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2

        143.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as는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 단백질로서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Fas mRNA는 림프조직뿐만 아니 라 비 림프조직에서도 발현한다. 한편 대다수의 난포들은 세포자연사와 연관된 기 작을 통해 난포폐쇄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난포폐쇄에 관한 기작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생쥐의 난소의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의 발현 여부를 알아보고, Fas와 Fas liga
        146.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난포에서 GnRH와 그 수용체의 발현이 확인되면서 GnRH가 국소적으로 난소의 기능을 조절하고,특 히 과립세포의 세포자연사(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황체에서 GnRH와 그 수용체의 발현과 기능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신한 흰쥐의 황체세포에서 GnRH와 그 수용체가 발현되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GnRH가 황체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직접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임
        147.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만유전자 산물인 leptin은 비만뿐만 아니라 여성의 생식 생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아직 이러한 leptin이 난소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흰쥐 난소에서 leptin과 leptin 수용체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확인하고 발정주기에 따른 leptin과 leptin 수용체의 발현 양상을 RT-PCR 방법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방법 결과 흰쥐 난소내에서 leptin은 협
        150.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만유전자 산물인 leptin은 지방 조직에서 생성되어 혈액으로 분비되며, 신진대사, 식욕, 체열 등을 조절하여 비만의 억제 조절 물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leptin은 비만 뿐만 아니라 생식 생리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leptin의 작용이 난소에 직접적인지 혹은 시상하부나 뇌하수체를 매개로 하는지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난소에서의 leptin 및 leptin 수용체의 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 또한 미진
        152.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apoptotic cell deat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mechanism underlying follicular atresia and luteolysis. However, the mechanisms responsible for initiating these processes have not been elucidated. In in vitro fertilization (IVF) programs, it is highly possible that continuous and repeated administration of FSH/hMG and GnRH agonists for the usage of ovarian hyperstimulation may induce apoptotic death of granulosa cells leading to atresia in the human ovarian follicle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FSH/hMG and GnRh agonists used for a longer period in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has any effect on the apoptosis of granulosa-luteal (GL) cells obtained from hyperstimulated ovaries. To examine apoptotic cell death in the GL cells, cells were stained with acridie orange followed by observed in some of GL cells. Similar but distinct staining of apoptotic GL cells was observed when the cells were examined by using in situ TUNEL method. The healthy-looking cells with normal nuclear morphology were not stained, whereas cells with pyknotic nuclei or with apoptotic nuclei were intensively stained. After examining the ultrastructural features of GL cells by TEM, it was confirmed that the majority of cells seemed to have normal nuclei while GL cells undergoing apoptotic cel death were rarely found. The DNA extracted from GL cells showed a typical pattern of fragmentation following DNA electrophoretic analysis. We have confirmed that the apoptosis occurs in granulosa-luteal cells obtained from hyperstimulated ovaries. Technically, in situ apoptosis detection method is simple and reproducible and is well suited to identify the quality of oocytes retrieved from hyperstimulated ovaries.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