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

        81.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빈곤가정 아동의 인성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그리고 원예치료에 의한 인성변화 결과를 결손가정과 양부모가정 아동 중심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대상자는 경상북도 영천에 위치한 영구임대주택 내 복지관 공부방을 이용하는 빈곤가정아동 14명으로 2005년 3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주 1회 총 21회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상자 전체 다차원인성검사 평가 결과 원예치료 실시 후 일반성격척도 영역에서 사회성과 개방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생활적응척도 영역에서는 학교생활 만족도, 학교공부 만족도, 스트레스 청정도, 일탈행동 통제력이 크게 향상이 되었다. 이들 빈곤가정아동 중 결손가정아동은 원예치료 실시 후 개방성과 학교공부 만족도가 향상되었으며 양부모 가정아동은 학교생활만족도, 학교공부만족도, 가정생활만족도, 일탈행동 통제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원예치료평가표 결과 결손가정아동과 양부모가정아동 모두 정서발달과 사회성 발달이 원예치료 실시 중반기까지 두드러진 변화는 없었으나 후반기로 갈수록 점수가 크게 향상되었다.
        82.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effects that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concept of underachiever child. The study was performed on six underachiever child of the general classes of P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wice a week, from September 19 to December 16, 2003, total in 22 times. The examination on self-concept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was utilized by dividing general self-concept from self-concept on learning for each lower-level area. The program also evaluated the degree of emotional and sociable developments by horticultural therapy evaluation chart(KHY type) and performed comprehensive evaluation through direct observation by horticultural therapists and the class teachers. The evaluation results on self-concept for all subject student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fter horticultural therapy. This is thought to promote learning motive and learning desire through variou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using plants. It has shown on the change of attitude for solving problems. As explained above, it has shown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self-concept for underachiever child.
        83.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urposed to survey consumers' preference and suggests a new direction in order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chrysanthemum. The survey distributed 1,046 questionnaires and recovered 432 (recovery rate of 41%).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rveying consumers' preference, rose was most popular (46%) and was followed by spray mum (19%). As to the reason for the use of white chrysanthemum as condolence flower, 64%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it is because of the solemn and serious atmosphere at houses in mourning. In addition, 79%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would use chrysanthemum for congratulation if various colors and shapes of chrysanthemum are produced. This shows the high possibility of changing the image of chrysanthemum. In addition, the reuse of condolence wreath decreased the consumption of chrysanthemum, and resulted in the freeze of the price and the decrease of chrysanthemum production for the long run. Thus, as one of efforts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chrysanthemum and to change the image of chrysanthemum, the present study developed flower bunches, flower baskets, wreaths, wedding decorations, and bouquets, etc. using chrysanthemum for condolence wreath. If the image of chrysanthemum is changed through continuous campaign and publicity in such a new direction, we may expect desirable changes in the pattern of chrysanthemum consumption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floral design and the creation of new flower consumption culture.
        84.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빈곤결손가정 아동의 자아개념과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경상북도 영천시 야사동 야사종합복지관 내 공부방을 이용하고 있는 빈곤결손가정 아동 9명으로 200년 3월2일부터 2005년 7월 27일까지 주 1회에 걸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상자 전체의 자아개념 검사지 평가 결과 원예치료 실시 후 사회적 자아와 정서적 자아가 크게 향상되었다. 그리고 학습능력 검사 결과 학습활동 영역에서 기억력과 집중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학습능력 영역에서는 추리력과 수리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문장완성 검사 결과 자아개념 검사에서 볼 수 없었던 학업에 대한 자신감과 또래 친구와의 관개개선을 문장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85.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양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대구광역시 장애인 종합복지관 내 조기교육실을 이용하는 발달장애 아동 3명이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2005년 3월부터 2005년 7월까지 매주 1회씩 총 18회를 실시하였다. 적응행동 평가결과 A, B, C 아동 모두 기술과 습관변화영역과 성격과 행동변화 영역의 점수가 원예치료 실시 전보다 높아졌다. 원예치료 평가표 측정결과 개인별로 차이는 있지만 원예치료 실시 전보다 정서발달과 사회성발달 영역에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평가 결과 집중력과 대인관계의 향상을 볼 수 있었는데 특히 다양한 색상에 대한 관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원예치료는 발달장애 아동의 적응행동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86.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compared and analyzed the Oriental and Western flower arrangement programs to examin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mental symptoms of schizophrenics. This study respectively executed the Oriental and Western flower arrangement to 20 men and women patients of schizophrenia and bipolar who have been treated for their rehabilitation in the Daegu Rehabilitation Center at Sindang-dong, Dalso-gu, Daegu Metropolitan City by 12 times program from April 16, 2002 to July 23, 2002. this study investigated and tested the effectiveness by SCL-90-R and Self-Esteem Scale with diagnosing them by horticultural therapy evaluation table (KHY type) after having enforced each program. This study made them choose their favorite color whenever executing each program, and investigated their preference of flower color. In result of SCL-90-R on the Oriental arrangement, they showed their mental symptom to be worsen after the execution than before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but there wa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in the case of the Western flower arrangement their mental symptom appeared to be improved. In result of Self-Esteem Scale, it appeared to be higher in all of the Oriental and Western flower arrangement after the execution than before the execu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ut there wasn't ant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horticultural therapy evaluation table, they showed a significant development(p=0.05) in emotional improvement and social improvement by all the Oriental and Western flower arrangement , Especially the improvement of the Western flower arrangement appeared to be higher in emotional improvement such as activity, integration control, independence, and solitary than the Oriental flower arrangement (p=0.01). The improvement of the Western flower arrangement appeared to be higher also in social improvement such as sociality, cooperativeness, and participation than the Oriental flower arrangement (p=0.01). In result of investigating their preference of flower color, they appeared to prefer the generally bright and clear colors in the order of red, dark pastel , yellow, white, violet, and light pastel through the Oriental and Western flower arrangement, In the above result of consideration, the Oriental and Western flower arrangement had the effect to restoration of emotion and sociality of schizophrenics, but the Western flower arrangement on is considered to be more desirable as flower arrangement for schizophrenics than the Oriental flower arrangement.
        87.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was set out to prov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emotional stability and the depression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The two military sexual slavery(A and B) by japan living in Daegu were continuously participated in thi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HT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20 times from March to July, 2004. To prove the effect of HTP effect, emotional stability and the depression was diagnosed between pre- and post-program using the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horticultural therapy evaluation table(KHY type). Also after horticultural therapy executing, the observation log was kept down via the horticultural treatment diagnosis table(KHY type). In the result of BDI evaluation, we could notice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improved the emotional stability and depression of A and B subjects. In this study, HTP showed a positive effect in curing mental depression and activities. Therefore, HTP is useful in the rehabilitation of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88.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주의력 향상과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원예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구광역시 치매 및 노인전문병원에서 보호를 받고 있는 치매노인 4(여:3, 남: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시기간은 2003년 10월 7일부터 2004년 1월 20일까지 매주 1회씩 총 16회를 실시하였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은 대상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해 친근감 있는 소재를 이용한 식물기르기를 하였고 주의력 향상을 위해 작은 크기의 지정된 공간을 이용한 꽃장식, 단일지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단순한 작업을 모방할 수 있는 능력 등을 배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의력 향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치매평가검사<K-DRS>중에서 <주의력>을 정기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매 원예치료 실시 후에 원예치료평가표(KHY식)에 의한 정서발달을 평가하였고 관찰일지를 작성하여 대상자들의 변화양상을 조사하였다. 주의력 평가결과 대상자 A는 29-31-28-35-35점으로, 대상자 B는 30-30-32-33-33점으로, 대상자 C는 32-31-33-36-35점으로 원예치료 실시 후 주의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대상자 D는 36-36-34-35-36점으로 큰 변화는 없었다. 정서발달은 원예치료 실시 전 평균 1.9점에서 실시 후 평균 3.1점으로 모든 항목이 개선되었다. 특히 인내 ․ 집중력이 향상되어 원예활동 수행 시 작업태도가 좋아졌으며 자신의 결과물에 대한 책임감이 생겨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다양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주의력 향상과 정서적 안정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매의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치료기법으로써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