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천지방의 해풍은 사천부근의 지형, 특히 사천만과 소백산맥 등의 지형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1. 해륙풍의 발생빈도는 평균적 98.1일 (26.9%)로 김해지방의 56.8일 (15.5%) 및 부산지방의 65.8일 (19.0%)보다 높으며, 3월이 가장 많고 7월이 가장 작다. 2. 해풍의 평균 발생 시각은 13.3시로서 김해지방 (13.9시)보다 여름철을 제외하고는 빠르게 발생한다. 또, 평균 소면시각은 19.3시로서 김해지방 (20.3시)보다 빠르게 감소하며, 평균 지속시간은 5.9시간으로 김해지방(6.5시간)보다 겨울을 제외하고는 짧게 나타난다. 3. 해풍의 평균풍속은 5.8kts로서 김해지방 (6.8kts)과 부산지방(7.8kts)보다 약하며, 4월(7.7kts)이 가장 강하고 12월(4.8kts)이 가장 약하게 나타난다. 4. 해풍의 고도는 해풍발생과 함께 높아지고 해풍이 소멸되면서 점점 낮아진다. 때때로 21시 이후에도 1000 feet 이상의 고도까지 해풍이 존재한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 of soybean oils and corn oils on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free cholesterol in cholesterol-fed rats. The results are as fellows: 1. The average body weight gain in soybean oil diet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2. The food efficiency ratio in soybean oil diet group was lower than corn oil diet group. 3. The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in soybean oil diet group than that in corn oil diet group. 4. The serum levels of free cholesterol in soybean oil diet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corn oil diet group. 5. The serum levels of HDL-cholesterol in soybean oil diet group than that in corn oil diet group. 6. The serum levels of VLDL-, LFL-cholesterol in soybean oil diet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corn oil diet group.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fiber sources and levels on serum lipids in rats fed a hypercholesterol diet containing 0.5% cholesterol.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52.7 ± 7.27g were devided into sevel groups by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and fed various dietary fibers which were prepared from Rice bran, Siraegi (The dried green parts of a radish) and Bracken Fern at a level of 5% and 10%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ody weight gai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and food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ats fed a diet of Siraegi 10%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2. Fecal wet weigh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3.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in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except the level in the R 10(Rice bran 10%) group. 4. Free Cholesterol levels in the serum were increas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especially the levels in the R 10 (Rice bran 10%) and S 10 (Siraegi 10%)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5. Ester Cholesterol levels in the seru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rats fed the experimental diets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6. There was a tendency of higher serum HDL-Cholesterol levels in R5 (Rice bran 5%), R10 (Rice bran 10%) and B5(Bracken 5%)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all the experimental groups except in the case of the S5 (Siraegi 5%) group. 7. LDL, VLDL-Cholesterol levels in the serum s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5 (Siraegi 5%), B5 (Bracken 5%) and B10 (Bracken 10%) groups. 8. The HDL-C./Total-C. Ratio was increased in all experimental group especially the Ratios in the S5 and B5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인유, 조제 분유 및 시유의 인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조제 분유는 인유에 비하여 8 : 0, 10 : 0, 18 : 0, 20 : 0, 22 : 0 등의 지방산들이 유의하게 높았다. 18 : 2Ω6은 조제 분유가 인유에 비하여 2.3배나 많은 18% 수준을 유지하였다. 대체로 보아 Ω9계, Ω6계 및 Ω3계 대사산물들은 조제 분유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인유에 비하여 시유도 조제 분유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지방질의 함량은 인유(성숙유), 조제 분유 및 시유 다같이 비슷한 수준치를 보였다. 조제 분유는 인유에 비하여 인 지방질, 유리 지방산, 콜레스테롤 에스터 등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 트리글리세리드는 유의하게 낮은 수준이었다. 시유와 인유는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에서는 비슷하였지만 기타 지방질 성분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조제 분유의 인 지방질/트리글리세리드의 비, 콜레스테롤/트리글리세리드의 비, 총토코페롤 그리고 총토코페롤 / 총지방질의 비 모두 인유는 물론 시유의 그것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총토코페롤 / 18 : 2 Ω6의 비는 조제 분유, 시유 다같이 인유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인유, 조제 분유 및 사유의 비타민 E 함량은 미국 유아 식이의 기준치를 상회하였다. 조제 분유의 포화 지방산 중에서 탄소수 8개 이하의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은 인유의 그것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10개 이상의 탄소수를 갖고 있는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은 인유의 그것들과 대체로 비슷한 수준들이었다. 시유에서도 역시 탄소수 10개 이하의 것들과 18 : 0 등의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 그리고 직쇄 및 측쇄의 기수 지방산들이 높은 경향이었고 12 : 0 은 낮았다. 불포화 지방산의 경우 인유의 18 : 2Ω6은 조제 분유와는 거의 비슷한 수준인 반면 시유의 그것에 비하여 4.5 배 높은 수준이었고 탄소수 20개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들은 조제 분유, 시유 다같이 낮은 수준치를 갖고 있었다.
Interaction of dietary Magnesium, Calcium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vegetable oils)on 3-Hydroxy-3-Methylglutaryl Co-A reductase activity was studied for a period of 30 days using isocalories and isonitrogenous as a basal diet . The subject rabbits were divided into 18 feeding group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atio of α1-lipoprotein par lipalbumin is 0.34 for control group, 0.38 the highest group fed 0.1 Mg(II) 10ml plus perilla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0.25 group fed 0.1M Mg(II) 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2. The ratio ratio of α2-lipoprotein per lipalbumin is 0.64 for control group. 0.95 as the highest for the group fed 0.1M Ca(II) 1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0.1M Ca(II) 5ml plus perilla oil and basal diet. 3. The ratio of β-lipoprotein per lipalbumin is 0.71 for control group, the highest 0.81 for the groups fed 0.1M Mg(II) 10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0.37 for the group fed 0.1M Mg(II) 15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4. In serum triglyceride, control group was 129.5mg%, the highest 155.4mg% for the group fed 0.1M Ca(II) 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85.7mg% for the group fed 0.1M Mg(II) 10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5. In serum cholesterol, control group was 96.7mg%, the highest 152.5mg% for the group fed 0.1M Ca(II) 10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80.5mg% for the group fed 0.1M Mg(II) 15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6. In case of HMG-CoA reductase activity, control group was 0.95, the highest 0.98 for the group fed 0.1M Ca(II)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7. Interaction between metal(II) ions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vegetable oil) are soybean oil〉sesame oil〉perilla oil, for Mg(II). soybean oil〉perilla oil〉sesame oil, for Ca(II). Therefore, it is invetiga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metal ion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is the higher, the cholesterol level is the lower, and HMG-CoA reductase activity is increased.
영남지방의 보리 보리줄무늬병 분포 및 발생실태를 조사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인 방제 대책 수립과 저항성 품종 육성 및 재배법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 이용하고자 1982년 5월에 경남북 19개 군에서 228개 필지의 농가포장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별 품종별 토양환경 및 재배조건별로 구분하며 이병경율을 조사 분석 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남지역의 보리 줄무늬병 발생실태를 지역별로 보면 경북지역보다 경남지역의 발병율이 높았으며 특히 함안, 미량, 월성, 의창등지에서 발병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2. 보리 품종별로는 밀양 6호는 거의 발병되지 않았으나 올보리 오월보리 등의 이병경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3. 토양조건별로는 배수가 불량할수록 이병경율이 높았으며 유효수분함량이 높은 토양나 식토양 및 식토에서 발병이 심한 편이었고 부분적으로 과습하기 쉬운 곡간지의 보리 재배포장이 평야지 포장보다 심하였으며 포장이 과습 할수 록 이병경율이 높았다. 4. 재배조건별로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발병율이 낮았으며 질소 시비수준별로는 보비 조건보다 다비 및 소비 조건에서 발병이 심한 경향이었다.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8 to August 19, 1972, a heavy rainfall was observed in Kyeonggi district. The total amount of rainfall over that period exceeded 450㎜. Some synoptic features of the heavy rainfall were studied by the use of synoptic data. The notable feature was the synoptic situation which built up a deep convectively unstable layer over Korea peninsula. The observed low level jet stream seems to be formed by the heavy rainfall activity.
시험은 흰빛잎마름병의 품종별 감수성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시비량을 보비재배와 다비재배로 구분하여 전남지역에서 수행 되었다. 흰빛잎마름병은 발생은 다비조건에서 심했으며 심한 발병은 수도 품종들의 등숙에 영향을 주어 수량 감수를 초래하였고 청미율은 품질을 저하 시켰다. 또한 조생계품종에서는 지엽과 차엽이 발병되었지만 중, 만생계품종에서는 지, 차, 삼엽이 발병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보비조건에서 보다 다비조건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 병에 대한 저항성품종은 태백벼, 백운찰벼, 팔공벼, 밀양 42호이었고 밀양 30호, 금강벼, 낙동벼, 진주벼는 감수성이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시비 수준간에 같은 경향이었다.
1980년 9월 1일부터 1981년 2월 28일까지와 1981년 9월 20일부터 1982년 2월 28일까지 부산수산대학(350˚ 07'.9N, 129˚ 06'.3E)에서 A-C pair 및 A-E pair의 오메가 전파의 위상차를 연속적으로 관속하여 년별, 월별, 일별의 재현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오메가전파의 이상전파로 인한 전후기의 실측 PPC 간의 차가 큰 10월을 제외하고는 양 pair 모두 같은 주기적인 변동을 하므로 년별의 재현성은 좋았다. 일별의 재현성에 있어서는 표준편차의 변동이 심한 일몰과도기는 재현성이 없었으며 주야간은 양호한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측 PPC 간의 차의 월별변화가 컷으므로 양 pair 모두 월별의 재현성은 희박하였다
Accuracy of the position fix obtained by navigation with Omega in the capacity of worldwide navigation depends on the predicted propagation correction. The authors observe continuously the phase differences of the A-C pair and the A-E pair from April 17 to October 14, 1980, at Busan(35\ulcorner07'. 9N, 129\ulcorner06'. 3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daily varia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theoretical PPC and the measu red PPC to study the accuracy of the position fix.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fourier's analysis for the theoretical PPC and the measured PPC are positive correlation in the coefficients ao, a2, a3 with A-C pair and in the coefficients aO-a3 with A-E pair, and those PPC are apparent to daily periodicity during all measured time. The initial phase is around to 280\ulcorner with A-C pair and 1800 with A-E pair. 2. Daily variatons of the phase difference tend to decrease and the time width to narrow from April toward July, but these variations are opposed to those from July toward October. 3. Mean value of total errors of the position fix by theoretical PPC is 2.67 miles and its standard deviationis O.90miles. 4. Mean value of total errors of the position fix by the measured PPC is 0.63 miles and its standard deviation is 0.217 m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