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80

        841.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Festulolium braunii(Festuca pratensis Huds. Loliurn mulrijZorum Lam.)as forge sources.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a split plot design with four replications from Feb. 1995. to Jan. 1996 at Hohenhe
        4,300원
        843.
        199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지방에 자생하는 야생의 초본식물 6종에 대한 실생번식법을 밝히고자, 1954년 봄과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Gibberelin(GA3) 25 및 50ppm 수용액에 24시간 침지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지하수에 24시간 침지시켰다. 처리된 종자를 1995년 4월 23일에 혼합토양(모래:peat moss: perlite: vermiculite, 1:1:1:1, v/v)을 채운 플라스틱 화분(직경 12,높이 11cm)에 40립씩 3반복으로 파종하여 2일에 1회씩 관수하면서 발아된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1995년 5월 13일에 채취된 할미꽃 종자는 1995년 5월 31일에 처리하고 6월 1일에 묘포에 파종하였다. 향유, 금낭화 및 배초향의 종자발아는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가는 쑥부쟁이, 거북꼬리 할미꽃 등의 종들에서는 처리간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금낭화와 배초향에서는 25ppm, 향유에서는 50ppm 처리구에서 발아촉진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야생초류의 자원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4,000원
        844.
        199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for decision making on distribution of resources so a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initial disaster relief efforts. It is very important that relief efforts should be accomplished appropriately at the initial disaster. Furthermore, efficient allocation of relief resources such as rescuer, shelter, relief goods, relief funds, medical and relief equipments is also the first step to achieve main objective of relief efforts when disaster occu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s flood as a imaginery disaster and develops a model for efficient distribution of resources when flood outbreaks. This model fixes initial 72 hours, which is subdivided into three intervals, as a initial disaster range. The model is to set a prioity against alloction of relief resources by each time zone which is related to damaged degree( Red Tag, Yellow Tag, Green Tag). Experts in this field input their experience into this model, and these are analyzed by Analytic Hierachy Process(AHP)/Expert Choice(EC) software. Therefore, we can decide a prioity against distribution of resources by each time zone which is in accordance with damaged degree.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a person who is in charge of relief from calamity in order him to make a decision toward distribution of resources.
        4,300원
        845.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연근해 해역에 대한 어족생물의 자원평가 및 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동중국해를 대상으로 계량어군탐지기 및 트롤조업에 의해 수집된 어족생물의 음향학적 조사자료 및 수조실험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조사대상해역에 대한 어족생물의 어군반사강도를 추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994년 4월에 제주도 남서방 해역에서 50kHz의 주파수에 대하여 측정한 트롤 예망층에 대한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SV〉, dB)와 그 때의 트롤조업에 의해 어획한 단위체적당의 어획량(C, kg/m3)과의 사이에는 다음의 회귀직선식을 얻었다. = -32.4+10Log(C) 이 식에서 어획물 1kg당에 대한 어군의 평균반사강도의 추정치는 〈SV〉 = - 32.4dB/kg이었다. 2. 1989~1992년의 11월중에 동중국해에서 25kHz와 100kHz의 주파수에 대한 트롤 예망층의 평균체적산란강도(〈SV〉, dB)와 단위체적당의 어획량(C, kg/m3)과의 사이에는 다음의 회귀직선식을 얻었다. 25kHz : 〈SV〉 = - 29.8+10Log(C) 100kHz : 〈SV〉 = - 31.7+10Log(C) 이들 식에서 25kHz와 100kHz의 주파수에 대한 어획물 1kg당에 대한 어군의 평균반사강도의 추정치는 각각 -29.8dB/kg, -3.7dB/kg으로서, 25kHz에 대한 어군반사강도의 값이 100kHz에 대한 그 값보다 1.9dB 더 컸다. 3. 트롤조업에 의해 어획한 강달이, 말쥐치, 갈전갱이, 민태, 병어, 황돔, 민어, 고등어, 샛돔, 전갱이 등을 대상으로 25kHz와 100kHz의 주파수에서 측정한 어체의 평균반사강도와 체중과의 사이에는 다음의 회귀직선식을 얻었다. 25kHz : TS = - 34.0+10Log(W⅔) 100kHz : TS = - 37.8+10Log(W⅔) 이들 식에서 25 kHz와 100kHz의 주파수에 대한 어체의 1kg 당에 대한 평균반사강도의 측정치는 각각 -34.0dB/kg, -37.8dB/kg로서, 25kHz에 대한 어체의 평균반사강도의 값이 100kHz에 대한 그 값보다 3.8dB 더 컸다. 4. 제주도 근해에서 어획한 보구치의 부레의 등가반경(A)에 대한 체장(L)의 비솔(A/L)는 체장이 증감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평균치은 0.089이었다. 이상의 트롤조업 및 어탐조사, 또한 실험수조에서 측정한 어체의 반사강도를 종합적으로 고찰 할 때, 동중국해의 어업자원을 평가함에 있어 적용 할 수 있는 어군 1kg당에 대한 평균적인 반사강도는 25kHz와 100kHz의 주파수에 대하여 각각 -31.4dB/kg, -33.8dB/kg이라고 추정된다.
        4,200원
        846.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848.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Korean lespedeza의 자생지에 대한 작물의 생육상태, pH, 무기 및 유기물 함량, 토양입자, 토성 등과 토양의 물리-화학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총 62개 지역을 조사하였으며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Korean lespedeza의 초장 및 건물량은 조사시기 및 지역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였으며, 8월 하순 및 9월 상순에 조사한 수치가 높았다 2. 식물체내의 영양분 함량에 있어서 지상부는 지하부보다 N
        4,500원
        849.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업폐기물중 유기물이 상당부분인 축산폐기물(분뇨)는 하천의 수질악화, 호소의 부영양화 및 지하수오염 등의 자연환경오염의 주범중의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축산폐기물은 그 처리방법에 따라서 환경오염을 줄일 뿐만 아니라, 적정공정을 통하여 퇴비화에 의한 자원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대체적으로 기초적이며 공통적인 부분에 관한 축산폐기물 처리시설 및 공정체계는 이미 제품화가 되어 가동중에 있고, 단지 지역적 특성이나 다양한 규모의 제약조건하에서 실행가능한 중소규모 시설에 관해서는 일련의 실험들을 통하여 개발ㆍ적응해 나가고 있는 추세라 할 수 있겠다.(중략)
        4,200원
        850.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ooperative Korea-Japan investigation for the demersal fisheries resources of the East China Sea carried out by using the training ship Oshoro Maru belong to Hok-kaido University, Japan, during 1-8 November, 1991. The research vessel sampled 15 stations with demersal trawls on the East China Sea, and 1,364 nautical miles of track line were surveyed hydroacoustically. The hydroacoustic observations were taken with a scientific echo sounder operating at two frequencies of 25 kHz and 100 kHz, and a microcomputer-based echo integrator. Fish samples were collected by demersal trawling, and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were measured with a CTD system. The target strength of fish school was estima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scattering strength and catches caught by demersal trawling.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backscattering strength for 15 layers occupied by demersal trawls at 25 kHz ranged from -70.4 dB to -59.1 dB. Then the catch per one hour ranged from 8.2 to 587.5 kg/hour. 2. The mean backscattering strength for the entire layer between transducer and seabed in the survey area of the East China Sea at 25 kHz and 100 kHz were -68.0 dB and -73.1 dB, respectively. 3. The mean fish-school target strength per one kilogram at 25 kHz and 100 kHz were -28.3 dB/kg, and -30.4 dB/kg, respectively.
        4,000원
        851.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 論文은 企業의 海外直接投資와 함께 중대하게 考廬되어야 할 國際人的資源管理에 관한 硏究가 다른 企業管理機能에 비하여 相對的으로 적게 이루어졌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競爭國들의 多國籍企業에 비해 뚜렷한 企業 內部的 특유의 比較優位 없이 海外에 進出하는 國內企業들의 國際競爭力 향상과 比較優位의 現地 창출을 위해 國際人的資源管理의 重要性, 硏究의 範圍, 그리고 유능한 海外派遣 國際經營者의 必要性을 論하였다. 또한 實證調査를 통하여 海外子會社를 운영하고 있는 韓國의 國際企業 最高經營者들이 갖고 있는 國際人的資源管理에 관한 見解와 그들이 當面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調査結果 나타난 問題點은 ① 海外投資와 관련된 전략적 자원으로서의 人的資源에 대한 最高經營者들의 매우 낮은 관심 ② 本社에서 派遣하는 海外派遣經營者들의 높은 失敗率 ③ 本社經營者들의 海外파견 근무기피 ④ 海外에 派遣할 수 있는 有能한 經營者의 不足과 國內 大學敎育이 國際經營者의 육성에 거의 기여하지 못한다는 否定的인 見解였다. 따라서 본 硏究는 國際人的資源管理의 重要性, 問題點, 그리고 解決方案을 巨視的인 次元에서 技術的으로 提示하였으며, 앞으로 具體的이고 實證的인 硏究의 必要性을 강조 하였다.
        6,600원
        852.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 자원, 에너지문제, 환경문제, 도시문제등 인간생존과 번영을 저해하는 문제가 속출하고 있어 이러한 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농업생산에 있어서 에너지 절약 및 대체에너지(자연에너지, 바이오에너지 및 폐기물에너지)의 기술개발은 화석에너지 사용에 따른 지구환경 악화 방지 뿐만 아니라, 자연과 조화된 고품질, 고부가가치의 농축산물 생산활동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사료된다.(중략)
        4,000원
        853.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800원
        855.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858.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0,800원
        859.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verall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praying sulfuric acid solution, and adding corn meal or molasses to reed canarygrass silage on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and fibrous components in ruminant. DM content of molass
        4,000원
        860.
        199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7년(年)부터 1989년(年)까지 경북지역(慶北地域)을 중심(中心)으로 경남(慶南)과 충북(忠北)의 일부지역(一部地域)에서 조사(調査)한 약용자원식물(藥用資源植物)은 118과(科) 331속(屬) 456종(種)이었고, 이들중 Compositae, Liliaceae, Leguminosae, Labiatae, Rosaecae, Polygonaceae, Umbelliferae, Gramineae, Solanaceae, Cucurbitaceae, Ranunculaceae, Cruciferae, Rutaceae, Araliaceae, Araceae, Moraceae, Scrophularinaceae, Caryohpyllaceae, Convolvulaceae 등 19과(科)에 속하는 식물이 249종(種)으로 조사(調査)된 식물(植物)의 반수이상(半數以上)을 차지하고 있었고 나머지 207종(種)은 99과(科)의 식물(植物)로 분류(分類)되었다. 조사식물(調査植物)의 거의 대부분(大部分)이 다년생(多年生)이었으며, 개화기(開化期)는 대부분 6-8월(月)이었다. 재배포장(栽培圃場)과 전시포장(展示圃場), 정원(庭園), 공원(公園) 등지(等地)에 재식(栽植)되어 있는 78과(科) 213종(種)의 식물(植物)중에서 약용자원식물(藥用資源植物)의 주용도(主用途)는 관상용(觀賞用)이 93종(種), 약용(藥用) 50종(種), 채소류(菜蔬類) 27종(種), 식품용(食品用) 14종(種), 과채류(果菜類) 5종(種), 과수류(果樹類) 13종(種), 유료용(油料用) 5종(種), 다용(茶用) 6종(種), 녹음수(綠陰수樹) 및 가로수용(街路樹用)이 9종(種), 섬유용(纖維用) 등 기타의 용도(用途)가 14종(種)이었다. 조사식물(調査植物)의 약용부위(藥用部位)는 지하부(地下部)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경엽(莖葉), 전초(全草), 화기(花器), 종자(種子) 및 과실(果實)의 순(順)이었다. 약용효능은 이뇨(利尿), 위장병(胃腸病), 강장, 진통(鎭痛), 해열(解熱), 진해(鎭咳), 지혈(止血), 소염작용(消炎作用)의 식물(植物)이 대부분이었으며 항암효과의 식물(植物)도 9종(種) 조사(調査)되었고, 한약제(漢藥劑)로 많이 이용(利用)되고 있는 식물(植物)은 87과(科) 191종(種)이었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