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9

        44.
        2019.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is considered the major cause of mortality in the world. Tremendous animal studies are performed to develop novel therapeutics, and this study aimed to induce porcine myocardial infarction model by us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Coronary guidewire was placed in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AD). The balloon angioplasty catheter was inserted at the back of the PET. The balloon catheter was carefully pushed forward, until the balloon marker was located in mid-LAD. Coronary angiography was performed pre- and post-occlusion at 28 days by C-arm. Histologic analysis of heart tissue was performed 28 days after inducing AMI. Thirty three pigs were anesthetized and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catheterization. All pigs were successfully embolized in mid-LAD by PET. Fifteen pigs died due to ventricular fibrillation during post-anesthetic recovery time, and overall experiment mortality was 45.5%. In 2,3,5- 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staining, gross finding of the ischemic heart lesion showed firm and white area of infarction associated with the apex and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Infarct on H&E-stained sections demonstrated a region without myocytes and rich with cardiomyocyte with atypical nuclei. Successful induction of AMI by using PET may provide the pathophysiological information of ischemic heart disease and improvement of therapy development for AMI.
        4,000원
        45.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lorella-derived activated carbon (CDAC) with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hierarchical pore structure was prepared as a CO2 adsorbent and as a supercapacitor electrode material. During KOH activation of Chlorella-derived carbon, metallic K gas penetrated from the outer walls to the inner cells, and pores formed o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surface. Micropores were dominant in CDAC, contributing toward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 3500 m2/g) and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owing to the cell walls. Consequently, CDAC exhibited a high CO2 adsorption capacity (13.41 mmol/g at 10 atm and room temperature) and afforded high specific capacitance (142 F/g) and rate capability (retention ratio: 91.5%) in supercapacitors. Compared with woody- and herbaceous-biomass-derived activated carbons, CDAC has a superior specific surface area when the precursors are used without any pretreatm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due to their soft components such as lipids and proteins. Furthermore, developing microalgae into high-value-added products is beneficial from both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4,000원
        5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말라리아는 말라리아원충에 감염된 Anopheles속 모기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이다. 한국의 Anopheles속 Hyrcanus group 모기 가운데 특히 Anopheles kleini, Anopheles lesteri, Anopheles pullus는 말라리아 주요 매개충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의 말라리아는 휴전선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환자 발생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한국의 기후는 점차 아열대 기후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가 한국의 말라리아 전파력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말라리아 위험지역 가운데 경기 서북부 지역인 파주, 김포, 강화 세 지역의 소 축사에서 2014년과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채집된 모기의 월별 종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종 분포와 기후조건과의 관계를 통계분석 하였다. 기후조건으로는 채집일 기준 14일 전까지의 평균기온, 풍속, 강수량, 습도를 이용하였으며 Hyrcanus group 모기 6종(Anopheles belenrae, An. kleini, An. lesteri, An. pullus, Anopheles sinensis, Anopheles sineroides)의 분포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강수량과의 연관성은 찾지 못하였으나, An. kleini, An. lesteri, An. pullus는 기온이 상승했을 때 Hyrcanus group 내에서의 분포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n. sinensis는 풍속과 습도가 높을 경우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종들은 풍속과 습도가 낮을 경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한반도의 기온이 점점 상승하는 환경은 말라리아 주요 매개충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으로, 기존의 북한과 인접한 DMZ 부근에서 발생하던 말라리아가 한반도 내 다른 지역으로 분포 지역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56.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exists very little information on the ultrastructure of substance P immunopositive (+) fibers in the human dental pulp, which may help in understanding the mechanism for substance P associated pulpal inflammatory pain. To address this issue, we investigated the presence of substance P+ fibers in the human dental pulp by light- and electron-microscopic immunohistochemistry. Light microscopy revealed that substance P+ fibers ran within neurovascular bundles in the radicular pulp and in the core of coronal pulp. They were also frequently present in the peripheral pulp. Substance P+ fibers showed beads like swellings interconnected by thin axonal strand, in a manner similar to bouton en passants and interconnecting axonal strand in the spinal cord.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at almost all the substance P+ axons were unmyelinated. The axonal swellings of the substance P+ contained numerous clear round vesicles (40-50 nm in diameter) and many large dense-cored vesicles (80-110 nm in diameter) as well as many mitochondria. The vesicles and mitochondria were rarely observed in the thin axonal strand interconnecting the swellings. Intimate interrelationship or synaptic structure between the swellings of substance P+ axon and nearby pulpal cells or axons was not found. These findings suggest co-release of substance P and glutamate from the substance P+ pulpal axons and its action on nearby structures in a paracrine manner.
        4,000원
        6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환경부 지정 보호지역인 특정도서는 현재 249개소로 이들을 대상으로 지형․경관, 지질, 식생, 동・식물상 및 해안무척 추동물, 해조류 분류군 대상으로 1차 특정도서기본계획(‘05~’14) 이후 2차 특정기본계획(‘15~’24)에 따라 매년 10~15개 씩 정밀조사가 수행되고 있다. 특정도서의 곤충조사는 2006~2008년 3년간 39개 도서를 제외하고 전무하였다. 특정도서 의 지정사유 중 자연경관․지질의 우수성이 가장 높고 식생이 우수가 다음으로 높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생과 관련된 해충 및 외래종의 기착지로도 이용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2015년부터 곤충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16년 인천광역시 옹진군 일대 소초지도, 신도, 어평도, 항도, 뭉퉁도, 서만도, 할미염 7개 특정도서에 대한 곤충상 및 군집분석 결과와 각 도서별 과거 2007년 보고된 곤충상을 비교한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