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1.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DAM은 metalloprotease/disintegrin domain을 가진 transmembrane glycoprotein 으로서 지금까지 30개 이상의 ADAM 및 10개 이상의 ADAMTS 단백질이 알려져 있다. 이들의 기능은 포유동물의 수정시 sperm-egg binding과 fusion, myoblast fusion, integrin과의 결합 등에 직접 관여하거나, TNF-alpha 등의 생체 신호전달물질이 세포로부터 분비될 때에 이들의 구조를 변화시켜 활성화시키는 효소작용, 그리고 dendritic cell differentiation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자궁내막 조직에서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여부에 관해서는 거의 보고되어 있지 않고 있다. 먼저 RT-PCR 방법을 이용하여 자궁에서 mRNA의 양을 -actin의 양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측정한 결과, 임신 1일부터 5일까지는 ADAM-9, 10, 17, TS1의 mRNA 경우 거의 비슷하게 발현되었으며 ADAM-8과 15는 3일째, ADAM-12는 2일째와 4일째에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임신 6일부터 8일까지의 자궁조직을 각각 embryo가 착상된 곳과 그렇지 않은 곳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상대적으로 착상이 된 곳에서 mRNA가 많이 발현 되었으며 특히 ADAM-8, 12, 15의 mRNA의 경우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Immunoblotting 방법을 이용하여 임신 1일부터 5일까지의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조사한 결과 임신 ADAM-8은 3일 이후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ADAM-9, 15, TS1은 5일째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ADAM-10은 2일째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고 ADAM-12, 17은 3, 4일째 증가하다가 5일째 감소하는 상을 보였다. 한편 임신 6일부터 8일까지는 embryo가 착상된 곳이 그렇지 않은 곳보다 조사된 모든 ADAMs 단백질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현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ADAMs은 임신 초기 착상과정과 임신 단계에 따른 자궁의 조직 재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3.
        201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욕조절과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nesfatin-1/NUCB2는 시상하부 이외에 지방조직, 소화기관 및 생식기관에서도 발현되는 것이 보고되었다. 최근 본 연구실에서는 생쥐의 난소와 자궁에서 nesfatin-1/NUCB2가 발현되고, 생식주기에 따른 발현 양상이 다르다는 결과를 얻으면서 nesfatin-1/ NUCB2가 생식기능과 임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임신 유지와 배아 발달에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태반에서 nesfatin-1/NUCB2가 발현되는 지 확인 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생쥐의 태반에서 nesfatin-1/NUCB2의 발현을 확인하고, 아울러 임신기간 동안 태반에서 nesfatin-1/ NUCB2 발현량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먼저 qRT-PCR과 Western blot 방법으로 nesfatin-1/ NUCB2 발현을 조사한 결과, 다른 기관에 비해 태반에서 다량으로 nesfatin-1/NUCB2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방법으로 태반에서 nesfatin-1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와 nesfatin-1 단백질이 결합할 수 있는 수용체를 가진 세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태반에서 생산, 분비되는 nesfatin-1 단백질은 임신기간 중에 모체의 신진대사와 배아 발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여 임신기간에 따른 태반에서의 nesfatin-1/NUCB2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임신 5, 10, 15, 19일째 생쥐에서 태반을 적출하여 Western blot과 qRT-PCR 방법으로 nesfatin-1/NUCB2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임신중기에 증가하다가 말기에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임신에 의해 새롭게 형성된 태반에서 다량으로 생산, 분비되는 nesfatin-1은 임신기간 중에 모체의 식욕조절과 신진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배아와 태자 내 여러 장기에서 nesfatin-1 단백질의 결합 부위를 확인한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해 볼 때, 태반에서 분비된 nesfatin-1이 혈관을 통해 배아와 태자에 전달됨으로써 생쥐 초기 발생과 성장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4.
        201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욕조절과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nesfatin-1/NUCB2는 시상하부 이외에 지방조직, 소화기관 및 생식기관에서도 발현되는 것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실에서도 nesfatin-1/NUCB2의 발현을 전 장기에서 조사한 결과, 뇌하수체, 심장, 폐, 소화기관 및 생식기관에서 다량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nesfatin-1/NUCB2가 체내 주요 장기의 발달 및 생리적 기능 조절에 관여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쥐를 대상으로 배아에서 성체로 성장하는 동안 장기 내 nesfatin-1/NUCB2 발현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nesfatin-1/NUCB2 발현과 장기의 발달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쥐 태자, 신생쥐, 성체 생쥐에서 성장에 따른 nesfatin-1/NUCB2의 발현 양상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qRT-PCR과 western blot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먼저 생쥐 태자에서 nesfatin-1/NUCB2 단백질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으로 확인한 결과, 뇌, 심장, 폐에서 다량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FITC-conjugated nesfatin-1을 이용하여 nesfatin-1 결합 부위를 확인한 결과에서도 nesfatin-1 발현 부위와 유사하게 뇌, 심장, 폐에서 염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qRT-PCR과 western blot 방법으로 신생쥐와 성체 생쥐 내 다양한 장기에서 nesfatin-1/NUCB2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신생쥐에서는 다른 장기에 비해 심장과 폐에서 nesfatin-1/NUCB2 발현량이 높았으나, 성체로 성장하면서 발현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신생쥐의 신장에서는 nesfatin-1/NUCB2 발현이 거의 되지 않다가 성체가 되면서 다량 발현하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성체 생쥐의 신장에서 암컷과 수컷 사이의 nesfatin-1/NUCB2 발현 양상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발생 초기에는 nesfatin-1/NUCB2의 발현이 신진대사에 필수적인 심장과 폐에서 많이 발현하고, 성장하면서 배설에 관여하는 신장에서 다량 발현하는 것으로 보아 nesfatin-1/NUCB2가 생쥐 성장 단계에서 특이적으로 장기의 발달과 생리적 기능을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심장, 폐 및 신장에서 다량으로 발현하고 있는 nesfatin-1/NUCB2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한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성 호르몬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내분비교란물질은 흰쥐 흉선세포에 세포자연사를 일으켜 흉선의 기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그 작용 기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분비 교란물질 중 하나인 Tributyltin(TBT)를 흰쥐에 투여한 후 흉선의 상피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지를 조사하고, 이로 인한 T 세포의 세포자연사와 연관성을 조사함으로써 TBT가 흉선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6.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는 nesfatin-1/NUCB2가 음식물 섭취와 에너지 대사를 조절한다는 것이 보고된 이후로, 최근 생쥐의 난소와 자궁에서도 다량의 nesfatin-1/NUCB2가 발현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그러나 생식기관에서 nesfatin-1/NUCB2 발현이 어떻게 조절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쥐의 생식기관 중 자궁에서 nesfatin-1/NUCB2 발현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조절되는지를 알아보고자 난소를
        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분비교란물질로 알려진 Tributyltin(TBT)는 흰쥐 정소 내 생식세포와 간질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일으켜 정소의 기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그 기전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소 내 간질세포를 표적으로 TBT에 의해 지방세포로 분화가 유도되는 지를 확인하고, 이로 인한 정소 내 세포자연사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주령 된 수컷 흰쥐에 각각 TBT 1 ㎎과 10 ㎎/㎏/day을 1주일 동안 경구 투여한 후 정소를 분리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획득된 정소의 일부는 냉동 절편을 만들어 BODIPY로 지방세포를 염색하였고, 일부는 파라핀 절편을 만들어 TUNEL 염색을 수행하였다. 나머지 정소는 정소 백색막을 제거한 후 세정관 사이에 존재하는 간질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간질세포에서 total RNA를 추출한 다음 real-time PCR 방법으로 지방세포 유도 유전자들과 세포자연사 관련 유전자들을 분석하였다. 정소의 무게는 대조군에 비교해 TBT 10 ㎎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BODIPY 염색 결과, TBT 10 ㎎을 투여한 군의 간질세포에서 염색된 세포의 수가 증가하였고, TUNEL 염색 결과에서도 대조군과 비교해 TBT 투여한 군에서 간질세포 내 세포자연사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al-time PCR을 이용해 간질세포 내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 투여된 TBT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PPARγ, aP2, PLIN, PGAR 등 지방세포 유도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이와 함께 TNFRSF1A, TNFSF10과 같은 세포자연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환경성 내분비 교란물질로 알려진 TBT에 노출될 경우 정소 내 간질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유발되면서 세포자연사가 증가하고, 이에 따른 정소 기능의 저하를 야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8.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는 nesfatin-1/NUCB2가 섭식과 에너지 대사를 조절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백질이 생쥐의 생식기관에서도 발현을 하는지, 그리고 그 수용체가 생식기관 내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nesfatin-1이 생식기능에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암컷 생쥐에서 난소와 자궁을 획득하여 conventional PCR 방법으로 NUCB2 mRNA 발현을 조사하였고, real-time PCR 방법으로 상대적인 NUCB2 mRNA 발현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난소 내 nesfatin-1 단백질의 발현 위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nesfatin-1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수행하였으며, biotin conjugated nesfatin-1을 이용하여 nesfatin-1 결합 부위를 확인하였다. 또한 생식소 내 NUCB2 mRNA 발현이 성선자극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기 위해 PMSG 투여 후 NUCB2 mRNA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생쥐의 난소와 자궁에서 확인된 NUCB2 유전자가 시상하부에서 만큼이나 많은 양이 발현되고 있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nesfatin-1 단백질은 협막세포와 대부분의 기질세포에서 발현되었고, 일부 황체세포에서도 발현이 확인되었다. 반면, 난포 내 과립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으나, 특정 난포 내 난자에서는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nesfatin-1 단백질의 결합 부위는 난소 백막 주위의 기질세포와 협막세포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PMSG 투여 후 난소와 자궁에서 NUCB2 mRNA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난소 내 nesfatin-1 단백질의 발현과 그 결합 부위의 존재는 nesfatin-1이 뇌에서 뿐만 아니라 생식기관에서도 국부조절인자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생식기관에 미치는 nesfatin-1의 역할을규명하기위한더많은연구가필요하다고판단된다.
        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nRH는 국부적으로 난소에서 합성되며, 난소내 과립 및 황체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난소의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GnRH는 난소내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GnRH에 의한 세포자연사가 FSH에 의해 회복될 수 있는지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난자 채취시 획득한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를 배양한 후 5, 50, 100 ng/ GnRH와 1 IU/ FSH를 처리
        10.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rtisol은 난소내 다량으로 존재하며, 난소 세포에 그 수용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사람의 과립 및 황체화 세포에서 cortisol은 스테로이드 생성과 세포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배란 후 난포액에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cortisol이 과립-황체화 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과배란 유도후 획득한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를 배양하면서 5, 50, cortisol
        11.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쥐 신생자 시기에 생식 세포의 사멸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 사멸을 보이는 생식 세포에서 세포 사멸 관련 단백질인 caspase-3, caspase-activated DNase(CAD), Bax 및 Fasnas ligand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활성화된 caspase-3와 CAD의 면역화학적 염색 결과 일차 및 이차 난포내 TUNEL 양성을 보이는 세포 사멸 난자에서 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CAD 또한 TUNEL 양성을 보이는 세포 사멸 난자에
        12.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높은 농도로 투여된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이성체(GnRH-Ag)는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억제시키고 난소의 기능을 억제하는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시술과정에서 과배란 유도를 위해 다량의 GnRH-Ag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progesterone을 보충해 주어야 하는 황체기 결함을 유발시킨다. 본 실험의 목적은 이러한 황체기 결함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알아보고자 사람 과배란 유도 과정과 비슷하게 생쥐에 GnRH-Ag
        15.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as는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 단백질로서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Fas mRNA는 림프조직뿐만 아니 라 비 림프조직에서도 발현한다. 한편 대다수의 난포들은 세포자연사와 연관된 기 작을 통해 난포폐쇄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난포폐쇄에 관한 기작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생쥐의 난소의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의 발현 여부를 알아보고, Fas와 Fas liga
        18.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난포에서 GnRH와 그 수용체의 발현이 확인되면서 GnRH가 국소적으로 난소의 기능을 조절하고,특 히 과립세포의 세포자연사(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황체에서 GnRH와 그 수용체의 발현과 기능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신한 흰쥐의 황체세포에서 GnRH와 그 수용체가 발현되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GnRH가 황체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직접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임
        19.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만유전자 산물인 leptin은 비만뿐만 아니라 여성의 생식 생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아직 이러한 leptin이 난소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흰쥐 난소에서 leptin과 leptin 수용체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확인하고 발정주기에 따른 leptin과 leptin 수용체의 발현 양상을 RT-PCR 방법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방법 결과 흰쥐 난소내에서 leptin은 협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