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55

        40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날개매미충은 기주 범위가 넓고, 효과적 방제가 어려운 해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향후 더 큰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해충으로 지목되고 있다. 경북지역의 안동과 의성에서 3월부터 9월까지 4개 지점을 선정하여 갈색날개매미충의 월동란이 산란된 월동기주를 중심으로 월동란 부화 시점 및 부화 후 약충에서 성충까지 그리고 다시 월동란 산란까지의 패턴을 모니터링하였다. 각 지점의 환경조건 및 수목류 군락의 조성은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충분한 산란흔이 있었다. 1령 약충은 5월 중하순부터 하순까지 나타났고 산수유나무, 매실나무에서 가장 먼저 확인되었으며, 이후 수목류에서의 밀도증가 양상은 매실나무에서 더 빠르게 진행되었다. 그리고 2령 약충 까지는 기주식물에 인접한 수목류로의 이동한 모습도 일부 관찰되었다. 그러나 6월 중순경에는 3령 약충의 기주식물 주변 초본류로의 이동이 관찰되었으며, 월동란에서의 부화 후 1회차 이동분산으로써, 주로 상부에서 하부로의 점프를 통한 이동으로 판단된다. 이는 새순 부위가 경화된 월동 기주식물에서 경화되지 않은 초본류의 새순으로의 이동으로써, 특정한 초본류에 집중되지 않고 넓은 범위에 산재하여 분포하였다. 4령 약충 시기에는 주변 특정 초본류와 목본류 새순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패턴을 보이기도 하였다. 7월경에는 성충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2회차 분산이 진행되는 시점으로 판단된다. 이후 8월 중순까지 지속해서 밀도 감소가 이뤄지던 월동 기주에서의 밀도 감소 상태가 증가 추세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9월 상순경에는 2018년 월동기주에서의 성충밀도 증가와 교미 행동 및 1년생 가지에서의 산란흔이 관찰되었다. 산란흔의 집중도는 산수유나무와 매실나무가 다른 수목류보다 높았으며, 이는 모니터링이 진행된 모든 지점에서 공통된 패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북지역에 발생하는 미국선녀벌레는 2017년 익산시 여산면에 식재된 밤나무에 자연 발생되어 피해가 발생했으며 특히, 유기농 농경지의 밤나무, 블루베리, 배나무 등에 피해를 주고 있다. 유기농 재배지에서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 친환경자재 선발 실험을 실시하였다. 미국선녀벌레의 약충과 성충을 대상으로 친환경자재 500배액을 경엽 살포한 결과, 약충 방제효과는 님오일 82.9%, 계피유 69.5%, 햄프시드 65.3%, 데리스 65.1%, 편백유 56.8%, 녹차씨유 45.1%로 나타났다. 성충 방제효과는 님오일 75.7%, 계피유 68.7%, 햄프시드 67.4%, 데리스 62.1%, 편백유 26.7%, 녹차씨유 44.2%로 조사되었다. 님오일은 미국선녀벌레 약충과 성충에서 방제가가 가장 높았으며 약해도 발생하지 않았다. 유기농 재배지에서 미국선녀벌레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님오일을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40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parasitic and developmental features of A. japonica and D. suzkii was used as a parasitic natural enemy. A. japonica attacked the D. suzukii larvae and the emergence of adults were observed from D. suzukii pupae. Black spots were observed in parasitized D. suzukii larvae. Mortality of parasitized larvae, rate of parasitic and developmental feature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of host, D. suzukii. Mortality and rate of parasitic of D. suzukii larvae were the highest when second instar larvae were attacked. Developmental period of parasitized D. suzukii larvae showed differences to developmental stag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velopmental stage of pupal period.
        40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업용 무인멀티콥터를 활용한 방제면적은 수도작은 물론 밭작물에서도 방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밭작물은 작물의 형태가 다양하여 비행속도, 살포높이 등을 최적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배추, 대파, 고추에서 발생하는 나방류에 대하여 무인멀티콥터의 살포 높이에 따른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살포된 약제가 작물에 부착되는 정도를 조사한 결과, 배추는 2m, 대파는 3~4m, 고추는 모든 높이에서 비슷한 부착정도를 보였지만, 전체적으로 부착량이 적고 불균일 하였다. 살포 높이별 방제효과는 작물별로 각각 배추(9~10엽기)는 2m높이, 고추(약 1.2m)는 2~3m, 대파(약 60cm)는 2, 3, 4m 각각 비등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각각의 작물모두 경엽처리 대비 약효가 미흡하였으며, 고추는 4m높이 살포시 방제효과가 현저히 낮았다.
        40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sian corn borer, O. furnacalis (Crambidae) and the old world bollworm, H. armigera (Noctuidae) simultaneously cause ear damage in corn in Suwon area.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second generation of larvae of both insects is responsible for the damage. We, therefore, studied proper spray timing of insecticide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A waxy corn hybrid cultivar, Ilmichal, was sown directly on four plots of a field at April 10, April 20, May 4, and May 18, 2018, respectively. A sodium channel blocker, indoxacarb, was sprayed eight times at 3- or 4-day intervals around the silking stage of corn in each sowing plot. At ear harvest time of each plot, we investigated damaged ratio and length of ear, and the numbers of both insect species. The significantly effective spray timings on reduction of ear damage were the sprays at June 29 and July 2 in the plot sown at April 10, the sprays from July 2 to 13 in the April 20-sown plot, the sprays from July 2 to 19 in the May 4-sown plot, and the sprays at July 19 in the May 18-sown plot, respectively. The damage level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insect number.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pray at the silking stage of corn was effective on reduction of ear damage. It was assumed that occurrence time of neonate larvae of the insects at silking stage cause the damage,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screened pots inoculated with the two species.
        40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나무이는 감귤그린병, 제브라칩병과 같은 식물병원균의 매개충이 되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해충그룹으로서, 귤나무이(Diaphorina citri Kuwayama)는 감귤산업에 큰 피해를 주는 감귤그린병(Citrus Huanglongbing Disease)을 매개하여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기후 온난화로 귤나무이가 유입될시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지방에서도 하우스 재배 감귤에는 충분히 월동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감귤연구소, 2015).제주도지역이 경우, 묘목 수입에 의하여 전파될 가능성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국내 유입 대비를 위한 예찰방법 및 동정법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제주도 지역을 2016년부터 현재까지 43지점을 조사한 결과, 18종의 나무이와 14종의 기주식물을 확인되었다. 또한 실내사육을 통해서 생육단계별 생태사진과 동정에 필요한 암수 생식기 표본, DNA 염기서열을 확보하였다. 현재까지 운향과를 기주로하는 나무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귤나무이 또한 발견되지 않았다.
        40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육상 및 해양 생태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농업생태계 역시 이들 생태계에 의존하고 있는 생물 및 인간에게 생물학적, 경제학적, 사회학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주고 있다. 기후변화를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지표종은 기후변화에 비교적 민감하게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에 농업생태계와 같은 경제 사회적 영향을 많이 받는 곳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2017년 농업과학원에서는 농업생태계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식물과 무척처동물 30종을 지표종으로 선정하였다. 30종 중 나비목에 속하는 종으로는 배추흰나비(Pieris rapae), 남방노랑나비(Eurema mandarina), 노랑나비(Colias erate), 호랑나비(Papilio xuthus) 4종이다. 이 연구는 나비 지표종 중 농업생태계에서 가장 풍부하고 확인이 쉬운 배추흰나비를 대상으로 전남, 충북, 경기, 강원지역에서 4월부터 월 1-2회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생물계절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조사는 각 지역에서 논과 밭, 산림 등을 포함하는 경로를 선정하여 30분간 이동하면서 좌우 5m내외 출현하는 나비를 조사하는 선 조사법을 실시하였다. 4월 이후부터 조사한 결과 전남에서는 4월초인 14째 주에 이미 많은 수가 관찰된 반면 충북, 경기 등지에선 15째 주 이후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강원도에서는 6월 중순인 24째부터 관찰되어 위도별 출현 양상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9월말까지 관찰된 생활사 수는 전남에서는 5회, 경기도에서는 4-5회, 충북에서는 4회, 강원에서는 2회로 지역별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생태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배추흰나비가 위도별로 출현시기와 출현횟수를 달리하면서 나타나는 것을 통해 기후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지표종으로 적절하다고 여겨지며 앞으로도 전국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정밀한 출현양상과 미래 분포 변화 모델링 작업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40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섬은 비록 물에 둘러싸여 고립되어 있지만 서식지 유형이 바닷가부터 산림까지 다양하고 각 서식지마다 다양한 동ㆍ식물이 분포한다. 섬 생물지리학에서 동적평형설(dynamic equilibrium theory)은 섬에 서식하는 생물 종 수가 섬 면적과 육지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대한민국은 3,358개의 섬을 가지고 있는데 이 수는 세계에서 4번째로 많다. 초식성 곤충은 전체 생물종의 1/4을 이루며, 식물을 먹이원으로 하기 때문에 식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양한 초식성 곤충의 활동을 알 수 있는 잎의 식흔을 이용하여 섬 생물지리학 이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7년 6월, 2018년 6~7월에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15개 섬에서 식흔을 알아보았으며 대상 식물은 4개 과(대극과, 자작나무과, 장미과,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수이었다. 조사결과 Chewer와 Miner에 의한 식흔은 섬 면적이 클수록 Chewer에 의한 식흔량의 평균값과 Miner에 의한 mine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육지와의 거리가 멀수록 Chewer에 의한 식흔량의 평균값과 mine의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Galler에 의한 식흔은 섬 면적이 클수록 gall의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육지와의 거리가 멀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Chewer와 Miner에 의한 식흔은 섬 생물지리학 이론에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galler에 의한 초식활동은 이론에서 예측한 결과와는 맞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일부 초식곤충의 활동이 섬 면적이나 육지와의 거리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galler와 같은 초식곤충은 일반적인 경향을 따르지 않았으며 이러한 원인에 대한 정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40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lobal climate change and increased international travel have affected the transmission of mosquito-borne diseases. In South Korea, uncommon diseases such as Dengue, chikungunya and Zika virus could be transmitted by potent mediator like Aedes albopictus. In order to cope with the risk of mosquito-borne diseases, rapid mosquito monitoring system is needed. Current mosquito monitoring procedures include installation of outdoor traps-mosquito collection-species classification-analysis of disease detection – upload of information to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 disease alert. In this process, species classification takes a lot of time, and if we reduce the time, we can cope with the disease outbreak more quick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utomate species classification system target for 5 mosquito species (Culex pipiens, Cx. tritaeniorhynchus, Ae. albpictus, Ae. vexans, Anopheles spp.) disease vector live in South Korea. After modeling the morphology of each mosquito species, machine learning was carried out using DenseNet (Densely Connected Networks), one of the models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Using the learned model, we tested the classification of 5 species of mosquitoes and showed the accuracy from 97.35% to 99.48% at the maximum. Future research will focus on increasing the number of identifiable mosquito species and reducing the time spent on species classification. The autonomous classification of mosquito species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squito monitoring system and public health.
        41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작물의 재배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작물의 재배가 가능해지고, 지구 온난화에 따른 겨울철 기온 상승으로 해충 종의 다양화와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북지역에 발생하는 돌발 해충과 남방해충의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지대별로 구분하여 4개 시군에서 정점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갈색날개매미충의 30 ㎝ 당 난괴 밀도는 0.8개, 약충 밀도는 6월 상순 0.19마리, 6월 하순 0.21마리로 작년보다 밀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국선녀벌레는 산간지인 장수에서 밀도가 높았으며, 먹노린재는 평야지에서 20주당 평균 3마리 발생하였다. 애멸구는 6월 상순 평야지인 부안에서 발생을 확인하였으며, 볼록총채벌레는 5월 중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7월 초순에서 8월 초순까지 발생이 많았다.
        41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병은 1988년 부산 금정산에서 처음 발생하여 2017년 4월 기준 109시ㆍ군ㆍ구에서 99만본 이상 발생하였다. 소나무재선충 방제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나무주사로 약제 단가가 저렴해져 처리 면적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그 시기가 12월~2월로 극히 제한적이어서 처리시기 확대를 위해 10월 말부터 5월 중순까지 아바멕틴 유제와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를 월 1회 나무주사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10월 말~1월까지는 두 약제 모두 100% 방제효과를 보였고, 아바멕틴 유제는 2월(93.3%), 3월(86.7%), 4월(83.3%), 5월(80%)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유제는 2월(100%), 3월(96.7%), 4월(96.7%), 5월(50%)로 4월까지 효과가 뛰어 났으나 5월에 급격히 방제가가 떨어졌다. 2월~5월까지 나무주사 후 약제 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아바멕틴 유제가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보다 약제 잔류량이 많았고 두 약제 모두 처리 시기가 늦을수록 약제 잔류량도 적게 나타났다. 각 시기별로 나무주사한 가지의 일부를 채취하여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한 결과 처리시기가 늦을수록 소나무재선충 증식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처리방법을 현행방법과 주입병을 이용하여 각각 2월에 나무주사한 결과, 두 방법 모두 소나무재선충 예방효과, 약제 잔류량, 소나무재선충 증식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41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상주는 귀농 도시이자 농업 중심 도시로써 농업기술원을 유치할 만큼 생태학적 연구가치가 있는 친환경 도시이다. 특히 경천섬은 낙동강 본류에 있는 상주보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낙동강 생태 환경 연구의 중요 지역 중 하나이다. 하지만, 아직 경천섬에 대한 생물다양성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섬과 산지의 생태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생물의 다양성도 다를 것이라 간주하고, 경천섬 주변의 생태학적 가치를 재조명할 기초자료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에 경천섬과 인근에 위치한 청룡사 길목 산지에 서식하는 곤충 채집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채집방법은 직접잡기, 쓸어잡기, 함정트랩, 흡충관을 이용하였으며, 함정트랩에 사용된 유인제는 소주1.8ℓ와 빙초산350㎖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2018년 4월~8월 중 3회 채집과정을 수행하여 목표개체수를 확보하였고, 채집된 곤충은 에탄올을 채운 conical tube에 넣어 냉동실에 보관하여 보존성을 높였다. 채집과정에서 잡은 곤충들을 건조시키고 유사종끼리 분류하고 동정하는 과정을 거쳐 다양도지수, 우점도지수, 종풍부도지수, 종균등도지수, 유사도지수를 계산할 것이다.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경천섬 일대의 생물다양성을 세세하게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경천섬의 생태학적 가치를 드러내고, 경천섬 일대의 자연환경관리와 보존에 필요한 정보나 체계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41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누에는 약제, 면직, 식용, 동물 사료 등에 활용도가 높아 동아시아에서 오랫동안 사육되어 왔다. 뽕잎을 먹고 자란 누에가 사료를 먹고 자란 누에보다 생장주기가 일정하고 더 건강하게 생장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동물 장내 미생물이 동물의 면역과 생장에 큰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뽕잎에 존재하는 미지의 미생물이 누에 생장과 면역에 관여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뽕잎 내생균을 분리하기 위해 뽕잎을 5mm 크기로 잘라 표면살균 후, 배지에 치상하여 자라나오는 세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100개 이상의 뽕잎 절편으로부터 동일한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Pss)로 확인되었다. 또한, 뽕잎을 섭식한 누에의 장 속과 분변에서 이 균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누에에 병을 일으키는 곤충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Pss의 항진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곤충병원성 곰팡이인 Beauveria bassiana, Cordyceps militaris와 식물병원성 곰팡이 Botrytis cinerea, Fusarium graminearum을 대상으로 대치배양을 통해 균사 생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생장 억제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곤충병원성 곰팡이의 생장이 50% 이상 감소되었다. 특히, 다량의 포자를 생성하여 곤충에 치명적인 병을 야기하는 B. bassiana의 균사 생장이 C. militaris에 비해 더 크게 감소하였을 뿐 아니라 Pss의 배양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B. bassiana의 포자 발아가 지연되었다. 앞으로 누에 장 속에 안착한 Pss가 곤충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면역력과 누에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볼 계획이며 이를 통해 건강하고 안정적인 누에 사육에 활용될 수 있는 미생물 제제를 만들고자 한다.
        41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Japanese pine sawyer beetle, Monochamus alternatus Hope (Coleoptera: Cerambycidae) is considered as a serious pest in pine trees. To develop an eco-friendly strategy to manage this forest insect, we collected entomopathogenic fungi from Korean soil and assessed their virulence against the adults of the insect in laboratory conditions. As a result, two isolates with conidial suspension (1.0×107conidia/ml), showed 87% and 90% mortality 12 days after fungal treatment, respectively. We assessed the potential of the fungi-derived destruxin and protease as additives to the fungal isolates, and they showed insecticidal activity via feeding and spraying treatments. Finally, we produced fungal conidia in massive solid cultures and formulated wettable powders, and now studying optimal conditions of oil-based formulation with two isolates. Based on these results, we are evaluating the control efficacy of the fungal agents against M. alternatus in field conditions.
        417.
        2018.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nvestigates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l hybrid material prepared by electromagnetic duo-casting to determine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The hybrid material is composed of an Al-Mg-Si alloy, pure Al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Al-Mg-Si alloy and pure Al. It is heat-treated at 373, 573 and 773K for 1h and T6 treated (solution treatment at 773K for 1h and aging at 433K for 5h).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grain size of the Al-Mg-Si alloy in the hybrid material increases. The grain size of the T6 treated Al-Mg-Si alloy is similar to that of one heat-treated at 773K for 1h. The interface region where the micro-hardness becomes large from the pure Al to the Al-Mg-Si alloy widens with an increasing heat temperature. The hybrid material with a macro-interface parallel to the tensile direction experiences increased tensile strength, 0.2% proof stress and the decreased elongation after T6 heat treat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tensile direction,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with heat treatment. The bending strength of the hybrid material with a long macro-interface to the bending direction is higher than that with a short macro-interface, which is improved by heat treatment. The hybrid material with a long macro-interface to the bending direction is fractured by cracking through the eutectic structure in the Al-Mg-Si alloy. However, in the hybrid material with a short macro-interface, the bending deformation is observed only in the limited pure Al.
        4,000원
        418.
        2018.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한민국 첫 상업원전인 고리1호기는 40년간의 성공적인 운전을 끝내고 2017년 6월 18일 영구정지 되었다. 고리1호기는 본격적인 해체에 앞서 터빈건물에 폐기물처리시설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각종 방사성폐기물은 폐기물처리시설에서 제염, 해체, 절단, 용융되어 자체처분 되거나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으로 보내 진다. 해체폐기물 중 대형금속방사성폐기물은 주로 1차 계통측 기기들로 높은 방사능을 띄고 있어 해체활동 중 작업자의 피폭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형금속방사성폐기물 중 크기가 가장 크고 형상이 복잡한 증기발생기를 선정하여 RESRAD-RECYCLE 코드를 이용하여 작업자 피폭선량을 평가하고 저감화 방안을 수립 하고자 한다.
        4,200원
        419.
        2018.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is a key gene involved in multiple stress tolerance in all living organisms, though it is still to be disclosed the gene function in teff grass [Eragrostis tef (Zucc.)Trotter].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lone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GST gene in teff grass. We characterized GST1 from teff grass (EtGST1), it composed of a 645-bp open reading frame (ORF) that encoded 195 amino acid residue. Further, we transformed EtGST1 in E.coli BL21 (DE3) cells. This recombinant EtGST1 in E.coli BL21(DE3) induced at 37°C temperature. In addition, Growth of cells overexpressing EtGST1 rapidly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polyethylene glycol (5%), heat (46°C), NaCl (0.6%), and arsenic (1 mM) than that of cells harboring an empty vect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GST1 would be suitable candidate for improving tolerance in forages and/or grasses species against multiple abiotic stresses.
        42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인세티아 ‘Red Pearl’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16년에 육성한 품종이다. 생육이 우수한 적색의 착색엽을 가진 포인세티아 ‘Freedom Red’를 모본으로, 키가 작고 밝은 적색의 결각이 깊은 착색엽을 가진 ‘Little Star’를 부본으로 2013년에 교배하여 획득한 실생 계통을 선발한 품종이다.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생육특성, 개화특성, 균일성에 대하여 1, 2차 특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2016년에 3차 특성검정을 실시하여 최종 선발하였다. ‘Red Pearl’의 잎은 계란형의 녹색이고, 초장과 엽병의 길이는 중간 정도이며, 줄기는 녹색으로 적심을 하지 않아도 분지력이 뛰어나다. 하계 고온에서도 줄기 신장이 우수하였으며, 스트레스에 의한 생리장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 품종은 2018년 1월 24일에 국립종자원에 품종등록(제6922호)되었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