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1.
        2016.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극놀이가 유아의 상상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충남시에 소재한 2개의 사립유치원에 재원중인 2학급 만4세 유아 38 명으로 실험집단 19명과 통제집단 19명으로 배정하여 실험집단에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극놀이를 10주간 총 10회 실시하였다. 상상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극놀이는 유 아의 상상력 향상, 대인관계 형성능력, 유치원 적응능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
        2015.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연계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 인식 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10주간 20회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연계한 다양한 체험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 집단의 경우 특별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연계한 자연 친화적 교육활동을 경험한 집단의 경우 생명존중 인식의 하위영역인 생명존중 태도, 지식, 행동 부분에서 모두 유의한 향상을 가져왔다. 둘째,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은 자연친화적 태도와 환경보전 태도가 모두 유의한 향상을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연 계한 자연친화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 인식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3.
        201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는 것들을 살펴보면, 아날로그 시대를 그리워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그립다고 그 때로 돌아갈 수도 없다. 우리는 이미 2016년 디지털 시대의 한가운데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우리의 자녀들은 ‘디지털’을 태어나면서부터 접하고 있다. 필자의 주변에 많은 젊은 어머니들의 하소연 가운데 가장 공통적인 것은 ‘스마트폰’을 너무 빨리 알아버린 어린 자녀에 대한 걱정이다. 고사리 같은 손으로 작은 화면으로 금세라도 빨려 들어갈 것같이 집중해보고 있는 유아(3-5세) 아이들을 발견하는 것은 이제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니다. 그 장면을 보고 있노라면, ‘저 부모는 뭐 하기에 저렇게 어린 애한테 스마트폰을 쥐어줄까’ 싶지만 실제 육아를 겪어본 사람이라면 그 심정이 충분히 이해가 될 것이다. 대다수의 부모들이 스마트 기기가 아이의 눈 건강이나 정신에 좋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최고의 베이비시터’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사정이 그렇다보니 부모들은 조금이라도 ‘교육적’인 콘텐츠를 접하게 해주고자 노력한다. 게임을 하면서도 구구단을 외우게 하거나, 퍼즐을 하면서도 영어단어를 배우게 하도록 콘텐츠를 선택하여 자녀들에게 제공한다. 눈이 빨리 나빠지고, 좋지 않은 자세를 갖게 되며 뇌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데도 [1] 부모들도 스마트폰과 밀접한 생활을 하고 있는 요즘, 자라는 아이들에게 그것을 멀리 하게 할 방법이 솔직히 없는 게 사실이다. 인터랙션 디지털 콘텐츠를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오늘 이 글을 통해 ‘디지털’을 조금 멀리 하자거나 ‘아날로그’를 더 찾아보자는 것을 얘기하고 싶은 것이 아니다. ‘디지털’은 결국 우리가 타고 가야하는 시대의 흐름이기 때문에 그것을 ‘잘’사용해보자고 주장하고자 한다. 1년 전 필자는 유아 도서관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었다. 안성에 있는 한 도서관에 잘 운영되고 있는 유아 열람실을 이용하는 1세에서8세까지 자녀를 둔 보호자 30명을 대상으로 33개의 문항을 페이퍼 설문하였다. ‘자녀가 책을 가까이 하는 게 좋다고 여기십니까?’ 라는 질문에 90%의 27명 부모가 ‘매우 그렇다’는 답을 하였고, ‘각종 전자제품(스마트폰/컴퓨터/스마트 패트/TV 등)이 자녀에게 해로운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질문에 20명 (67%)가 ‘매우 그렇다’, 4명 (13%)가 ‘그렇다’는 부정적인 입장을 답하였다. 또한 ‘도서관에서 아이와 시간을 보내는 것이 각종 전자제품과 멀리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는 22명(73%)의 부모가 ‘매우 그렇다’라고 답하였다. 세 가지 답변만 보더라도 유아를 자녀로 둔 부모는 유아가 스마트기기를 될 수 있으면 멀리하고, 손에 직접 들고, 페이지를 넘기면서 보는 책을 더 가까이 하기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어린이들을 좀 더 책과 친해지도록 만들 수는 없을까?’, ‘책과 친해지도록 만드는데 디지털 콘텐츠가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는 없을까?’라는 질문들은 아직도 필자에게는 풀지 못한 숙제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이유로, 본 글을 통해서는 유아열람실 애플리케이션이나 미취학아동의 독서습관을 돕는 애플리케이션의 사례를 살펴보고, 해당 목적으로 개발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24.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 다. 이를 위해 경기도 평택시에 소재한 2개 병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반 2개 학급의 유아 30명을 실 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그림책의 구연 및 회상활동 후에 그림책의 내용에 따라 주제별 신체활동을 진행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그림책을 통제한 후 교사주도의 신체활동을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그림책을 통제한 비교집단의 운동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1). 운동능력의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평형성과 민 첩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 .05) 순발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05).
        25.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상황 토의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용인에 소재한 J병설유치원과 근거리에 위치한 S병설유치원의 만5 세 유아들로 실험집단 26명과 통제집단 26명으로 총 52명이었다. 연구 대상 유아의 평균연령은 연구 시작 일을 기준으로 하여 63개월이었으며, 실험집단은 62개월(여: 64개월, 남 62개월), 통제집단은 63.5개월(여: 64개월, 남: 63개월)이었다. 실험처치는 2014년 4월 21(월)부터 2014년 7월 4일(금)까지이며, 그림책을 활용 한 갈등상황 토의활동은 주 1회씩 실시하여 10주간 총 10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박정란(2008)이 고안한 또래 유능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은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상황 토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 유능성의 하위요소인 놀이 주도하기, 친구 사 귀기, 공유하기, 갈등 해결하기는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상황 토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
        2014.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효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실시했을 때 유아의 효 관련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이천시에 소재한 A병설유치원 1개 학급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7명(남17명, 여10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효 관련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박석일(2001)이 초등학생의 효행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제작한 설문지 문항을 토대로 유아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한 유아 효 관련 행동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효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2013년 10월 14일(월) ~ 2013년 12월 20일(금)까지 10주 동안 주 1회씩 총 10회의 교육활동을 자유선택활동시간에 20~25분씩 모둠별로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연구문제에 따라 효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효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효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경험한 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대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효 관련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 .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효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효 관련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27.
        2014.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들이 그림책을 감상하고 그림책의 협동 관련 이야기를 나눈 후, 모둠별 토의 활동을 통하여 그림책의 내용에 기초한 협동적 집단게임을 스스로 구성하고, 구성한 집단게임활동에 친구들과 협동하여 참여하는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경험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경상북도 K시에 소재한 K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H반 만 5세 유아 24명(남 12명, 여 12명)이었다. 연구과정은 2013년 4월 23일부터 2013년 6월 27일까지 총 10주간 이루어졌으며, 총 활동 수는 27회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질적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인 삼각측정법(Merriam, 1988)을 이용하여 녹화자료의 전사와 유아면담, 유아들의 활동 사진, 연구자의 관찰일지 및 유아들의 활동 결과물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들의 분석은 비디오 녹화 자료의 전사 및 수집된 자료들의 통합, 분석, 자료 분류 및 분석, 분류된 내용의 해석 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협동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주도적 집단게임활동에서 유아들의 경험은 협동적 집단 게임이 경쟁 게임보다 더 즐겁다는 것을 알았고, 친구와 함께 만든 집단 게임이라 더욱 즐겁게 참여했으며, 게임의 승패보다 다양한 게임 방법을 서로 나누면서 즐거움을 느꼈다. 또 문제를 함께 해결하면서 사이좋은 친구가 되었으며,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친구와 협동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28.
        2014.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눈 후, 그림책 중에서 사회적 능력이 포함되어 있는 내용과 관련된 토의 주제를 중심으로 소집단내에서 또래 간에 토의하는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k군에 소재한 k단설유치원 2개 학급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8명으로, 실험집단 (24명)과 통제집단(24명)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활용한 소집단 토의활동을 8주 동안 매주 2회씩 총 16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생활 주제에 따른 유치원 교육과정과 일과 운영에 맞추어 일상적인 교육 활동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의 사회적 능력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유아의 사회적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소인 주도성, 협조성, 사교성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증가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소집단 토의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9.
        2014.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포항시에 소재한 2개의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2학급 만 5세 유아 30명이다. 실험집단은 H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15명(남 6명, 여 9명)이며, 통제집단은 O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15명(남 8명, 여 7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창의성을 검사하기 위해 개발된 노영희, 김경철, 김호(2006)의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척도(Teacher's Creativity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TCRSYC)를 사용하였다. 실험 집단은 한 권의 그림책과 관련한 자기표현활동을 주 2회씩 총 16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5세 누리과정 생활주제에 따른 일반적인 유치원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확산적 사고, 호기심, 몰입, 탈규범성, 독립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감상하고 이야기를 나눈 후, 모둠별 토의를 통하여 그림책의 내용에 기초한 협동적 집단게임을 구성하고, 협동하여 게임에 참여하는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협동적 집단게임을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K시에 소재한 단설유치원 1개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0명이며, 10주 동안 총 20회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계 문헌을 토대로 우수경(2002)이 제작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적 집단게임활동이 유아의 주도성, 협조성, 사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적 집단게임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31.
        2013.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만 5세 두 학급의 유아 50명이며, 10주 동안 총 30회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3∼8세의 유아들을 위해 기발된 Wang(1985)의 MCSM(Measures of Creativity in Sound and Music)으로 허순희(1996)가 번안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은 유아의 음악적 유창성, 음악적 상상력, 음악적 독창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은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32.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ach der Reformation erscheint ein eingenartiger Pfarrer auf der Bühne in der Zeit der lutherischen Orthodoxie. Er ist Johann Arndt(1555-1621), der im Gegenteil zur Tendenz der lutherischen Orthodoxie auf die Ansicht der Mystik umfangreich eingeht. Sein Hauptwerk, Vier Bücher vom wahren Christentum(1605-1610), zeigt in einigen Maßen die Neigung für die Mystik und ist ein weitgehend lesendes Erbauungsbuch nach der Bibel in Deutschland im ganzen 17. Jahrhundert und in den folgenden Generationen weiter. Besonders drückt das letzte Buch des wahren Christentums, Liber Naturae, als zwei starke Beweise für Gott grosse Welt und kleine Welt, als Mensch aus. Arndt wollte das Ziel auf die Schöpfung der grossen Welt durch Gottes sechs Tage Schöpfung im ersten Buch Mose zum Ausdruck bringen: zu loben, preisen und kennen Gott. Arndt macht uns die Schöpfung der kleinen Welt durch die Schöpfung der grossen Welt zu sehen. Er zeigt das Licht der kleinen Welt im Menschen durch die Schöpfung des Lichtes in der grossen Welt. Bei ihm ist die sichtbare Welt von der unsichtbaren Welt nicht getrennt, sondern verbunden. Deswegen sondert nicht die Bewahrung der Schöpfung Gottes von die Existenz der Menschen ab. Die Seligkeit des einzelnen Menschen steht mit der Bewahrung der Schöpfung in Verbindung. Da der Sünder, d.h. der das Bild Gottes Verlorene, seine eigene kleine Welt verderbt, mußte die grosse Welt verderben. Daher ist es keineswegs denkbar die Trennung der Wiederherstellung der Schöpfung Gottes von der Wiederherstellung des ursprünglichen Menschen. Die Zerstörung der Schöpfungswelt beruht auf die Verderbnis des Menschen, weil der Mensch sein ursprüngliches Bild verloren hat. Deswegen ist die Seligkeit bei Arndt, das ursprüngliche Bild des Menschen in der Schöpfung wiederherzustellen, weil der urspüngliche Mensch nicht verderbt, sondern gut war.
        33.
        2010.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가족 관련 그림책을 이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가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5세 단일 연령 학급 유아 26명(남 16명, 여 10명)이었다. 사용된 검사 도구는 가족에 대한 유아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로 다양한 가족 관련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기초로 연구자가 면접을 위한 질문지의 형태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유아의 가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 후 유아의 반응을 항목별로 분석하였고,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유아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x²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족 관련 그림책을 이용한 교육활동은 다양한 가족형태(한부모 가족, 국제결혼 가족, 조손 가족)와 다양한 가족 유아(한부모 가족 유아, 국제결혼 가족 유아, 조손 가족 유아)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