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I로 SES 혹은 PES 시술을 시행받은 모든 환자에서 4년 이상의 임상추적 기간이 지난 환자를 대상으로 데이터 를 분석하여 두 스텐트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2004년 1월 1일부터 2006년 8월 31일까지 본원 에서 ST분절 상승 혹은 ST 분절 비상승 급성심근경색증 (STEMI or NSTEMI)로 진단되어 입원 기간 중 관동맥중재 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SES 혹은 PES 삽입술이 시행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사망, 심 장사. 심근경색증, 표적 혈관재관류술, 스텐트 혈전증 발생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총 668명의 급성심근경색증 환자가 중 522명만 연구 대상에 포함 사망 (18.3±3.0% vs. 14.6±2.2%, p=0.26), 심장사(11.2±2.6% vs. 6.8±1.52%, p=0.39), 심근경색증 (6.4±1.8% vs. 3.3±1.1%, p=0.31), and 스텐트 혈전증 (5.4±1.7% vs. 3.2±1.1%, p=0.53) 표적 혈관재관류술(TVR) (10.0±3.0% vs. 4.0±1.2%, p=0.008) and 심혈관계 임상사건(MACE) (29.4±3.5% vs. 19.4±2.5%, p=0.003) 급성심근경색증의 초기 치료에 약물방출스텐트인 SES와 PES의 4년 장기 임상 성적을 조사한 본 연구를 통해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때 두 스텐트의 장기 사망률, 심장사. 심근경색증, 표적 혈관재관류술, 스텐트 혈전증의 발생은 차이가 없었으나 TVR 및 MACE의 발생은 PES 삽입 환자가 SES삽입 환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멸종 위기에 처한 침팬지에서 연중번식주기와 무월경, 번식주기, 임신진단을 포함한 번식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형광항체 분석법을 사용하여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테스토스테론 호르몬 대사산물과 인간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침팬지의 번식능력은 연령이 번식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니며, 개체별 번식능력의 차이, 산과질환의 유무, 배우자와 합사한 조건에서 나타나는 성적행동의 차이 같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것
경주지역 석조문화재 구성암석으로 사용된 경주남산화강암과 석영안산암질 응회암의 산성비에 따른 손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인공강우와 인공풍화시험을 적용하였다. pH 4.0 강우는 반응초기에 화강암시편의 표변에 노출된 신선한 광물 입자와 가수분해반응에 의하여 중화되나, 곧 초기산성도로 돌아갔다. 반면 pH 5.6 강우는 경주남산화강암과 반응 시 오랜 시간 동안 중성을 유지하였는데, 약한 산성도로 인하여 암석의 구성 광물이 천천히 지속적으로 가수분해되어 나타나는 결과로 보인다. 풍화된 경주남산화강암과 반응한 산성비의 산성도는 pH 5.6 강우의 경우 선선한 암석에 비해 더 오랫동안 중성을 유지하였다. 응회암과 반응한 산성비는 전체적으로는 화강암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나, pH 4.0 강우의 산성도가 낮아지는 시점이 화강암에 비해 늦다. 이는 응회암과 화강암의 조직과 구성광물성분이 다르기 때문이며, 미립 내지 유리질 석기가 많은 응회암이 화강암에 비해 강우와 반응하는 성분이 더 많아서 이러한 차이를 나타낸다. 무게감소율과 강도감소율을 예측한 결과, 신선한 경주남산화강암 보다 응회암이 같은 조건의 환경에서 2배 가까이 감소하였다.
태반은 성체줄기세포의 보고이다. 특히 양막상피세포는 배아줄기세포의 줄기세포 능력을 나타내는 세포 표면 표시자들을 그대로 발현하는 줄기세포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피세포를 실험실에서 지지세포 없이 대량 증식 배양하는 것은 상피세포가 가지고 있는 내인성 성격으로 인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과 ROCK 저해제(Rho-associated kinase inhibitor)를 이용하여 양막상피세포를 분리하고 배양
경주남산화강암과 보수물질인 시멘트몰탈에 다양한 산성도를 지닌 인공강우을 적용한 후 변화되는 양상을 통해 경주지역 석조문화재의 산성비에 의한 손상을 예측하였다. 2005년 경주지역 강우의 산성도가 pH 4.93~6.39로 측정되어, 이를 토대로 pH 4.0, pH 5.6, pH 8.0의 인공강우를 제작하여 시편에 적용하였으며, 인공풍화시험을 병행하여 시험을 가속화하였다. 경주남산화강암과 반응한 pH 5.6와 pH 8.0 강우는 중성으로 변화하였으며, 강우적용 시험 후 시편의 무게는 감소하였다. 경주남산화강암의 수용성 이온성분이 인공강우 적용 후 시험전에 비해 높게 검출되었으며, 이는 구성광물의 용해에서 주로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강우에 의해 이탈된 광물성분은 주로 석영, 정장석과 사장석으로 산성비에 의해 바탕의 석기부위가 용해되고, 이로 인해 광물입자들이 이탈하는 것으로 보인다. 석조문화재 보수물질인 시멘트몰탈은 산성비뿐만 아니라 알칼리성 강우에 의해서도 수용성 이온성분으로 용해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urrent state of the stand age classes and the method of calculating it defined in the existing forest type map and propose the more accurate method of calculating the stand age classes. The object for the study was selected as the forest scattered around the Geesan village Paju city in Kyunggi province. For the accurate method of calculating the stand age classes, such items as, the type of actual vegetation, establishment of grid-type standard area scaled down at the level of the 5% of the actual area, the types, number, DBH and age of tree found by the plots,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out actual vegetation was divided into the total 24 types and the 20 types of them belonged to the growing tree areas. As the plots, the 125 places(unit area: 400 ㎡) were established. the types of the trees found were distributed in the range where the minimum was 1 type, the maximum was 9, the mean was 4.4±1.5, and the mode was 4 types. The number of the trees found was distributed in the range where the minimum was 17, the maximum was 125, the mean was 4.4±1.5, and the mode was 70. In the DBH, the minimum was 6 cm, the maximum was 30 cm, the mean was 13 cm and the mode was 10 cm. A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ge of the 5 trees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mode in DBH, selected among the dominant species by the plots, less than 20 years was 17 places, the 115 places were included in the range from 21 to 30 years, and more than 31 years was the 6 places.
Recently, robotic automation in clinical laboratory becomes of keen interest as a fusion of bio and robotic technology.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robotic platform for clinical tests suitable for small or medium sized laboratories using mobile robots. The mobile robot called Mobile Agent is designed as transfer system of blood samples, reagents, microplates, and any instruments. Also, the developed mobile agent can perform diverse tests simultaneously based on its cooperative and distributed ability. The driving circuits for the mobile agent are embedded in the robot, and each mobile agent communicates with other agents by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The RFID system is used to recognize patient information. Also, the magnetic hall sensor is embedded to remove and compensate the cumulated error of locomotion at the bottom of mobile agent. The proposed mobile agent can be easily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because it is designed to be compatible with general software development tools. The Mobile agents are manufactured, and feasibility of the robot and localization of the agents using magnetic hall sensor are validated by preliminary experiments.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서산시에 거주하는 자로 200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1월 31일까지 본원 에 내원한 환자 중 방사선 경추 전․후면, 측방향 촬영을 실시하여 총 113명(40세 이하)을 대상으로 조 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의 분포는 14~40세 까지로 남자 57명(50.4%), 여자 56명(49.6%)이었으며, 연령그룹이 30~40 세 80명(70.8%), 20~29세 27명(23.9%)에서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2) 경부통의 발생 원인으로는 교통사고, 실족, 원인 모름이 대부분으로 조사 되었는데 원인 알 수 없 음이 81명(71.7%)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증상 발현되는 시기는 만성 87명(77%)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나 경부통의 발생원인과 증상발현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3) 113명 중 20~29세 27명(23.9%), 30~40세 80명(70.8%)로 증상발현이 급성, 만성 모두 높은 분포를 보였다. 4) 본 연구자는 전체 113명 중 왼쪽 견부 39명(34.5%), 경추부위 31명(27.4%), 양쪽 견부 20명(17.7%) 에서 각각 주요 통증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측만된 방향으로는 왼쪽측만 62명(54.9%)이 가장 많 은 빈도로 나타났다. 5) 전 후 만곡방향에서 전만곡 48명(42.5%)으로 나타났으며, 수축기 혈압에서는 160mmHg에서 전만곡 19명(16.8%), 이완기 혈압에서는 총 69명(61.0%)이 전만곡 31명(27.4%)이 100mmHg으로 나타났다.
장중첩증은 2세 이하의 소아, 특히 남자 환아의 장폐쇄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이다. 이에 저자들 은 2005년 6월 1일부터 2007년 5월 31일까지 만 2년 동안 응급실로 내원하여 소아 복부 초음파를 통해 장중첩증으로 진단을 받고 비수술적 정복술을 시행한 환아 54명에 대해 임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 과를 얻었다. 1) 연령별 분포는 13~24개월 사이가 40.7%였고, 성별분포는 남아가 72.2%, 여아가 27.8%로 남녀의 비는 2.6:1이었다. 2) 임상증상은 복통 및 보챔(100.0%), 구토(66.7%), 설사(33.3%)등 이었고, 설사증상을 나타낸 환아에 서 장중첩증 정복성공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혈액상 특성으로 백혈구수는 10,000~15,000개 사이가 29.6%였다. 3) 개인병원의 1차 진료 후 본원에 내원한 환아는 42.6%였고, 증상발현에서 처치까지의 소요시간은 6~12시간이 37.0%로 많았다. 4) 장중첩증의 유형은 회장-결장형이 98.1%였고, 장중첩증의 위치는 간만곡부가 68.5%였다. 5) 공기압정복술의 성공률은 88.0%였고, 바륨정복술은 86.2%였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