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21.
        197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수성으로 선발된 재내종대두 17계통을 2연동안 3개 지역에 재배 조사한 자료를 가지고 계통과 환경간 상호작용을 구명하고 각 계통의 적응력과 안정성을 회귀분석법에 의해 평가함과 아울러 연수, 지역수 및 반복수의 증가가 평균수량의 분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백질 및 지방함량과 특히 수량에 있어서는 유전분산에 비해 상호작용분산성분이 월등히 줬으며 기타형질은 그 반대현상을 보였고 일반적으로 연차에 의한 영향이 지역간차에서 오는 영향보다 줬다. 2. 각 형질의 유전력에 있어 수량이 14.44%로 제일 낮았고 기타형질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그 가운데 백립중이 95.03%로 제일 높았다. 3. 선발재래종 17계통 가운데 대비품종 봉의보다 12계통이 높은 생산성을 나타내었으며 그중 9계통은 우량환경에 높은 적응역과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3계통은 불량환경에 더 잘 적응할 수 있으나 안정성은 낮은 편이었다. 원연 200-27호 및 150-9호 계통은 평균수양이 300kg/10a이상으로 적응력 및 안정성도 높아 유망한 계통으로 생각된다. 4. 계통 수양의 표준오차는 지역수. 연수 및 반복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지역수가 적을 경우에는 연수의 증가가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반복수의 증가에 의한 표준오차의 감소는 지역수나 연수를 늘리는 것 보다 그 효과가 낮았다. 5. 본 시험에서 상호작용분산성분 및 표준오차의 감소정도를 고려한다면 일년간 8개 지역 이상에서 3반복의 검정시험은 다수성 계통을 선발하는데 적당하고 보다 선발의 정확도를 높히기 위하여는 3∼4년간의 시험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강원도지역의 옥수수는 다른 지역에서의 그것보다 평균 이배 가량 켰다. 8. 조사한 특성상호간의 관계를 지역적으로 나누어 본 결과 옥수수 재배면적과 10a당 수량은 옥수수가 많이 재배되는 곳에서는 r=0.85로 높았으나 옥수수의 재배가 그리 많지 않았던 지역에서는 이 두 변이간에 상관계수가 0.5이하였다. 이와 같은 경향은 특성들의 옥수수 재배면적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에서도 확인되었다. 9. 10a당 수량과 이삭의 무게에 있어서 옥수수 재배가 많은 곳(강원도)에서는 낮은 상관을 보였으나 재배가 낮은 곳(E지역)에서는 r=0.7로 높았다. 상대적 기여도에 의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10. 기타 입의 크기는 다른 모든 특성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11. 입의 크기가 재배면적이나 10a당 생산량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도 다른 특성에 비해서 훨씬 컸고 지역에 따라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있는 조합에 한해서 Heterosis정도가 현저하다. 7. 추출도는 어느 조합에 있어서도 현저한 Heterosis 정도를 나타내었으며, F1 세대에서 현저한 초우성을 나타내었다. 8. 천입중에 대한 Heterosis정도는 어느 조합에 있어서도 현저하지 아니하였다. 9. F2 세대에서의 입중의 Heterosis정도는 영남조생과 Waito가 교배친으로 되어 있는 조합에 한해서 현저한 Heterosis를 보이고 그중에서도 영남조생IR24 영남조생 Columb II에서는 초우성을 나타내었다 등이였다. 9. F1 및 F2의 평균간장은 양친의 간장 범
        23.
        197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자반병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각 지역으로부터 수집한 재래종대두 467계통을 관행법으로 재배수확한후에 조사한 종실의 자반병 자연감염율로서 저항성 정도를 판별하고 숙기에 따른 감염율의 차이와 재배 환경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반병에 감염된 종자를 파종하여 포장발아율(출토율)을 조사한 결과 계통간에 차이는 있으나 건전종자의 발아율에 비하여 평균 45%의 발아율 감소를 보였다. 2. 공시계통의 자반병 자연감염율은 전체의 28.9%가 0.1% 미만의 감염율을 나타냈고 1% 이상의 감염율을 보인 계통은 약 30%였으며 최고 감염율은 12.7%였다. 3. 자반병 자연감염율은 일반적으로 조숙계통이 만숙계통에 비하여 높았으며 개화기와는 부의 상관을 그리고 개화기에서 성숙기 까지의 기간과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4. 대두 품종의 개화기와 유협형성시기의 온도와 강우일수는 자반병 자연감염율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조숙품종 육성시에는 자반병저항성 문제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27.
        197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답에서 재배되고 있는 방사선돌연변이계통들의 도열병 저항성 검정을 위하여 절리엽편접종법이 시도되었다. 즉 포장에서 절취한 잎을 항온항습실내에서 punch압상을 만들고 그 위에 도열병균의 포자현탁액을 접종한 후 형성된 병반의 크기를 측정하여 계통간의 저항성정도를 비교한 결과 방사선조사된 풍광으로부터 Upland short row method에 의하여 선발된 저항성계통들은 모품종 풍광에 비하여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방법은 포장에서 재배되는 성숙식물체의 도열병저항성 검정을 위한 하나의 선발방법으로서 효과적이라 생각되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