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0

        301.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부산시내에 있는 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들을 대상으로 조직문화 및 리더십, 조직몰입이 조직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3차 대학병원의 조직문화,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p<0.001). 이직경험이 없는 그룹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조직 유효성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핵의 학과의 직무만족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방사선사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564, p<0.001). 방사선사는 질병의 진단에 있어서 병원 조직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사의 조직문화, 리더십,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방사선사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302.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ercus mongolica (QM), which belongs to fagaceae, is one of the oak native to Korea. We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branches extracted with 70% ethanol of QM (QM-B) and elucidated the potential signaling pathway in LPS-induced RAW264.7 cells. The QM-B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inhibition of NO production. The QM-B dose-dependently suppressed NO production by inhibiting iNOS, COX-2 and IL-6 expression in LPS-induced RAW264.7 cells. The QM-B inhibited the degradation and phosphorylation of IκB-α and NF-κB activation. The QM-B suppressed the phosphorylation of p38 and ERK1/2. Also, the QM-B increased HO-1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QM-B may utilize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suppressing NF-κB and MAPK signaling pathway and inducing HO-1 expression indicated that the QM-B can be used as a natural anti-inflammatory drugs.
        303.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넓은 동적 범위 특성을 제공하는 평판 디텍터 개발을 바탕으로 의료보건 환경이 디지털화되고 있 는 현 시점에서 적절한 필터 두께의 재설정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 임상에서는 기존 아날로그 시스템에서 연구된 정보를 바탕으로 NCRP에서 제안한 권고 기준을 이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방사선 촬영에서 알루미늄 필터를 이용하여 환자선량 최적화와 더불어 선량크리프의 최소화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알루미늄 필터의 두께를 증가함에 따라 유사한 선예도를 가지는 의료영상을 획득 시 피폭되는 피부입사선량을 최대 19.3%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상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해상력이 1.01 lp/mm의 큰 변화가 분석되었다. 이러한 해상력의 변화는 X선 빔 경화 현상으로 인하여 피사체에서 발생하는 산란선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산란 열화 인자를 통하여 산란선량에 의한 영향이 증가하는 것 을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하지만, 최근 개발되어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평판 디텍터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넓은 동적 범위 특성을 가지므로 필터 두께에 따라 산란선의 비율에 대한 증가분과 대응 하여 적정한 해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더 나아가 피폭선량 저감을 통해 선량크리프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04.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단방사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X-ray는 연속적인 에너지 분포를 가지지만 저에너지 광자의 경우에는 영상 형성 보다는 환자피폭에 더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저에너지 광자를 제거하기 위해 임상에서는 알루미늄 필터를 적용하고 있으나 이는 빔 경화 현상으로 인한 영상 품질에 악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필터에 의한 산란 선량이 의료 영상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영상의 대조도 저하를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상대 표준 편차 및 산란 열화 인자를 평가 지표로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70 kVp 이상의 전압에서 진단 영상을 확보 시 NCRP에 의해 권장되는 2.5 mmAl를 기준에서 전방산란율 분석 결과 0.69 %, 산란 열화 인자 분석 결과는 0.005, NNPS 분석 결과 3.59 mm2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알루미늄 필터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산란 선량이 의료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을 정량적으로 검증하 였다.
        305.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방사선 비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사용에 관한 지식 및 인식을 분석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을 바탕으로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의 기본 지식과 사용 분야에 관한 지식 정도는 성별과 연령에서 집단 간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공 계열에서는 일부 항목에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방사선에 대한 인식에서는 여자와 25세 미만에서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하부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방사선 지식이 높을수록 사용 분야의 지식과 방사선사용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앞으로 사회에 진출하여 방사선 인식을 제고 하는데 영향력이 크다는 점에서 방사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전달된다면 방사선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긍정적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306.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 비파괴 분야에서 사용되는 방사선원은 장비의 노후화 및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선원이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되어 왔다. 이에 선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안전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부곽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원의 위치 추적을 위한 line-array 선량계를 구성하는 unit-cell 선량계 단위의 각도의존성을 분석하기 위해 Monte Carlo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 기울기에서 상위 1 0% 수치에 대한 오차율은 0°에서 5.90%, 30°에서 8.08%, 60°에서 20.90%의 오차율을 보였다. 총 흡수선량의 비율은 0°(100%)를 기준으로 30°에서 83.77%, 60°에서 53.36%로 나타났으며 기울기가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모든 기울기에서 최대 수치는 30°의 No. 9에서 나타났으며, No. 10에서는 7.24%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각도의존성은 크게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선원과 line-array 선량계의 적정거리는 1 cm 이상의 거리에서 유지해야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307.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도입된 FFF 빔을 활용하는 방사선치료는 flattening filter에서 비롯되는 빔의 감쇠를 막을 수 있어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불균일한 단면적 선량분포에 대하여 정확한 정도관리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도전체 물질 HgI2 기반의 곡면 선량계를 제작하였으며,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6 MV 광자에너지에서 재현성 및 선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곡면 계측의 유용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아크릴 필터를 적용한 FFF beam에서 평면 기판과 곡면 기판 상에서 계측되는 신호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Unit cell 선량계의 재현성은 SE 0.613%, 선형성은 R-sq 0.9999로 나타났으며, line array 곡면 선량계의 유용성 평가는 평면 기판에서 23.337%, 곡면 기판에서 12.264%로 11.073%p 감소된 신호 차이를 보였 다.
        308.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60 및 Ir-192 등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비파괴 검사(Non-Destructive Test; NDT) 등의 분야에서 널리 쓰 임에 따라 방사선 안전관리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요오드화수은(Mercury(Ⅱ) Iodide; HgI2) 의 선원추적 시스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HgI2로 제작된 Unit cell 센서의 신뢰도 검증을 위한 전기적 특성평가를 수행한 후, 방사선에 대한 센서의 위치의존성을 분석하고, Planning system의 선량 분포와 비교 하였다. 평가결과, R-sq>0.99 이상의 선형성과 CV<0.015 이하의 재현성을 보이며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치의존성 평가에서는 센서의 isocenter에서 최댓값이 측정되었으며, 거리에 따라 점진적 감소를 나타냈다. 그러나 Planning system 상의 선량 분포 데이터와는 최대 30%의 차이를 보였는데, 센서는 단일지점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Planning system과 달리 면적으로부터 수집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309.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4대강 살리기 사업 후 퇴적현상이 지배적으로 발생하는 남한강과 섬강 합류부 구간을 대상으로 2차원 수치모형인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하천의 흐름 및 하상변동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대상지점 합류부는 남한강 본류의 만곡부에 지류 섬강이 유입되는 특성을 갖는다. CCHE2D 모형은 비평형 유사이송을 해석하며 소류사와 부유사 조정거리가 중요한 입력변수로 대상지점에서는 소류사 조정거리가 하상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모의 결과 유량비(Qr) 변화가 남한강과 섬강 합류부 지점에서 흐름 및 하상변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Qr≤ 2.5인 경우에는 합류전 본류의 유속이 증가하여 흐름박리구역을 감소시켰으며 이로 인해 합류부 내측의 퇴적이 감소하였다. Qr>2.5이면 합류부 구간에 퇴적이 증가하여 사주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모의를 통해 2013년에 발생한 유량비 변화에 의해 합류부에 고정사 주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310.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많은 선행 연구에서는 무연 차폐재를 제작하기 위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방사선 차폐 능력과 경량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바인더 및 미세 기공에 대한 구현이 어렵기에 제품화 공정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품화 공정에 요구되는 겔 페이스트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기 위하여 스크린 프린팅 공법을 활용하여 충전율에 따른 방사선 차폐 능력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차폐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IEC 61331-1: 2014와 KS A 4025에 부합하도록 실험 환경을 설계하였으며, 방사선 조사 조건은 KS A 4021 규격을 준용하여 총 여과 2.0 mmAl로 여과된 100 kVp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TVL를 기준으로 Pb 1270 μm, BaSO4 3035 μm, Bi2O3 1849 μm, WO3 2631 μm에서 근사한 값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충전율은 BaSO4 38.6%, Bi2O3 27.1%, WO3 30.15%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차후 저온고압 성형을 적용한다면 충전율을 높이면서도 기공률을 낮춤으로서 방사선 차폐 능력의 개선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311.
        201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non-Saccharomyces 효모와 S. cerevisiae Fermivin으로 혼합발효된 사과와인을 동결농축하였을 때,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여 고품질 무가당 사과와인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향미 증진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P. anomala JK04와 malic acid 분해능을 지닌 I. orientalis KMBL5774 효모를 사용하였으며, 혼합발효 후 알코올 함량이 12%(v/v)가 되도록 동결농축하였다. 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는 다른 시험구와 비교하여 발효속도가 늦어 발효를 완전히 진행시키지 않았다. 동결농축 후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의 당도, 환원당, 총산,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다른 시험구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다른 시험구들도 동결농축 후 해당 성분들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의 유리당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으며, 동결농축 후 2-3배 증가하였다. 유기산의 경우, lactic acid를 제외한 모든 유기산의 함량이 동결농축 후 증가하였으며 모든 시험구에서 m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I. orientalis KMBL5774는 malic acid 감산능력을 지니고 있어 malic acid 함량이 다른 시험구보다 낮게 검출되었다. 메탄올, 아세트알데히드, 퓨젤유의 경우, 동결농축에 의하여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식품공전상 허용기준치보다 낮게 검출되었다. 사과와인의 색도 분석에서는 hue value는S. cerevisiae Fermivin 단독발효구와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에서 동결농축 후 감소하였으나, I. orientalis KMBL5774 혼합발효구에서는 증가하였으며, intensity value는 모든 시료구에서 2배 가량 증가하였다. L과 a value는 모든 시험구에서 동결농축 후 감소하였으며, b value는 증가하였다. 총 20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저분자에 속하는 알코올류와 에스테르류 들의 함량이 동결농축 후 증가하였으며, 고분자에 속하는 물질들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non-Saccharomyces를 이용한 혼합발효구 모두 대조구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었으며, 특히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는 색과 향미에서, I. orientalis KMBL5774 혼합발효구는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 결과, 동결농축된 사과와인에서 다양한 성분들이 축적되어 새로운 무가당 사과와인 제품 개발의 가능성을 나타내었으며, non-Saccharomyces 효모 혼합발효는 사과와인의 품질 향상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312.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웰빙이라는 자연친화적인 건강한 삶을 핵심 가치로 추구하면서 실내 공기질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친환경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친환경 도료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천연방사성 물질인 라돈 저감이 가능한 활성탄 복합 시트를 개발하고 라돈, HCHO, VOCs에 대한 저감 효과를 평가 하였다. 활성탄 복합 시트는 규산나트륨 에멀젼과 활성탄을 혼합하여 활성탄 액상 도료를 제조하고 에어스프레이 공법을 통하여 복합 시트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활성탄 복합 시트에 대한 유해물질 저감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라돈은 환경부 고시, HCHO 및 VOCs는 KCL-FIR-1085 기준에 부합하도록 설계하였다. 실험결과, 제작된 활성탄 복합 시트는 20시간에서 약 90.8%의 라돈 저감 효율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HCHO 및 VOCs는 3시간에서 각 96.7%, 96.6%의 저감 효율이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실내 공기 질 개선을 위한 제품 개발 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13.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field, we invest a lot of time and resources in developing the radiation source system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ers. However, the probability of accidents is still high. In order to prevent potential radiation accidents in advance, it is necessary to directly verify the position of the radiation source, but the research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onitoring system that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radiation source in the source guide tube in the gamma-ray irradiat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diation detector are estimated by monte carlo simulation. As a result, the radiation detector for Ir-192 gamma-ray energy was analyzed to have secondary electron equilibrium at 150 μm regardless of the semiconductor material.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gamma ray response characteristic is the best in HgI2.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the optimal thickness of the radiation detector located in the detection part of the future monitoring system. In addition, when developing a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is, radiation workers can easily recognize the danger and secure safety, as well as prevent and preemptively respond to potential radiation accidents.
        314.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o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variation of Ixeris dentata on the antioxidant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producing area. Methods and Results : The samples were extracted with 70 % EtOH and then analyzed for total flavonoid contents, polypenol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uteinol 7-O-β-D-glucoside, an index component of the Ixeris dentata, was analyzed by HPLC. The leafs of Ixeris dentata in Jinan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polyphenols (23.91 ㎎/g), followed by Jinbu (22.63 ㎎/g) and Eumseong (21.36 ㎎/g).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in Jinan (15.27 ㎎/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inbu (14.05 ㎎/g) and Eumseong (13.99 ㎎/g). The contents of luteinol 7-O-β-D-glucoside were confirmed in Jinan (0.68%), Jinbu (0.49%) and Eumseong (0.36%),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comparison of antioxidant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Ixeris dentata according to the different producing area, Jinan was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followed by Jinbu and Eumseong.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of luteoline-7-D-glucoside varied among the different producing area.
        315.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lower the operational cost of microbubble generation by electrolysis, optimization of parameters limiting the process must be carried out for the process to be fully adopted in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settings. In this study, four test electrodes were used namely aluminum, iron, stainless steel, and Dimensionally Sable Anode (DSA). We identified the effects and optimized each operational parameter including NaCl concentration, current density, pH, and electrode distance to reduce the operational cost of microbubble gener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was directly related to the rate and cost of microbubble generation. Adding NaCl and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electrodes caused no substantial changes to the generation rate but greatly decreased the power requirement of the process, thus reducing operational cost. Moreover, comparison among the four electrodes operating under optimum conditions revealed that aluminum was the most efficient electrode in terms of generation rate and operational cost. This study therefore presents significant data on performing costefficient microbubble generation, which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applications.
        316.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 임상에서는 저에너지 광자를 감소시키기 위한 알루미늄 재질의 부가필터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부가필터의 이용은 X-ray 경화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산란선량이 화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부적절한 필터 두께를 이용은 환자에게 불필요한 노출이 발생하는 선량 크리프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가필터 사용 시 X선 빔 경화현상으로 인한 평균 에너지 증가에 따른 전방 산란선량발생이 영상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RMS 및 RSD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부가필터 두께가 증가할수록 전방산란율과 더불어 상대표준편차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상대표준편차는 평균값에 대한 표준편차가 상대적 크기를 의미한다. 평균값을 신호로 표준편차를 노이즈 성분으로 판단할 때 영상의 해상력에 지표인 신호 대 잡음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가필터 사용에 따른 전방산란율과 화질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북미방사선방호측정위원회에서 70 kVp 이상의 관전압에서 권고하는 2.5 mmAl 두께의 필터 사용 시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14.6%가 증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상 품질 개선을 위한 필터 연구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17.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spite the low removal efficiencies reported by previous studies, electro-flotation still stands out among other microalgae removal methods for its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To enhance removal efficiency, the important factors that limit the performance of this method must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possible ways of increas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microalgae have been explored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several important variables in electro-flotation. Eight parameters, namely flotation time, rising time, current density, pH, conductivity, electrode distance, temperature and initial concentration were evaluated using a one-parameter-at-a-time approach. Results revealed that the operational parameters that greatly affected the removal efficiency of microalgae were electro-flotation time, current density, pH, and initial concentration. The effect of conductivity, electrode distance, and temperature on removal efficiency were insignificant. However, they exhibited positive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power demand, which is nowadays considered an equally important aspect in the running of a feasible and economically efficient electro-flotation process.
        318.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genus of Mentha contains more than 25 species and has been used as cuisines, medicines, cosmetics, oral hygiene products, pharmaceuticals, pesticides, and flavor enhancing agent. Due to economical value of these species, many studies have identified and isolated the beneficial constituents such as flavonoids, terpenoids, and volatile compounds. In this study, the primary and secondary metabolites were investig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nine different Mentha species including peppermint (M. piperita), pennyroyal mint (M. pulegium), spearmint (M. spicata), horse mint (M. longifolia), water mint (M. aquatica), apple mint, pineapple mint (M. suaveolens), and chocolate mint, eau de cologne mint (M x piperita hybrids). Also, we reported the antioxidant properties using extracts of obtained plants. Methods and Results : In total, 67 metabolites were detected using gas chromatography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GC-TOFMS). The difference among nine Mentha spp. by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has been investigated. Various phenoilic compounds and carotenoids were characterized quantified in Mentha plants by HPLC. Of these, rosmarinic acid was found to be rich in most of this family. In addition, the highest content of riboflavin were indicated in spearmint. Moreover,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88.6 % 100 μl/ml in DPPH assay, 76.2% 100 μl/ml in hydrogen 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0.076 absorbance in reducing power assay) have been shown in horse mint. Conclusion : We determined the differences in accumul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metabolites (phenolic compound, carotenoid, and riboflavin) among nine Mentha species. Totally, 67 primary metabolites were identified and compared the difference by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Besides, horse mint has the highest and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ies compared to others.
        319.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agetes species which belong to Asteraceae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including, bloom size, shape, color, plant size, and leaf shape. The color of Tagetes flowers ranging from white to dark orange is due to accumulation of different carotenoids, pathway intermediates, and amount of the same carotenoid. Methods and Results : The carotenoids were monitored in flower extracts from six cultivars of Tagetes that include three T. erecta cultivars, Discovery Orange (DO), Inca Orange (IO), and Inca Yellow (IY), and three T. patula cultivars, including Durango Bee (DB), Durango Yellow (DY), and Safari Red (SR) using HPLC analysis. It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in carotenoid composition depending on cultivars and types of carotenoid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violaxanthin which represents orange color in plants was showed in IO, whereas the compound was not detected in DB, and DY. Yellow-colored cultivars such as IY, DB, and DY exhibited low levels of lutein. However, others that indicate orange color, DO, IO, and SR showed high levels of lutein. Also, similar pattern was found in the zeaxanthin measurements. α-carotene was significantly accumulated in SR compared to other cultivars. The highest amount of β-carotene was found in SR, followed by IO, IY, DO, DY and DB. Similarly, the highest and lowest amount of 9-cis-β-carotene was showed in SR and DB, respectively. Interestingly, all cultivars except SR in 13-cis-β-carotene showed the same pattern with β-carotene, but no detection indicated in SR.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differences in carotenoid yields among six Tagetes cultivars. In total, seven carotenoids that include violaxanthin, lutein, zeaxanthin, α -carotene, β-carotene, 9-cis-β-carotene, and 13-cis-β-carotene were detected. Among them, all of the cultivars accumulated primarily lutein. In addition, contents of each carotenoid varied in these flowers depending on cultivars.
        32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lants live in restricted spaces that are constantly exposed to various environmental stresses. Under these stressful conditions, plants lead to biosynthesize specialized metabolites to adapt to environmental stresses. Here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d on the metabolome of tartaty buckwheat, focusing the flavonoid biosynthetic pathway. Methods and Results : From the metabolic profiling based on the GC-TOF-MS analysis, we identified the effect of cold on forty-four metabolites, including sugars,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Most of sugars and sugar derivatives remain nearly unchanged or slightly decreased in the plants grown at 25 ºC, whereas sugar and sugar derivative contents of cold-treated plants significantly increased, excepting galactose. Some of amino acid and amino acid derivatives contents decrease in cold-treated plants, whereas organic acid derived from tricarboxylic acid (TCA) cycle were increased the cold-treated plants compared with the plants grown at 25 ºC. Particularly, the contents of two anthocyanins, cyanidin 3-O-glucoside and cyanidin 3-O-rutinosid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cold treatment. Proanthocyanidins such as epicatechin and catechin wer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by cold. The expression of most flavonoid biosynthetic genes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cold-treated buckwheat seedling. Among the flavonoid biosynthetic genes, the expression of FtANS was notably upregulated in response to cold. Conclusion : By analyzing both primary metabolites and secondary metabolites of tartary buchwheat without or with cold, we showed that cold play a critical role in the modulation of the primary metabolites and flavonoid synthesis pathway in tartary buchwheat. Particularly, anthocyanin and proanthocyanidin biosynthetic pathways are strongly up-regulated in response to c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