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 클로-버의 액체배양세포로부터 내산성 세포선발에 대한 몇가지 요인들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으로 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었다. 액체배양세포의 유도에는 auxin원으로 2,4-D 2 mg/l와 cytokinin으로 BAP 0.5 mg/l를 혼합처리한 것이 가장 좋았으며, 여러가지 기본배지중 PC배지가 액체배양세포의 유도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내산성 세포를 선발하기 위하여 EMS를 여러가지 농도에서 4시간 처리했을 때, 가장 효율적인 EMS농도
검정금파리의 변태에 따른 엑디스테로이드를 Radioimmunoassay법으로 측정하고, 난세포성숙에 미치는 엑디스테로이드의 효과를 조사하여 얻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락직후 존재하였던 난내 엑디스테로이드는 발생과정 중 감소하다가 부화 직전 다시 증가하였으며, 유충기와 용기의 성장 변태시 엑디스테로이드함량의 변화를 보면 유충-유충과 유충-용으로의 탈피시에 일시적인 증가현상을 나타냈다. 특히 용화 후 48시간에 높은 엑디스테로이드의 농도를 보였는데 이는 큐티클분비와 경화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충기에서는 수컷의 경우 엑디스테로이드가 거의 검출 되지 않은 반면, 암컷에서는 단백질원 섭식 후 96시간에 최고의 함량을 나타내어 난성숙도와 일치하는 변화를 보였다. 엑디스테로이드 처리와 난성숙도와의 관계를 보면, 1g 처리군은 대조군에서와 같은 성숙도를 나타내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g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서 보다 12시간 빠르게 난세포성숙이 완료되어, 엑디스테로이드 처리시 임계농도 이상에서는 난세포조기성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examin ripening in peach types, cell wall contents and Polygalacturonase activity were compared in Changbang, Daegubo and Yumyung peaches. Among peach types, the hardness of Daegubo was the lowest. Yumyung peach had the highest content of alcohol-insoluble substances and Changbang peach of cell wall. The contents of total and insoluble pectic substances were little different between Changbang and Yumyung peach, while the lowest in Daegubo. Daegubo peach had the highest activity of polygalacturonase, Changbang and Yumyung peach in succ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