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시험의 목적은 방목초지의 이용방법을 개선하여 효율성이 높은 집약 이용체계를, 확립하고 방목이 육질과 육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이다. 체목일수를 단기체목(2-3일), 장기체목(5-6일)로 두어 목초의 생산성과 이용성을 조사하였으며 추후 방목이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예정이다. 본 시험의 결과 1. 방목초지의 이용형태에 따른 식생변화는 차이가 적었으나, 집약방목구에서 두과 목초비율이 약간 증가하였다.(중략)
bismaleimide취약성을 개선 하기 위하여 toughening agent인 TM120을 첨가하여 carbon/(± 45˚)2s를 제조하고 이들의 파손과 기계적 특성을 인당실험과 음향방출을 통해 자세히 논하였다. 첨가하는 TM120의 비율은 0, 5, 10, 15, 20, 25phr이었고, 1, 4-diazobicyclo-(2, 2, 2)-octane(DABCO) 0.2phr를 경화 촉진제로 사용하였다. 또한, 탄소 섬유는 Toray사의 T300를 사용하였고, 음향방출과 인장실험 결과로 TM120이 적당한 첨가량은 20phr이었으며, TM120은 cabon/(± 45˚)2s의 파손특성과 기계적물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2-관능성 DGEBA-4-관능성 TGDDM 블렌드를 DDM으로 경화시킨 경호물의 굴곡 특성과 열 안정성을 혼합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굴곡 탄성율과 유리 전이 온도는 TGDDM이 증가 될수록 증대되었고, 20-40 중량%의 TGDDM조성에서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데, 이것은 이 저성 부근에서 ductile/brittle의 구조적 상변화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TGDDM성분이 증가될수록 최대 열분해 온도는 고온쪽으로 shift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분해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오히려 감소했다.
기후변화는 유역의 수문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최적의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이와 같은 기후변화로 인한 수환경 영향을 예측 및 분석하기 위한 통합적인 모의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의 남강댐 유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유출량 변화를 예측하였다. 기후시나리오 생산을 위하여 지역기후모형(RCM)의 분석 및 인공신경망을 통한 상세화기법을 적용하여 예측인자들에 대한 모의결과로부터 미래 기상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강우의 경우 총량에 대한 보정을 위해 분위사상법을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시나리오를 검보정이 완료된 SWAT 모형에 적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유출량 변화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효율적인 대책을 제시하여 최적의 수자원관리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