간에 상호작용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다(P<0.01). White clover의 품종이 목초의 일반성분 함량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방목형일 때 15cm 초장에서 화이트 클로바 SRVR을 이용하는 것이 사료가치도 유지하며 두과와 화본과목초 균형을 유지하는 데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