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

        61.
        200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a progress report on HCN(1-0) line observations toward starless cores to probe inward motions. We have made a single pointing survey toward the central regions of 85 starless cores and performed mapping observations of 6 infall candidate starless cores. The distributions of the velocity difference between HCN(1-0) hyperfine lines and the optically thin tracer N2H+(1-0) are significantly skewed to the blue, meaning that HCN(1-0) frequently detects inward motions. Their skewness to the blue is even greater than that of CS(2-1) Lee et al., possibly implying more infall occurrence than CS(1-0). We identify 19 infall candidates by using several characteristics illustrating spectral infall asymmetry seen in HCN(1-0) hyperfine lines, CS(3-2), CS(2-1), DCO+(2-1) and N2H+ observations. The HCN(1-0) F(O-l) with the least optical depth usually shows a similar intensity distribution to that of N2H+ which closely traces the density distribution of the cores, indicating that HCN(1-0) is less chemically affected and so believed to reflect kinematics occurring in rather inner regions of the cores. Detailed radiative transfer model fits of the spectra are underway to analyze central infall kinematics in starless cores.
        3,000원
        64.
        200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의 난포란을 체외에서 성숙, 수정시킨 체외수정란의 체외배양 체계를 확립하고 그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체외배양액에 항산화제인 melatonin의 첨가 및 melatonin과 sodium nitroprusside(SNP)의 첨가배양이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NCSU 23 배양액에 melatonin을 0, 1, 5 및 10nM을 첨가하여 체외배양을 실시한 결과, 배반포기까지 발육율은 17.8%, 26.1%, 20.0% 및 16.3%로서 melatonin 1nM 첨가구가 여타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P<0.05), 상실배기 이상 발육 성적에서도 melatonin 1 nM 첨가구가 39.1%로서 대조구 33.3%, 5 nM 첨가구의 33.3% 및 10 nM 첨가구의 27.9%보다 높은 발육율을 나타냈다(P<0.05). NCSU 23 배양액에 SNP를 0, 50 및 100 μM을 첨가하여 체외 배양한 결과, 상실배 이상 발육성적은 각각 41.9%, 25.6% 및 28.4%로서 SNP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성적을 나타내었다(P<0.05). NCSU 23 배양액에 대조구, SNP 50 μM, SNP 50 μM에 melatonin 1, 5 및 10nM을 혼합첨가하여 체외 발육율을 조사한 결과, 배반포기 발육율은 각각 2.5%, 1.2%, 9.9%, 5.1% 및 3.7%로서 SNP 50μM + Mel. 1nM 첨가구가 여타구 보다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 상실배기 이상 체외 발육율은 31.3%, 34.1%, 39.5%, 29.4% 및 39.5%로서 SNP 50μM + Mel. 1 nM 첨가구와 SNP 50 μM + Mel. 10 nM 첨가구가 여타구보다 높은 발육율을 나타냈다. 모든 처리구에서 배반포까지 발육된 체외수정란의 세포수는 커다란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000원
        65.
        200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 CO₂와 5% O₂ 농도 조건 하에서 NCSU23 배양액에 aesculetin을 0, 1, 5 및 10 ㎍/㎖를 첨가한 구에서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배양 성적은 10 ㎍ 첨가구(35.7%)가 여타구(0 ㎍, 30.2% ; 1㎍, 29.5% ; 5㎍, 29.2%)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얻었다(P<0.05). NCSU 23 배양액에 taurine을 0, 2.5 및 5.0 mM을 첨가, 체외배양을 실시한 결과 배반포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 성적은 각각 2.8%, 2.2% 및 7.0%였으며, 상실배이상의 체외 발육성적은 26.1%, 26.9% 및 31.7%로서 taurine 5.0 mM 첨가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 성적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NCSU 23 배앙액에 melatonin을 0, 1, 5 및 10nM을 첨가하여 체외배양을 실시한 결과, 배반포기까지 발육된 체외 발육성적은 17.8%, 26.1%, 20.0% 및 16.3%로서 melatonin 1nM 첨가구가 여타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P<0.05),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 성적에서는 melatonin 1nM 첨가구가 39.1%로서 대조구 33.3%, 5 nM 첨가구의 33.3% 및 10 nM 첨가구의 27.9%보다 높은 발육율을 나타냈다(P<0.05). 한편 배반포기 수정란의 세포수 조사에서는 melatonin 10 mM 첨가구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0.
        2003.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sing a developed high-frequency induction heated combustion method. the simultaneous synthesis and densification of WC-xvol.%Co() hard materials was accomplished using elemental powders of W, C and Co. A complete synthesis and densification of the materials was achieved in one step within a duration of 1min. The final relative densities of the composite were over 98.5% for all cases, under the applied pressure of 60 MPa and the induced current. The hardness of the composites decreases and the fracture toughness increases with increasing cobalt content. As the carbon to tungsten ration increases, the hardness increase, but the fracture toughness decreases. The maximum values for the fracture toughness and hardness are 15.1 (at 20vol.%Co, W:C=1:1), and 1928 (at 5vol.%Co, W:C=1:1.3), respectively.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HFIHCS method. which can produce WC-xvol.%Co within 1 minute in one step is superior to conventional ones.
        71.
        2003.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 Using a developed high-frequency induction heated sintering method, the rapid densification of WC-Co hard materials was accomplished using ultra fine powders with 260 nm size within 1 minute. 2) The relative density of the composite was 99.5% for the applide pressure of 60MPa and the induced current for 90% output of total capacity. 3) The grain size of WC-Co hard materials is about 260nm an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binder phase determined is about 11nm. The fracture toughness and the hardness of this work 12 , respectively. 4) Using pressureless sintering, we produced dense WC-Co hard materials with a relative density of 97% without applying pressure.
        75.
        200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체 트롬보포이에틴(hTPO)은 megakaryopoiesis 과정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이다. 따라서 이러한 트롬보포이에틴을 유선조직에서 직접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하여 소 베타 카제인 프로모터, 인체 트롬보포이에틴 cDNA 및 네오유전자로 구성된 발현벡터를 구축하였다. 소 귀조직 세포로부터 유도된 섬유아세포에 lipoffctamine을 이용하여 발현벡터(pBT-L n대)의 삽입을 유도하였다. G4l8 저항성을 지닌 세포의 콜로니 형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2주 이상 배양을 실시하였다. 형질전환 콜로니는 PCR에 의해 동정하였으며, 이들 콜로니를 핵치환 전까지 계속적으로 증식을 유도하였다. 형질전환 세포에 의해 재구성된 난자는 전기적인 융합과 calcium ionophore와 6-DMAP를 이용한 활성화를 실시하였으며, 체외에서 7일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총 35개의 콜로니를 PCR에 의해 분석한 결과, 이 중 29(82.9%)개가 형질전환된 콜로니였다. 형질전환된 세포로 재구성된 난자의 난할율 및 배반포로의 발달율은 65.1%와 23.8%로 나타났다. 형질전환된 세포로 재구성된 난자로부터 발달한 29개의 배반포 중 27개가 형질전환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형질전환 소 수정란을 형질전환된 세포를 이용한 체세포 복제 기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있다.
        4,000원
        77.
        200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lastic deformation was observed by TEM around the intragranular SiC particles in the matrix for nanocomposite system. The dislocations are generated at selected planes and there is a tendency for the dislocations to form a subgrain boundary structure with low-angel grain boundaries and networks. In this study, dislocation generated in the matrix during cooling down from sintering temperatures by the highly localized thermal stresses within and/or around SiC particles caused from the thermal expansion mismatch between matrix and SiC particle was observed. In monolithic and microcomposite system. These phenomena is closely related to the plastic relaxation of the elastic stress and strain energy associated with both thermal misfitting inclusions and creep behaviors. The plastic relaxation behavior was explained by combination of yield stress and internal stres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