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

        41.
        200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ere performed to analysis the hematocrit and the red blood cells content into the blood plasma of the transgenic pigs harboring recombinent human erythropoietin gene (rhEPO). Mouse whey acidic protein (mWAP) linked to rhEPO gene was microinjected into pronuclei of porcine one-cell zygotes. After delivered of offspring, PCR analyses identified one mWAP-rhEPO transgenic founder offspring(F/sub 0/). The first generation of transgenic pig (F/sub 0/) harboring mWAP-hEPO appeared to be a male, and the second generation (F₁) pigs were made by natural mating of F/sub 0/ with domestic swine, and male and female transgenic pigs (F₁) were identified by PCR. The blood samples from transgenic and normal pigs were collected for 50 days during lactation and were counted the red blood cell (RBC) numbers and Hematocrit (HCT) content into the blood. The transgenic pigs expressing rhEPO in their blood gave rise to higher RBC numbers and HCT contents than control animals. rhEPO was secreted both in the blood and milk of genetically engineered pigs harboring rhEPO gene.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model regarding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pig carrying hEPO transgene for biomedical research.
        4,000원
        42.
        200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changes on serum concentrations of estradiol-17β, progesterone in primiparous Duroc, Landrace and Yorkshire sows weaned at 7 or 21 days. Also, we compared the litter size at birth and weaning among the breeds weaned after lactation for 7 or 21 days. The estradiol-17β concentrations among the breeds were 6.9∼8.8 pg/ml and 6.4∼8.8 pg/ml after lactation for 7 or 21 days, respectively. The progesterone concentrations ranged from 0.3 ng/ml to 1.6 ng/ml. Duroc sow showed higher progesterone concentration compared with Landrace and Yorkshire sows weaned after lactation for 7 or 21 days. Also, we found out that litter size at birth and weaning, respectively,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etween day 7 and day 21 of lactation. From the facts mentioned above, it was suggested that very early weaning systems could work with no apparent adverse effect on prolificacy.
        4,000원
        45.
        200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xanthine(X)-xanthine oxidase(XO) system하에서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대한 catalase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돼지 난포난자가 X 또는 XO하에서 배양되었을 때, 난포난자의 성숙율은 다른 배양시간에도 불구하고 catalase 첨가 유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렇지만, X-XO-catalase system하에서 배양한 경우 유의적으로 높은 성숙율을 얻었다(P<0.05). 퇴행난자의 비율은 배양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배양 120시간에서는 catalase 첨가시보다 무첨가시에 유의적으로 높았다. 다른 한편으로, 단위발생 난자들이 배양 72시간에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지만, 다양한 배양시간에서 catalase 첨가유무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 다른 실험에서, 동결-응해된 돼지 정자가 체외수정을 위해 X-XO system으로 처리되었다. 난자투명대에 대한 정자침입율은 none (P<0.05), XO, X+XO하에서 체외수정시 catalase 무첨가시보다 첨가시에 높게 나타났다. 다른 한편으로, 돼지정자가 none, X, XO, X+XO로 처리되었을 때, lipid peroxidation은 catalase 첨가시보다 무첨가시에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 정자침입과 lipid peroxidation에서의 변화가 상반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렇지만, 모든 조건하에서 정자의 sulfhydry (-SH) group의 함량은 catalase 첨가시에 높게 측정되었다. 난자의 투명대에 대한 정자의 접착 정도는 salt-stored 돼지 난자에 대한 정자접착을 통해서 평가되었으며, control group의 경우 X, XO, X+XO group에 비해 높은 정자접착율이 관찰되었다. 그렇지만, catalase 첨가유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X-XO-catalase system에 대한 난포난자와 정자의 노출이 돼지에서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55.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긴덜이리응애와 dicofol 저항성 및 감수성 점박이응애에 대한 아바맥틴의 선택독성을 실험실 내에서 엽침지법으로 조사하였다. 아바멕틴은 긴털이리응애에 대해서는 독성이 낮은 반면, 점박이응애에 대해서는 살균효과가 높았다. 0.12 ppm과 0.6 ppm의 농도에서 점박이응애는 두 계통 모두 침지 후 48시간 0]내에 사망하였고, 0.06 ppm과 0.012 ppm의 낮은 농도에서 120시간 이후에는 77% 이상이 사망하였다. 그러나긴털이리응애의 암컷성충은 0.12ppm에서는 생존솔과 활동력이 영향을 받지 않았고, 0.6ppm과 6ppm의 높은 농도에서도 사망솔이 약 20~23%이었다. 아바맨틴은 산란후 l일 이내의 점박이응애의 난에 대해서는 패화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산란후 4일된 란에서는 패화솔이 멸소하였다. 반면에0.006-6ppm 용액에 긴털이리응애 난을 침지한경우 난의 패화솔과 그 난에서 부화한 약충의 발육에는 영향이 없었다. 긴털이리응애의 암컷 성충을 0.6 ppm과- 0.12ppm에 침지했을 때 산란수가 줄어들지 않았으나 잠박이응애의 산란수는0.006-0.6 ppm의 농도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이 아바맥틴은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선택독성이 높은 약제로 점박이응애의 결합방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점박이응애에 대한 아치사농도(0.012-0.06 ppm)는 긴털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의 밀도를 조사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56.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합성 성페로몬의 담배나방(Helicoverpa assulta (G.))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촉각전도 측정, 반응 행동 관찰 및 야외 유인실험을 하였다. 담배나방 성페로몬의 주성분인 Z9-16:Aid와 Z11-16:Aid 는 모두 수컷에서 큰 촉각전도반응을 보였으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촉각전도반응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담배나방 암컷은 두 페로몬 주성분에 대해서는 촉각전도반응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기주식물인 고추기름에만 큰 촉각전도반응을 보였다. 처리량이 0.01~10 일때는 페로몬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촉각전도 반응도 증가했으나 100을 처리했을 때에는 오히려 반응의 크기가 줄어들거나 10처리시와 같았다. 풍동에서 담배나방 수컷은 일련의 규칙적인 반응행동들을 나타냈다. 이 반응 행동들은 성페로몬의 두 주성분 비율에 따라 달랐으며, 미량 성분인 16:1 Aid와 Z9-16:Ac 를 첨가했을 때에는 교미행동까지 나타냈다. 야외에서 트랩을 이용하여 유인력을 검정한 결과 Z9-16:Aid와 Z11-16:Aid의 비율이 20~25:1 일 때 유인력이 가장 컸으며 여기에 Z9-16:OH가 첨가되었을때에는 다른 성분의 비율에 관계없이 유인력이 아주 낮았다. 함성 성페로몬의 유인력은 미교미암컷의 유인력보다 강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4,000원
        60.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high incidence of polyspermic fertilization is one of the major causes lowering the overall efficiency of porcine IVF. The common procedure for IVF involves the co-culture of both gametes in the medium drop, which increases sperm concentration and incidence of polysperm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orcine IVF by reducing polyspermy using a modified swim-up method. This method modifies conventional swim-up washing by placing oocytes directly at the time of washing. Sperm pellet was prepared in the tube and mature oocytes were placed on cell strainer with pore size (Falcon 2350) at the top of the tube. After insemination, the oocytes were stained for examination. Also,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fertilized embryos was measured to evaluate for the feasibility of this method. While having similar penetration rates in both methods (),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of polyspermy in modified swim-up method () compare to the control ( (p<0.05). Subsequent culture showed higher rate of blastocyst formation in modified swim-up method (20.440.99%) than the control () (P<0.05),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spermatozoa reaching the oocytes, porcine oocytes might be protected from polyspermy in vitro. Also,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the fertilized embryos using this method could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pool of spermatozoa with better quality. Further optimization of the procedure required to implicate this method in routine porcine IVF.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