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은 고려와 조선시대 춘천과 강릉, 원주 등과 함께 강원의 핵심지역으로 일찍부터 문화가 발전하였으며, 많은 문화유산이 남아 있어 이를 입증하고 있다. 삼척의 다양한 유적과 유물 가운데 청자 문화와 직접 관련된 유적은 생산유적과 생활유적, 분묘유적 등이 있다. 生産遺蹟은 12세기 중반∼13세기 전반에 康津 製瓷技術의 영향을 받아 운영되었던 내미로리 청자요지가 발굴조사되었는데, 器種과 釉胎, 燔法, 文樣 등이 좋지 않아 지방에서 대량 생산을 목적으로 운영되었던 가마임을 알 수 있다. 生活遺蹟은 삼척의 치소였던 삼척도호부 등이 발굴조사되었다. 삼척도호부에서는 양질의 청자가 출토품의 중심을 이루고 있어 영동지역에서 차지하였던 삼척의 위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地上寺址에서는 수량은 많지 않지만 신라 하대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도자기와 함께 중국 越州窯 청자가 확인되어 사찰의 운영시기를 알려주고 있다. 천은사 경내의 이승휴 유허지에서 출토된 청자는 내미노리 청자요지에서 생산된 것으로 판단되어 대량 생산 체제로 운영되었던 지방 요지와 주변 소비지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좋은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墳墓遺蹟은 동해 삼화동 고분이 조사되었는데 상류층에서 사용한 고품격의 고려 청자와 宋代 백자를 비롯하여 조질의 고려 백자가 확인되어 품질과 기종에 따라 그릇의 용도가 분담되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이들 유적에서 출토된 청자들은 삼척 지역의 부족한 역사를 보완하는데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앞으로 유적에 대한 조사 연구가 더욱 많이 진행되었으면 한다.
인공안개처리에 따른 보리의 생장, 잡초경합양상 및 제초제반을을 검토코자 온실내에서 일련의 pot시험이 수행되었다. 안개조건에서 보리의 초장, 엽령, 엽폭 및 지상부 생체중은 증가하였으나 출수가 지연되고 출수율과 수량 구성요소인 수당영화수, 천립중 및 발아율은 감소하였다. 안개조건으로 초종수의 차이는 없으나 잡초발생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주요한 발생초종은 둑새풀, 새포아풀, 벼룩나물, 점나도나물, 황새냉이 및 갈퀴덩쿨등이었다. 안개조건에서는잡초와의 경합기간이 길수록 초장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며 1,000립중은 초기경합에서만 감소하였으며 그밖의 보리의 생장은 경합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안개조건에서 제초제처리에 따른 보리의 생체중은 공시 제초제 공히 증가되었으나 1,000립중은 오히려 감소되었으며, 그 중 Butachlor 및 Thiobencarb의 약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처리 후 25일째 생체중에 의한 잡초방제가는 75∼90%로써 안개조건이 비안개조건보다 3∼15% 낮게 나타났으나 60일째는 96%이상으로 대등한 방제가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