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8

        221.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FRP를 이용한 보강에서 낮은 내화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보강된 FRP의 외부를 내화보강하는 방법에 대한 내화실험을 실시하였다. 특히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피복에 홈을 형성하여 FRP를 매입하는 보강 즉, NSM보강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에서의 주요 변수는 보강방법과 사용 내화재료로서, Perlite계 재료를 표면에 분사하여 보강하는 방법, Calcium silicate계 보드로 표면에 부착하는 방법, 그리고 추가로 홈내부에 Polymer mortar 또는 Calcium silicate조각을 삽입하여 보강하는 방법으로 보강한 뒤 가열로 내부의 온도변화에 따른 열전달을 관찰하였다.실험결과, Perlite계 내화뿜칠로 표면을 보강하는 경우보다 Calcium Silicate계 내화보드로 표면을 보강하는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홈 내부의 에폭시가 유리전이온도에 도달할 때의 외부 표면온도 820℃까지 내화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2.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구조성능 개선을 위하여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의 사용량, CFRP시트 보강 유무에 따라 총 7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하여 구조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 보강 실험체 NER 시리즈의 경우, 표준실험체 NBS와 비교하여 12~46% 내력이 증가하였고,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L 시리즈는 표준실험체 NBS보다 최대내력이 22~77% 증가하였다. 그리고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으로 보강된 실험체 NER 시리즈는 부착슬립, 피복분리 형태로 파괴되었으나,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을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L 시리즈는 CFRP시트의 연속보강에 따른 콘크리트 구속효과 및 모재와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의 부착강도 증가로 인하여 부착슬립의 형태로 파괴되었다.
        223.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mprove and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 using Groove and Embedding FRP Rod and CFRP Sheet i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Test result shows that retrofitting specimen(RBCJ-SR2, SRCB2) designed by the improvement of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s load-carrying capacities were increased 1.78 ~ 2.29 times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specimen.
        224.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had designed and constructed floating type photovoltaic energy generation system, which is improved the structual and economical efficiency, compared with the system developed in the previous research. In this paper,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wind force coefficient on a PV panel installed on the floating type PV energy generation system are investigated though the two-dimensional wind tunnel tests. Test variables included the angle of PV panel, direction of wind, number of rows of PV panel and attached or not attached frame.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wind tunnel tests, it was found that the wind force coefficient can be used as a preliminary data in the design of the structure.
        225.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complement the general concrete, DFRCC(Ductil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has recently received attention. An experimental study for bond slip behavior of cast-in-place DFRCC and a pultruded FRP(Fiber Reinforced Polymer) plank was used as the both permanent formwork and the tensile reinforcement for a concrete structural member is described in this paper.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on of the bond capacity of sand coated interface between FRP and cast-in-place DFRCC experimentally.
        226.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lexural behavior of concrete beams with steel bar and FRP reinforcement. An investigation was performed on the influence of the flexural stiffness, cracking, deflection behavior. Specimen with FRP reinforcement showed a higher strength than specimen with only steel bar. Concrete strength had an effect on improvement in flexural strength and ductile deformation.
        227.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order that flexural behavior evaluated High-strength Concrete Beams reinfrced with FRP plates according ro replacement ration of recycled aggregate. As a result, maximum load was higher than existiong of unreinforced when the reinforced with FRP plates and no decrease in load about increased fo replacement ration of recycled aggregate. Some specimens was greater than ACI 440-2R referemce value.
        228.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RP Hybrid Bar for concrete structures, especially for marine and waterfront concrete structures. The purposes of hybridization are to increase the elastic modulus of GFRP bar with acceptable tensile strength. In this paper, using E-glass fibers and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and steel wires, the FRP Hybrid Bar samples were pultruded and tested for tensile properties.
        229.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mechanically fastened FRP strips and subjected to sustained loads for six months were exposed to outdoor weather and constant high temperatures (40°C). For comparison, the behavior of RC beam with and without sustained loads was evaluated. Results from flexural tes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egradation or change of failure mode as a result of sustained load and of environmental effects such as high temperatures and outdoor weather over a period of six months.
        230.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chanically fastening FRP (MF-FRP) strips using nails and anchors, has been shown to provide a more ductile behavior to the strengthened structural element than using bonded FRP. To further advance the state of the knowledge on this strengthening method, the current study examined environmental effects for six months on MF-FRP beams.
        231.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 finite element analysis to evaluate thermal conductivity of FRP (Fiber Reinforced Polymer) retrofit system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Especially, this paper focused on near-surface-mounted retrofit method; FRP is mounted into the groove after making a groove in concrete. Midias-FEA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ase that the epoxy was covered by various board to resist fire such as, calcium silicate or alumino silicate board. Analysis results give that the prediction of temperature transition from surface is possible by FE analysis and the result can be used to evaluate fire resistance of certain fire proof materials in FRP retrofit system.
        232.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esides its exceptional resistance to corrosion, Fiber Reinforced Polymers (FRP) present the advantage to develop high strength compared to its self-weight which highlighted it recently as a material that can replace fairly classical construction materials like steel and concrete. The emergence of glass fiber and the development of resin fabrication technology made it possible to reduce significantly the costs of FRP material and the emphasis given on the importance of life cycle cost (LCC) for structures after the 1980s opened its exploitation in the construction domain. In this paper, research trends of structural member development which is related to FRP material are briefly suggested.
        233.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못과 앵커를 이용하여 FRP를 콘크리트에 부착시키는 MF-FRP 공법은 에폭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시키는 외부 부착 FRP 보강 공법에 비하여 더 많은 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많은 연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이러한 MF-FRP 공법의 사용은 앞으로 증가할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MF-FRP 보강법의 환경영향에 대한 평가에 대해서는 현재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MF-FRP 구조물이 구조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6개월의 기간 동안 환경조건을 구성하여 보강보의 거동을 비교 평가하였다.RC보에 MF-FRP 보강 공법을 적용시킨 후 지속하중을 가하는 조건과 함께 서중온도 (40℃) 및 외기환경 조건에 6개월 (10월-3월)의 동절기 기간 동안 보강보를 노출시켰다. 이후 4점 휨실험을 수행하여 각 시험체의 구조건전성을 평가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환경 조건에서는 MF-FRP 보의 강성 변화나 파괴모드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구조건전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의 파괴모드는 FRP의 박리와 콘크리트의 파쇄에 의해 결정적인 영향을 받으며 못과 앵커로만 연결된 FRP와 콘크리트의 부착성능은 파괴모드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것으로 나타났다.
        234.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구조물의 내진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기둥의 경우 지진에 의한 횡하중을 저항하지 못하고, 취성적인 파괴가 유발되어 구조물 전체적 붕괴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빠른 시간내에 보강이 가능하면서 기둥에 손상을 주지 않는 기존의 보강법과 구별되는 응급 보강법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기둥 보강법으로 단면 증설법과 강판보강법 등이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되었지만, 최근에는 FRP (Fiber Reinforced Polymer)의 장점을 활용한 탄소섬유시트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긴급시공이 가능한 체결식 FRP 내진보강재를 사용한 구조물의 내진성능보강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검토를 위하여 실제 구조물의 축소모델의 철근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고 횡방향 변위하중을 가력하였다. FRP 내진보강재를 이용한 내진보강시공후 실내시험을 통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보강재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보강 시, 내진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235.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retrofit by using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has been widely applied to building structure. However, it loose the retrofit contribution under high temperature due to fire because of its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this manner,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re resistant capacity in FRP retrofit system. Thermal transition of various fire resistant materials were verified by performing high temperature loading tes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alcium silicate and alumino silicate had high resistance on the heat transition.
        236.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model the pillars was actually performed finite element analysis while changing the amount of reinforcement in the top and bottom of the column the FRP sheet. The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reinforced by examining the optimal amount of FRP reinforcement decided.
        237.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cial interest in the seismic retrofit of the structure is growing massive earthquake that occurred recently. The brittle fracture of Non-seismically designed Columns lead to full collapse of the building. In the past, cross-sectional expansion method, a steel plate reinforcing method is applied mainly in recent years, fiber-reinforced method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he composite material are preferred. However, the reinforcement methods such as this, there is a drawback to induce physical damage to structures, and time consuming work space is large. IIn this study, FRP seismic reinforcement was developed using the Aluminum connector and the composite material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Then, the optimum quantities of FRP seismic reinforcement was determined using a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Finally, the quantity decision process through the design and analysis of FRP reinforcement was suggested.
        238.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강섬유와 FRP 시트에 의한 충격 저항성능 향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고속 충격하중을 받는 2방향 RC 슬래브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으로는 충격해석에 탁월하다고 알려진 LS-DYNA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위하여 핀란드 VTT 연구소에서 수행한 고속 충격 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해석을 수행하였다. 2100×2100×250 mm의 RC 슬래브에 강 (steel)발사체를 통해 충격하중을 가하였으며 발사체의 무게는 47.5kg, 속도는 134.9m/s였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재료부재에 대한 충격실험을 통해 해석에 사용할 재료 모델을 검증하였다. 본 해석에서는 SFRC의 비선형적 연화 현상을 모사하기 위해 elastic-plastic hydro model을 적용하였으며, 보통콘크리트와 FRP의 재료모델을 모사하기 위해서 concrete damage model과 orthotropic elastic model을 각각 사용하였다. 해석 결과, 제안된 해석 기법은 충분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으며, 보강 재료와 보강 기법의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강섬유와 FRP Sheets 보강방법은 고속충격하중에서 우수한 충격 저항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239.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ensile behavior of hybrid reinforcing polymer ba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behavior change of hybrid FRP bar according to the volume fraction and position of fibers. Considered FRP bar had 13 mm in diameter and fibers of it were glass and steel fiber. The results obtained in the FEM analysi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240.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P hybrid bar, a type of the reinforcing bar, is combined with the FRP or steel core and FRP cover. FRP braided hybrid bar is a type of the FRP hybrid bar having the FRP braid as FRP cover. To estimate the axial behavior of FRP braided hybrid bar, the behavior of FRP braid in axial direction of the bar should be calculated. In this paper, to estimate the stiffness of FRP braid in axial direction of the bar, the approximate analytical solution was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