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52

        24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칼립투스(Eucalyptus pulverulenta) 잎에서 치료적 효과가 큰 α-pinene과 1,8-cineole 함량증가에 미치는 H2O2와 SA 처리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유칼립투스가지를 H2O2 수용액(0.3, 0.5, 1%)과 SA 수용액(0.1, 1mM)에 침지하거나 잎에 엽면살포(0.1mM SA, 1% H2O2)한 뒤 시간흐름(0, 0.5, 1, 2, 4시간)에 따른 α-pinene과 1,8-cineole의 함량변화를 분석한 결과, 침지처리에서 유칼립투스 잎의 α-pinene 함량(mg・L-1)은 0.1mM SA에 2시간 침지 후 1.62에서 5.48로 크게 증가하였으며(238.27%, p=0.012), 1,8-cineole 함량(mg・L-1)은 1mM SA에 4시간 침지 후 44.44에서 78.96으로 크게 증가하였다(77.66%, p=0.026). 살포처리에서는 0.1mM SA를 엽면살포 30분 후 α-pinene 함량(mg・L-1)은 1.62에서 3.91로(141.36%, p=0.007), 1,8-cineole 함량(mg・L-1)은 44.44에서 87.91로 증가하였다(97.82%, p=0.001). α-pinene과 1,8-cineole 모두 살포처리 30분 뒤 크게 증가하여, 엽면살포가 짧은 시간내에 방향화합물을 증가시키는데 침지처리보다 효과적이었으며, H2O2와 SA 처리는 α-pinene과 1,8-cineole의 함량증가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또한, SA의 처리가 H2O2보다 방향화합물 함량증가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유칼립투스 가지의 경우 원예치료 2시간 전에 0.1mM SA 용액에 담그거나 30분 전에 잎에 살포하면 monoterpene의 유칼립투스 함량이 크게 증가되었다.
        4,000원
        242.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establish the three concepts of upcycling, zero-waste fashion design, and regional sustainability through a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Furthermore, it will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using upcycling as a regional sustainability practice to create zero-waste fashion design.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we systematized the stages of the survey on waste resources in Changsin-dong, the sourcing and utilization of waste resources, the design-planning stage, and the co-production with pattern and sewing masters as a suggested practice for regional sustainability.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the possibility of regional sustainability by developing and sharing the method of zero-waste fashion desig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upcycling fashion designs can be extended to a regional sustainability practice by tak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design into account. Second, by providing a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methodology suitable for regional sustainability application, it is helpful to revitalize regional upcycling fashion brands and communities by providing data for upcycled fashion branding. Third, as part of the revitalization project for the Changshin and Soongin areas that started in 2014, using the region’s economic, cultur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o make and sell high-value, upcycled fashion products will contribute to social and economic achievements and aid in solving regional problems.
        5,100원
        249.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 팥, 들깨 및 매실원에서 집합페로몬 로케트트랩에 의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인효과를 조사하였다. 콩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썩덩나무노린재의 집합페로몬(aggregation pheromone; AP)를 각각 및 조합하여 로케트트랩에 주입하여 콩포장 내 10, 5 및 0m(콩포장 가장자리) 지점과 콩포장 바깥 5m(휴반) 지점에 설치한 결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인수는 콩포장 바깥 5m(휴반)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른 설치지점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경향은 썩덩나무노린재의 유인수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썩덩나무 노린재의 AP를 각각 및 조합하여 로케트트랩에 주입하여 팥포장내 5m, 팥포장의 가장자리, 들깨포장내 5m, 팥과 들깨포장의 경계, 팥포장밖 5m 지점에 설치하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썩덩나무노린재의 유인수를 조사한 결과 이들 노린재류의 유인수는 팥 포장밖 5m 지점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매실원에서 집합페로몬 로케트트랩의 설치지점 에 따른 노린재류의 유인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가장자리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과원내>과원밖 5m>과원밖 10m>과원밖 15m>과원밖 20m 순으로 나타났으며, 썩덩나무노린재는 가장자리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과원밖 5m>과원밖 10m>과원밖 15m>과원밖 5m 및 과원내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농작물 재배포장에서 집합페로몬에 의한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는 로케트트랩의 설치지점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5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명나방(Maruca vitrata)은 열대ꞏ아열대성 해충으로 콩의 주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팥에서 피해가 큰 해충이다. 콩명나방의 유충에 콩과작물인 콩(대두, 소청자, 풍산나물콩), 팥(홍언), 동부(장채)와 인공사료를 각각 먹이로 제공하여 콩명나방의 발육상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인공사료를 먹이로 제공한 콩명나방 유충의 용화율과 우화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팥과 풍산나물콩을 먹이로 제공했을 때 용화율과 우화율이 높았다. 장채의 경우 유충이 한 마리도 용화하지 못했다. 콩명나방 유충이 용화까지 걸리는 기간은 인공사료를 먹이로 제공했을 때 가장 짧았고 다음으로 팥과 풍산나물콩을 먹이로 제공했을 때 짧았다. 용의 무게 또한 인공사료를 먹이로 제공했을 때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팥과 풍산나물콩을 먹이로 제공했을 때 높았다. 실험결과 팥 이외에 콩과작물에서도 유충이 성충까지 우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5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ruca vitrata is one of the destructive pests of tropical legumes. Radiofrequency dependent development and adult performances of M. vitrata were examined at five radiofrequencies of 0 (control), 5, 10, 20, and 30 kHz on artificial diet. The results showed that radiofrequenc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fe variables of M. vitrata. Radiofrequency exposures on pod borer impacted on life-variables of M. vitrata and negative effects were also transmitted to the successive generations. The adults of M. vitrata were emerged with shorter longevity in case of radio-frequency treatment than untreated. Decreasing the radiofrequency level further reduced the longevity of adults. The shortest adult longevity was recorded for 5 kHz. Radiofrequency treatments have also affected on the adult performance such as weight of adult.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erms of an alternative to chemical treatments.
        25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 growth regulators (IGRs) are insecticides that disrupt the normal development of target insects. Among the IGR insecticides, juvenile hormone (JH)-related IGRs are of particular interest because they stimulate or interfere with the formation of JH receptor complex. In the precious studies, novel JH-related IGRs with JH agonist (JHA) and antagonist (JHAN) activity were identified by using yeast two-hybrid system transformed with the Aedes aegypti JH receptor complex. In this study, the transcriptomic responses of Aedes albopictus were investigated upon JHA and JHAN, respectively. These results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understanding of impact of JH-related IGRs in transcription level.
        25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oney bees are challenged with declining colony numbers, generally called ‘Colony Collapse Syndrome’ (CCS). This issue is certainly a syndrome because it is due to a range of threats, including parasitic mites, exposure to agricultural chemicals and various viruses, among other things. We posed the hypothesis the CCS could also be due to declining nutritional qualities, which may relate to digestive physiology. Because there is no information on honey bee lipid nutrition and digestion, we characterized a digestive phospholipase A2 in honey bee midguts. In this paper, I will report on some of our findings. With a focus on students, I will also use this report to share thoughts on presenting and writing for international audiences.
        254.
        201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re currently considering to write a paper on the potential of using U.S. courts to push for U.S. participation in Jeju 4.3 reconciliation,similar to how reopening the Korematsu case tied into a broader reparations movement for the wrongful mass incarceration of Japanese Americans during World War II. For this paper, it plans to include some of the survivor testimony featured in the book Jeju 4.3 Grand Tragedy during ‘peacetime’ Korea: The Asia Pacific Context (1947-2016). The book contains a transcript of survivor testimonies given in Seoul on May 30, 2015. Some of the survivors whose testimony is included in the Jeju 4.3 Grand Tragedy book are petitioning to have their cases reopened. I would like to connect the petition to the importance of U.S. participation in Jeju 4.3 reconciliation. To do this, we would like to specifically incorporate parts of the petitioners’ testimony recorded in the Jeju 4.3 Grand Tragedy book into Hawaii team’s paper. We think including the testimony would powerfully emphasize the continuing need for social healing and would strengthen the argument for U.S. participation. If we can do it collaboratively, we can do a lawsuit or other such action in the US may help draw attention to the case in 2019.
        4,000원
        255.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시기능훈련 전 실시한 양안시기능평가 결과값이 시기능훈련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부등시 및 시기능훈련을 받은 경험이 없는 20대 성인 남녀 57명을 대상으로 60분씩 총 6번의 시기 능훈련을 진행한 뒤 양안시기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양앙시기능평가 항목은 시력검사, 폭주근점, 사위도, 융합여력, Gradient AC/A비, 융합용이성, 상대조절력, 조절래그, 조절근점, 조절용이성 검사를 포함하였다. 결과: 훈련 전 원, 근거리 음성융합여력이 작을수록 훈련 후 원, 근거리 음성융합여력이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원거리 융합여력이 작을수록 훈련 후 원거리 융합여력이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 계를 보였다(p<0.05). 훈련 전 근거리 음성융합여력이 작을수록 훈련 후 근거리 음성융합여력이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5), 훈련 전 근거리 양성융합여력이 작을수록 훈련 후 근거리 양성융합여력의 변화량이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또한 근거리 총 융합여력이 작을수록 훈련 후 근거 리 총 융합여력이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시기능훈련 후 양안시기능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훈련 전 실시한 양안시기능검사 항목 중 근거리 외사위도가 높을수록 시기능훈련을 통한 변화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융합여력이 작을수록 시기능훈련 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양안시기능평가 결과값에 따른 시기능훈련 효과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