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8

        144.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research demonstrates that luxury product advertisements containing kitsch lowbrow art are perceived as unique, trendy, and hip and the perceived uniqueness positively influences luxuriousness judgment of the featured products, especially for participants with high narcissism and status seeking tendency.
        4,000원
        151.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cosystem firms have been dominantly implementing knowledge sharing and collaboration between consumer interest groups, business firms and technology platform vendors (Adner, 2016). The ecosystem businesses create new value through business activity arrangements and individual offerings of the shared assets, standards, and interfaces upon a technology platform (Adner, 2006). Face with the highly dynamic and competitive environment, the multisided ecosystem platform firms specifically design mobile app to generate more participation in co-creation of value (Roma & Vasi, 2019). Little research has been dedicated for mobile app developers to understand user’s context-centric and user’s personalistic-centric mobility to formulate diversification or specialization in the cocreation strategic process. Our work focuses on the ecosystem users and customers as focal stakeholders who experiencing the peer-to-peer ecosystem platforms via mobile application could perceive context-centric and personalistic-centric mobility to fit, to make identification, to cocreate value, and to contribute to the ecosystem by their equity.
        4,000원
        153.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iscusses consumers’ use of fashion to promote various civic causes, such as polit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Fashion has become a civic act. The fashion industry is beginning to create items to suit this purpose. This paper reviews literature supporting fashion activism, identify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paper contributes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Academically, it identifies the gap in literature referring to the understanding of the use of fashion by youth as a means of civic engagement. Prior studies are limited in scope. Thus, we urge further research to investigate fashion activism. This study contributes practically by opening up the idea to practitioners about fashion as communication tools regarding polit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matters.
        4,000원
        154.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In a world where mobile has become our primary device, marketers should think about mobile as a sound off environment, where users hate being interrupted with sound.” -Caroline Hugonenc (2019), Global VP Research & Insights at Teads.tv The soundless video ad is the new trend online ad that received little attention (Campbell & Pearson, 2019). Facing the new trend of soundless video ads,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how to improve consumers’ attitudes toward soundless video ads by manipulating subtitle. Drawn on process fluency theory (Reber et al., 2004), this research aims to answer three research questions to help practitioners design effective soundless video ads. RQ1: Can adding subtitle to a soundless video advertisement (ad) increase consumers’ positive attitude? RQ2: Does the font type of subtitle influence consumers’ attitude? RQ3: Does the interaction effect of font type and subtitle position influence consumers’ attitude?
        3,000원
        156.
        2020.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gital media play an undeniably influential role in contemporary communication, facilitating new kinds of multimodal forms of representation. However, ELT pedagogy does not always take these multimodal aspects of communication into account in a systematic way. One pedagogical approach that has been developed for this purpose is ‘multimodal composing’ or ‘digital multimodal composing’. This approach caters to the needs of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the digital age by engaging with multimodal forms of communication in digital media which are ‘embedded’ alongside the reading and writing tasks that make up the core of traditional approaches to ELT. In this article, I provide an overview of scholarly work that has been done in developing this approach. Drawing on a case study of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Hong Kong, I demonstrate what the approach looks like in practice and suggest how it might be implemented in other contexts, balancing multimodal forms of communication with the traditional demands of the English language curriculum.
        4,600원
        157.
        202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5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통한 모신 하미드의 『떠오르는 아시아에서 더럽게 부자 되는 법』의 다시 읽기로서, 두 작 품에서에서 발견되는 ‘성경 읽기’의 내러티브 구조를 통해 『떠오르는 아시아에 서 더럽게 부자 되는 법』이 현대 자본주의의 문제를 근대자본주의 윤리의 상실 의 결과로 재현하고 있음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이 두 작품이 신-신 자, 작가-독자의 관계 속에서 성경 읽기의 종교적 내러티브 구조를 이루고 있음 을 논의하고, 자본주의의 종교적 속성이 개인의 경제관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는 이데올로기로서 작용함을 살펴본다. 또한 이러한 맥락 속에서 베버의 종교적 윤 리로서의 근대자본주의 정신이 하미드의 소설 배경인 현대자본주의 시대에 이 르러 변질된 윤리의 상실로 재현되고 있음을 살펴봄으로써, 하미드의 『떠오르 는 아시아에서 더럽게 부자 되는 법』이 재현하는 현대자본주의의 문제가 종교 적, 윤리적 차원의 분석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본다.
        6,100원
        159.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 해 공직자의 교육 훈련, 업무 자율성, 업무수행역량, 직무 만족과 네 가지 변수로 구분하여 이를 정부 중앙·지방부처의 조직성과에 대해서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조사한 2018 년 공직생활실태조사와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2018년 “공직생활실태조사” 데이터를 습득했고 이를 분석에 활용했다. 또한, 연구의 실증분석 대상으로는 46개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자치단체에 속해 있는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분석 결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은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이 정(+)의 관계에 대해서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직자의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이 직무 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공직자의 직무 만족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연구자가 상정한 가설이 모두 지지가 되었고, 그 결과로 그간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공직자의 교육 훈련 연구를 확장했다는 의미가 있는 동시에 업무 자율성과 업무수행역량에 대한 변수들이 직무 만족과 조직 성과에 변수와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업무 자율성과, 업무수행역량이 개인, 조직 차원서 영향을 주고 이는 곧 국가 차원으로 확산할 것으로 가정하여 분석하였으나 기존 자료에 한계가 있었고 이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개인과 조직 차원에서 국가 차원으로 전이되는 구성 요소를 찾고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 향후 연구 방향이라 할 수 있다.
        5,400원
        160.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그동안 북한선교는 통일 담론에 휘둘려 제대로 된 선교전략을 세울 수 없었고, 혼재된 대북 관계와 북미 관계로 인해 이행할 수도 없었다. 북한선교는 자체의 정체성(일명: 상수)을 재정립하고 정치적 과제(일명: 변수)와 연관되지 않아야 가능하다. 북한선교의 변하지 않는 상수의 선교정체성과 변하는 변수의 배경을 분리해야 하는 것이 다. 그러면 비로소 통일 이전과 이후의 북한선교의 전략적 정책이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북한선교의 통일 이전의 전략은 복음의 직접 사역과 비즈니스 선교전략이다. 통일 이후에는 관계성을 중심으로 한 민족복음화 선교전략으로 이어져야 한다. 통일 이전과 이후에도 북한선교는 여전히 양 교회 간의 갈등과 대립, 오해와 비난 등으로 상당한 문제가 야기될 것이다. 통일 이후 북한선교는 민족복음화를 변곡점으로 해서 시작될 것이다.
        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