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4년 발표된 루쉰의 소설 「축복(祝福)」에는 유교와 민간신앙이라는 두 가지 전 통적 가치체계가 등장한다. 그리고 현대지식인을 대표하는 ‘나’는 이 두 전통적 가치 에 대해 관찰자적 입장에서 비판적인 시선으로 서술한다. 그러나 유교와 민간신앙 모두로부터 배제되어 절망한 샹린댁이 ‘나’에게 영혼과 지옥의 존재에 대해 묻는 순 간부터 ‘나’는 「축복」의 관찰자가 아니라 주인공이다. 샹린댁의 질문은 도와달라는 신호와 마찬가지였지만 ‘나’는 철저하게 외면한다. 뿐만 아니라 영혼의 존재에 대해 확실히 말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은 ‘축복’ 제의 속에서 천지신명의 존재를 느끼며 위 안을 얻는다. ‘나’는 샹린댁의 도움 요청을 외면함으로써 샹린댁의 비극에 책임이 있 는 가해자 중 한 사람이 된다.
하늘소아과 검정삼나무하늘소속의 미기록아속인 호리검정삼나무하늘소아속(신칭)에 속하는 Ropalopus (Pronocerodes) aurantiicollis Plavilstshikov, 1940의 한반도 분포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형태적 기재와 사진, 국내 검정삼나무하늘소속의 검색표를 함께 제공한다.
창날개뿔나방과의 모래창날개뿔나방(Alloclita mongolica Sinev)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보고는 모래창날개뿔나방속(Alloclita) 의 국내 첫 기록이며, 모래창날개뿔나방의 세계 분포 상 최남단 기록이기도 하다. 국내 채집기록으로 보아 모래창날개뿔나방은 주로 해안사구에 서 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희귀종의 외부 형태 및 수컷 생식기의 특징을 기술하고 사진을 도시하였다.
Two specimens of Hemitrygon izuensis (395.8-471.5 mm in disc width), belonging to the family Dasyatidae (Myliobatiformes), were collected from the waters off north-eastern Jeju-do Island in June 2016 and Pohang in August 2019. This species was characterized by having no spots on dorsal side of disc, white ventral tail fold and short preorbital snout length (15.6-18.3% of disc width). This species is similar to H. akajei and H. sinensis reported in Korea, but differs in small denticles on mid-line of dorsal surface of disc (absent in H. izuensis vs. present in H. akajei and H. sinensis), the length of ventral tail fold (28.1-31.0% in H. izuensis vs. 48.0-48.6% in H. akajei vs. 45.0% in H. sinensis), color of ventral tail fold (white in H. izuensis vs. black in H. akajei and H. sinensis) and small tubercles on the posterior part of tail (absent in H. izuensis vs. present in H. akajei and H. sinensis). We suggest a Korean name for H. izuensis as “I-ju-gal-saeg-ga-o-li” following Kim et al. (2019).
Using first-principles theory, this work investigated the Cu-doping behavior on the N-vacancy of the C3N monolayer and simulated the adsorption performance of Cu-doped C3N (Cu–C3N) monolayer upon two dissolved gases ( H2 and C2H2). The calculations meant to explore novel candidate for sensing application in the field of electrical engineering evaluat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transformer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Cu dopant could be stably anchored on the N- vacancy with the Eb of − 3.65 eV and caused a magnetic moment of 1 μB. The Cu–C3N monolayer has stronger performance upon C2H2 adsorption than H2 give the larger Ead, QT and change in electronic behavior. The frontier molecular orbital (FMO) theory indicates that Cu–C3N monolayer has the potential to be applied as a resistance-type sensor for detection of such two gases, while the work function analysis evidences its potential as a field-effect transistor sensor as well. Our work can bring beneficial information for exploration of novel sensing material to be applied in the field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provide guidance to explore novel nano-sensors in many fields.
Rye (Secale cereal L.) is the most tolerant to abiotic stress including low temperature, drought, and unfavorable soil conditions among the winter cereals. Rye is the rapid growth of early spring results from increasing areas for the use of the forage and green manure in the middle part of Korea. “Jungmo2509”, a rye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in 2014. It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Olhomil”, a self-compatible cultivar, and “Synthetic Ⅱ”, a self-incompatible line. “Jungmo2509” is an erect plant type and of a middle size, with a green leaf color, a yellowish-white colored culm, and a yellowish brown-colored, small-size grain. The heading date of “Jungmo2509” was April 23, which was 5 days later than that of “Gogu”, respectively. But “Jungmo2509“ showed greater resistance to lodging compared to that of the check cultivar, with similar to winter hardiness, wet injury, and disease resistance. “Jungmo2509” was a higher to than “Gogu” in terms of protein content (9.4% and 8.0%, respectively),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55.7% and 55%, respectively). The seed productivity of “Jungmo2509” was approximately 2.08 ton 10a-1, which was 11% lower than that of the check. Almost all rye cultivars are out-crossing due to genes controlling incompatibility, but “Jungmo2509” is higher seed fertility (56%) than that of Gogu (0%). it has self-compatible genes. “Jungmo2509” is erect in plant type and resistance for lodging. Therefore, “Jungmo2509” can produce uniform seeds for processed grains of human consumption and utilize them as parents for breeding the rye hybrids with high forage yields.
이 연구는 한국 교회의 1세대 선교학자들 중에 이광순 교수에 대한 연구이다. 전재옥, 전호진, 강승삼, 이태웅 등과 더불어 이광순 교수는 한국 선교학자의 1세대에 속한다. 그는 1986년 풀러에서 박사 학위 취득 후 장신대에서 가르쳤으며 많은 예장 통합 선교사 훈련에 참여했다. 이 연구는 이광순 박사의 선교학과 예장 통합 선교사들과 한국 교회에 대한 공헌을 이해하고자 했다. 이것을 위해 본인은 이 박사의 연구논문들과 저서들과 박사 학위 논문을 참고했다. 본인은 우선 그 이전의 두 명의 장신대 선교 관련 교수들에 대해 간략히 고찰한 뒤에 그의 생애와 사역을 정리했다. 그 뒤에 본인은 그의 연구 주제들을 여섯 개의 주제와 몇 개의 작은 주제들로 정리했다. 마지막으로 본인은 이광순 박사의 사역에 대해 논의했다. 이광순 박사와 그의 연구가 영어권에서 비교적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그의 생활과 사역을 보다 자세히 살펴 보았다. 이 연구는 이신형의 선행 연구보다 광범위하게 이광순 박사에 대해 살폈다.
A single specimen of Chaetodon vagabundus Linnaeus, 1758 belonging to the family Chaetodontidae was collected on September 8, 2013 in Yerae-dong, Seogwipo-si, Jeju Island, Korea.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 vagabundus are similar to C. auriga and C. auripes in having dark vertical stripes cross the eye, but differs from C. auriga, which has high dorsal fin extended between spine and soft rays without concavity and has blotch of circle in dorsal fin, and from C. auripes which has yellow body, big of eye proportion and a black stripe along the caudal peduncle during the immature stage. C. vagabundus has eye-like black spots on dorsal fin and black vertical stripe extended from the anterior dorsal soft ray to the middle of the anal fin along the caudal peduncle. Molecula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our specimen perfectly matched C. vagabundus in the mitochondrial DNA COI sequences. Therefore, we use the Korean name, “Hwang-jul-na-bi-go-gi” for C. vagabundus proposed by Kim et al. (2020).
Free-living nematodes feed on bacteria, algae, fungi, dead organisms, and living tissues. They release nutrients for plant use and improve soil structure and water holding capacity. They are usually the most abundant type of nematodes in soil and marine environment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survey the distribution and identification of soil nematodes from rhizosphere soil of plant for investigation of indigenous species according to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Three species of free-living nematodes belonging to the order of Dorylaimida were found from paddy soil and soybean fields, Miryang, Gyeongsangnam-do and one species was found from soil, Dokdo island, Gyeongsangbuk-do, Korea. Aporcelaimellus obtusicaudatus, Eudorylaimus arcus and Mesodorylaimus spengelii are newly collected from Korea. A. obtusicaudatus can be recognized by its large body, short odontostyle being much thicker than cuticle at the same level, well developed gonads, shape and length of the tail. E. arcus is distinctive because of the wide lateral field, tail form and supplement arrangement. M. spengelii is smaller species with short odontostylet, simple guiding ring. Female tail more or less uniformly attenuated, tip is not swollen, nor curved dorsally.
21세기 한국교회는 교회적 차원, 타종교적 차원, 민족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첫째, 교회 성장의 쇠퇴 현상 속에서 교회 성장 동력의 회복 방안은 무엇인가? 둘째, 한국종교의 양대 축을 형성하는 불교와의 긴장 관계 속에서 불교도 전도의 효과적인 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반백 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민족분단의 상황 속에서 북한 복음화의 대비적인 방안은 무엇인가? 해석학적 공동체로서 교회의 상황신학 창출 책무에 주목하면서 필자는 상기한 삼중 과제를 탐색적으로 고찰한다. 먼저 II장에서는 선교와 상황화의 상호 불가분성이 하나님과 교회의 본질 및 사명과 연계되어 소개된다. 이어서 III장, IV장, V장에서는 교회적, 타종교적, 민족적 차원에서 민중신학, 회통모델, 단군사상의 기여점 및 한계가 각각 순차적으로 제시된다. 본고의 연구 결과 21세기 한국교회에게 부여된 해석학적 공동체의 역할은 민중신학의 사회참여성, 회통모델의 상호존중성, 단군사상의 민족유대성을 중시한 통전적 상황신학의 구축 이다.
시설토마토에서 사전에 해충밀도를 예찰 하지 않고 작물 정식과 동시에 적용한, 기생성/포식성 천적과 그들의 먹이원/서식처가 결합되어 있는, ‘Natural Enemy in First (NEF)’ 기술의 총채벌레와 진딧물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처리 후 12주차에 NEF 처리구에서 총채벌레 밀도억제 효과는 천적처리구 및 관행방제구에 비해 각각 32%와 82% 더 높았다. 처리 후 진딧물의 밀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낮게 유지되어 처리구간 유의성 있는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