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주의와 모더니즘시에서 “고독”이라는 주제는 동시에 나타나지만 그 성격을 달리한다. 윌리엄 워즈워드가 그의 작품 「외로운 추수꾼」과 「나는 구름처럼 외로이 배회했네」에서 드러내는 “고독”의 의미는 혼자 만의 호젓함을 내포하지만 T. S. 엘리엇의 작품 황무지 ,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와 「바람부는 날의 광시곡」에서 나타나는 고독은 도시의 풍경에서 비롯된 “소외”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시인들의 시학에 근거하여 워즈워드와 엘리엇의 작품들 속에서 낮에 경험한 자연의 모습과 밤에 겪는 도시의 모습을 비교하면서 어떻게 “고독”과 “소외”로 구분되어지는지를 증명해 본다. 낭만주의 “고독”은 관찰과 명상을 통해서 얻어지지만 도시환경에서 발생하는 “소외”는 도시인을 방황하게 만든다. 그리고 본 논문은 엘리엇의 “몰개성성”과 “통합적 감수성”에 기반을 두어 어떻게 인간소외가 불안정한 정신과 육체적 불안정을 야기 시키고 마침내 공허함과 무기력을 낳게 하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엘리엇은 이론과 실제, 즉 비평과 시 사이에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많은 비난을 받아왔다. 사실 엘리엇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특히 개별 작가에 대한 비평적 관점이 변화한 것으로 유명하다. 엘리엇 스스로도 이를 의식하였으며, 이러한 비난에 대한 대안으로 그가 제시한 것은 시 적 기법이다. 엘리엇은 초기부터 시작 행위자의 비평을 줄곧 옹호해왔 듯이 창작행위는 비평에 우선한다고 하였다. 즉 그의 이론을 정당화하 는 것은 바로 시라는 덕이다. 그러나 엘리엇에게서 이론과 실제는 일방 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적인 것으로 그의 시 이론과 시 창작행위 사이의 긴밀성을 추적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엘리엇의 몰개성시학을 정당화 하 는 작업이다. 이러한 점에서 시 기법은 엘리엇의 이론과 실제, 형식과 내용을 연결해 주는 수단이며, 동시에 시학이론—즉 시는 그 자체로 자 기 충족적이라는 이론—을 시험하고 정당화하는 수단인 것이다. 셰익스 피어, 단테, 형이상학파 시인, 상징주의자, 이미지스트 등은 모두 이러한 몰개성 기법의 연구자로서 엘리엇에게는 유의미했다.
본 글은 롱기누스의 「숭고에 관하여」에 나타난 그의 창작관을 토대로엘리엇의 창작관과 비교해 보았다.
먼저 롱기누스는 문체상의 우수성을 언어표현의 뚜렷한 탁월성이라 주장하는데 이는 엘리엇에게 평범한 또는 일상적인 언어표현으로 나타 난다. 그러면서 롱기누스는 지나친 과장을 절제하고 적절한 과장을 권 유하면서 창작자의 중간조절장치를 요구한다. 이것이 엘리엇에게는 객 관적 상관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롱기누스의 지적통제와 맥을 같이 한다. 다시 말해 작가는 지나치게 독창성을 추구한 나머지 미성숙함에 빠져들어서는 안되며 이를 위해서는 선배작가들의 장단점을 살펴 보아 야한다는 점에 있어서 롱기누스와 엘리엇은 서로 유사하다. 또 한 가지 지시대상의 명확화를 롱기누스는 들고 있다. 이는 청자의 집중력을 의 도한 롱기누스의 주장이라 할 수 있으며 엘리엇 또한 이를 작품에서 그 대로 보여주고 있다.
This thesis is to examine biblical poetics, which deals with the many biblical echoes and rhetoric of paradox in T. S. Eliot’s Four Quartets. Biblical poetics, the counterpart of biblical theology, tries to mystify history in the poetic text, as opposed to the theologizing of biblical history. Time and history are of great importance in the poetry of T. S. Eliot and in the modernistic milieu, because modernism hinges, in a sense, upon the dispensation of history. Eliot, the champion of the 20th century poetry, tries to mythify the present history by means of a mystical method, assuming that modern history itself is not fit for poetry. Malinowski rightly defines myth as not of the nature of fiction, but instead as a living truth, believed to have once happened in primitive times and continue influencing our everyday lives. In this paper the present writer tries to describe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history in four phases, that is, carpe diem, which can be roughly transliterated as “seize the day,” the rejected history, the deconstructed time, and finally the transfigured time. “Burnt Norton” prefaces the problem of the redemption of history, agreeing with the biblical time concept that all history is divine history. “East Coker”, as the rejected history, reveals the painful confession of the poet in terms of death, not only of ours but also of Jesus Christ. His death is the most rejected and paradoxical of all deaths, because he was rejected by his people and even his Father. In turn, through this death, history is rejected. “Dry Salvages” demonstrates time by decreating time and starting a movement backward to the time of creation. While portraying the sea, one of the motifs of “Dry Salvages,” he mentions both the original sea, which “is” from the beginning and the Logos, Jesus Christ, who “was” from the beginning. The incarnation is the crux of paradoxical events, where the impossible union is accomplished. His resurrection is the paradox of paradoxes, in which the rejected history is deconstructed with life-giving Eros springing forth from abyssal Thanatos. “Little Gidding” breaks the air with flames of fire, urging us to choose between the flames of fire and of the Holy Spirit to be saved. Beginning with the Pentecostal fire, time starts to be so completely transformed that here is “England and nowhere, never and always.” The event on the mountain of transfiguration is the most paradoxical and transformational of events, substantiating history into myth where time and eternity meet. The voyagers must continue going forward until they receive the transfigured vision of the place from which he started.
T. S. 엘리엇의 후기 작품들은 그의 기독교적 세계관, 구원적 시간(역사) 관, 상정시학의 깊은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초기의 허무주의적 세계관을 극복한 엘리엇윤 파편화된 현대적 삶은 절대자에 대한 믿음을 복원함으로 써만 치유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구원적 세계관에 부합하는 시적 언어로 서 엘리엇은 조화, 유기성, 통일성을 담지하고 있는 상정을 중요시 한다. 엘리엇의 상정시학은 감정과 지성, 주관과 객관, 표현과 내용의 통일을 강 조하는 그의 통합된 감수성, 객관적 상관물 이론 둥에 부분적으로 나타나 고 있으며, 또한 단테에서 보들레르에 이르는 형이상학적시 전통을 재해석 하는 1926년 클라크 강연에서 구체화되고 있다. 시간의 측면에서 엘리엇의 상징시학은 순간과 영원의 교차를 중시하며 이 주제는 그의 후기 장시인 「네 사중주』 에서 기존의 직선적 혹은 순환적 시간관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시되고 있다. 이 시에서 엘리엇은 현대성의 지배적 역사관인 진보의 서 사와 그 자신의 초기 허무주의 역사관을 지양하고, 동 시대의 영국을 순간 과 영원이 교차하는 시/공간으로 다시 읽음으로써 그의 후기 상징시학과 구원적 역사관의 통합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