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연구는 콜라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콜라비는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조추출한 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이용하여 용매 극성에 따라 순 차적으로 분획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총폴리페놀 함량 측정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평 가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총폴리페놀 함량(27.33±0.26 mg GAE/g)과 ABTS 라디칼 소거활 성(IC50 172.9±1.6 ㎍/mL)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항염 활성은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였으며, 에 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염 활성을 보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전염증성 매개인자들에 대한 저해효과를 농도별로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콜라비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NO, PGE2 생성과 iNOS와 COX-2 및 TNF-α, IL-6, IL-1β와 같은 전염증 성 사이토카인들의 단백질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콜라비가 항산화 및 항염 효능을 가지는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4,600원
        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효능에 관하여 조사한 것이다. 개망 초꽃 에센셜 오일은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하였다. 개망초꽃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효능은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 효능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 효과는 500 μg/ml 농도에 서 98.6%, DPPH 라디칼 소거는 48.3%로 좋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항균 활성은 S. aureus와 P. acnes, E. coli 균에 대하여 paper disc법과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값을 측정하여 확인하였 다. S. aureus 균주에 대해서는 MIC 값과 MBC 값이 모두 0.31 mg/mL 농도에서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P. acnes 균에 대해서는 disc법에서 14 mm의 clear zone 형성과 MIC, MBC에서 각각 0.31 mg/mL, 0.63 mg/mL로 좋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항염 활성에 관련하여 NO 억제 측정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시킴을 확인하였고,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α, IL-6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개망초꽃 에센셜오일은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효 능을 갖는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3.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파골세포형성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이며, 뼈의 흡수는 자주 골다공증과 연결된다. 설포라판은 보로콜리의 화뢰로 부터 분리된 물질로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실험 에서는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RANKL)로 자극된 세포에서 설포라판이 파 골세포 형성 억제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설포라판은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파골세포 특이 마커 유전자인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TRAP), Cathepsin K, matrix metalloproteinase 9 (MMP-9), calcitonin receptor을 저해하였으며, TRAP, MMP-9,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associated factor 6(TRAF6)와 전사인자인 nuclease factor of activated T cells(NFATc1)의 단백질 발현 과 RANKL로 자극하였을 때 전자인사인 nuclear factor kappaB(NF-kappaB)의 전사활성도 억제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설포라판이 NF-kappaB의 전사활성 억제뿐만 아니라, 파골세포형성인자(TRAP, cathepsin K, MMP-9, calcitonin, NFATc1)와 NFATc1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5.
        200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시 북동지역의 군자동에 위치한 세종대학교를 중심으로 2001년 봄철 3월에서 4월까지 PM2.5와 PM10을 채취하여, 이들과 결합된 중금속 성분들에 대한 농도분포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전체 관측기간 동안 산출된 PM2.5, PM10, 조대입자 영역(PM10-PM2.5)의 평균농도는 49.3±29.2, 95.5±46.1, 50.5±35.0 μg/m3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지역의 중금속 오염도를 살펴보기 위해 부화계수(enrichment factor: EF)를 비교한 결과, 미세 및 조대입자 모두에서 Zn, V, Cr, Pb, Cu, Ni, Co, Mo 등의 중금속 성분들의 EF값이 수십, 수백의 범위에 달할 정도로 오염의 수준이 심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세/조대입자 영역간에 형성되는 농도비를 비교한 결과, Zn, Cr, Pb, Ni 등이 미세입자 영역에서 뚜렷하게 더 높은 농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금속 농도에 대해 보다 세부적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금속 성분들의 농도는 상당 수준 증가하는데, 이와 같은 증가는 황사의 영향을 상당 수준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6.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1년 봄철 기간을 택하여 한반도에서 비교적 청정한 대기질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제주도를 거점으로 DMS와 CS2 농도분포를 시간대 별로 관측하고 이를 조절하는 요인들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관측 결과에 따르면, 전체 기간동안 관측된 DMS와 CS2 농도분포는 시간대 별로 세가지 경향성을 뚜렷하게 보여 주었다. 실험의 전 · 후반부에는 양성분의 농도증감 경향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난데 반해, 중반부에는 증감이 반대로 나타나는 경향성이 뚜렷하게 확인 되었다. 그리고 또한 특이한 현상은 전반기에 CS2의 고농도가 나타난 반면, 후반기에는 DMS의농도가 50%가까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반기 기간중의 공기궤가 한반도의 내륙지역에 상당 수준 정체하였다가 제주로 유입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다른 기간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DMS의 농도는 대단히 예외적인 경향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지리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제주 지역에서 관측한 DMS의 농도분포는 단순히 해양환경으로부터 파생되는 요인외에도 여러 가지 복잡한 인자들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4,000원
        7.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남 무안 관측소에서 1995년 8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측정된 CH4의 농도자료를 이용하여, 비교대상으로 설정된 국내·외 관측점들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관측 기간동안 무안지역에서는 CH4의 평균농도가 1898 ± 85.3 ppb로 나타나, 여타 모든 관측지점들 중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그리고 국내의 또 다른 관측점인 태안 지역에서도 이에 가까운 고농도를 유지하였다. 또한 기타 국외 지점들에서는 인구가 적고 해양이 많은 남반구에 비해 북반구에서, 그리고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갈수록 CH4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무안지역의 월주기 농도경향을 분석한 결과, 2, 3월에 CH4의 농도가 서서히 증가하여 8월에 1958 ppb로 정점을 보여주었다. 모든 관측점들에서 월별 변화양상을 동일한 기준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월별 진동폭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내의 두 지점에서 80 ppb이상의 높은 진동폭을 띠는 것으로 보아서, 국외 관측점들에 비해 CH4의 발생/소멸이 매우 불규칙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무안지역의 자료를 계절적 주기를 중심으로 분석하면, 농경지나 측사와 같은 인근지역에 위치한 자연적 발생원의 영향이 강한 여름철을 전후하여 고농도를 보였다. 반면 북반구에 위치한 국외 관측지점들에서 동일 계절에 저농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이 기간에 OH radical의 생성이 활발해져, CH4의 소멸이 촉진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CH4의 일평균 농도를 이용한 장주기적 추세에 대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국내의 두 관측지점들(무안, 태안)에서는 수일 주기의 농도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졌지만, 뚜렷한 계절적 주기는 발견하기가 어려웠다. 그런데 국외의 관측지점들에서는, 계절적 주기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뚜렷하고 규칙적인 양상을 보여주었다. 지역별 CH4 농도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국내 두 지점들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 무안지역과 북반구의 관측점들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남반구에 위치한 관측점들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CH4 농도의 장주기적 변화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CH4 농도의 증가율이 무안과 태안 지역에서 각각 연간 16.5, 14.8 ppb로 가장 높게 관측되었다. 관측점 주변에 복잡한 배출원의 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무안지역의 CH4 농도변화와 풍향과의 연계성을 비교해 보았다. 이 결과에 의하면, 동풍계열의 풍계가 나타날 때 고농도의 값이 나타났으며, 청정한 공기가 유입되는 남서풍의 풍계시에는 비교적 낮은 CH4 농도가 유지되었다. 이처럼 CH4의 장주기적 분포특성은 연구대상지역의 복잡한 배출·소별작용과 연계되어 매우 다양하고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600원
        8.
        2017.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acetic acid fermentation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 by addition of lemon grass to develop high quality vinegar by using lemongreass. Traditional brown rice wine contained 5% lemongrass powder and had an alcohol content of 7.2%. The wine was fermented by Acetobacter. sp. RIC-V and made into lemongrass vinegar (LV). The pH and total acidity of the LV were 3.13% and 7.21%, respectively. Fructose was detected whereas glucose, sucrose, and maltose were not detected. Among organic acids, acetic acid was highest at 3658.6 mg%; trace amounts of lact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and oxalic aicd were detected. Of the 17 free amino acids, glutamic acid, histidine, alanine, and proline were mainly detected. To conduc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3% and 5% lemongrass powder (P3LV, P5LV) and 1%, 2%, and 3% of lemongrass extract (E1LV, E2LV, E3LV) were added to LV, respectively. Total phenolics increased as the added lemongrass powder and extract increased. Total phenolics were 490.9, 559.4, and 895.7 μg gallic acid equivalents/mL in brown rice vinegar, LV, P5LV.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43.2%, 58.0%, and 91.0% in brown rice vinegar, LV, P5LV,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lemongrass vinegar has considerable potential as a high quality functional vinegar with antioxidative effects.
        9.
        201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ed beet (Beta vulagaris) root. Red beet root was extracted using 70% 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sequentially with n-hexane, ethyl acetate and butanol. Antioxidative ability was evaluated by bioassays using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BTS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diammonium sal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thyl acetate fraction of red beet root was best on total polyphenol contents (37.02±0.37 mg GAE/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effects (IC50 42.9±9.5 μg/mL). For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RAW264.7 cells, the hexan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flammatory effect. Dose response studi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 of hexane fraction of red beet root on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264.7 cells. The hexane fraction of red beet root inhibited the NO and PGE2 production and the protein level of iNOS and COX-2, and protein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6 and IL-1β),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d beet root has considerable potential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with antioxidative and anti- inflammatory effects.
        10.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of Amaranth (Amaranthus spp L.) seed extract. Amaranthus spp L. seeds were extracted using 70% 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sequentially with n-hexane, dichloromethan, ethyl acetate and butanol. For the study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RAW 264.7 cells, EtOAc fraction of Amaranthus spp L. seeds significantly inhibited nitrogen oxide production as well as the protein level of iNOS. Furthermore, EtOAc fraction of Amaranthus spp L. seeds inhibited expression of TNF-α, PGE2 and the protein level of COX-2 in a dose-dependent manner. Inaddition,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Amaranthus spp L. seed 70% ethanol extract and subfractions were also measured to see if these extracts can be used as an ingredient for whitening cosmetics. Tyrosinase is an oxidase that is a rate-limiting enzyme for controlling the production of melanin. Therefore, tyrosinase inhibitor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cosmetics and medical products with regards to hyperpigmentation. EtOAc fraction of Amaranthus spp L. seeds showed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is activity was more potent than that of a positive control cynandione 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aranthus spp L. seeds may be a valuable natural ingredient for the food and cosmetics industries.
        11.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umber concentrations, the mass concentrations and the elemental concentrations of PM10 have measured at Gosan site in Jeju, Korea, from March 2010 to December 2010. And the correlation and the factor analysis for the number, the mass and the elemental concentrations of PM10 are performed to identify their relationships and sources. The average PM10 number concentration is observed 246 particles/㎝3(35.7∼1,017 particles/㎝3) and the average PM10 mass concentration is shown 50.1 ㎍/㎥(16.7∼441.4 ㎍/㎥) during this experimental period. The number concentrations a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particle size, hence the concentrations for the smaller particles less than 2.5 ㎛(PM2.5) are contributed 99.6% to the total PM10 number concentration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he 20 elements in PM10 determined in this study is shown by S with a mean value of 1,497 ng/㎥ an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them is found by Cd with a mean value of 0.57 ng/㎥. The elements in PM10 are evidently classified into two group based on their concentrations: In group 1, including S>Na> Al>Fe>Ca>Mg>K, the elemental mean concentrations are higher than several hundred ng/㎥, on the other hand, the concentrations are lower than several ten ng/㎥ in group 2, including Zn>Mn>Ni>Ti>Cr>Co>Cu>Mo>Sr>Ba>V >Cd. The size-separated number concentrations are shown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ass concentrations in overall size ranges, although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which are monotonously increased or decreased with size range, are not high. The concentrations of the elements in group 1 are shown highly correlated with the mass concentrations, but the concentrations in group 2 are shown hardly correlated with the mass concentrations. The elements originated from natural sources have been predominantly related to the mass concentrations while the elements from anthropogenic sources have mainly affected on the number concentrations of PM10.
        12.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have measured with an aerodynamic particle sizer spectrometer(APS) at Gosan in Jeju Island, which is known as background area in Korea, from March 2010 to February 2011. The obtained results of asian dust events and non-asian dust period have been compared. The results show that the entire averaged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from APS measurement during asian dust events and non-asian dust period are about 341 particles/㎝3 and 240 particles/㎝3, respectively. During asian dust events, the number concentration in small size ranges(≤0.4 ㎛) are similar to non-asian dust period, however, those in large size ranges(≥0.7 ㎛) are very higher than non-asian dust period. The contributions of the size resolved number concentration(23 channel in 0.25∼10.0 ㎛) to total number concentration in that range are dramatically decreased with increased particle size. The contributions of smaller size ranges(≤0.4 ㎛) during asian dust events are very low compared with non-asian dust period, on the other hand, those of larger size ranges(≥0.4 ㎛) are higher than non-asian dust period. total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are depended on the number concentration in range of smaller than 0.58 ㎛ during non-asian dust period and asian dust events. On the other hand, PM10 mass concentration has mainly affected with the number concentration in range of smaller than 1.0 ㎛ during non-asian dust period, however, during asian dust events, the mass concentration has mainly affected with the number concentration in range of 0.65∼3.0 ㎛.
        13.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have measured with an aerodynamic particle sizer spectrometer(APS) at Gosan site, which is known as background area in Korea, from January to September 2011. The temporal variation and the size distribution of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have been investigated. The entire averaged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in the size range 0.25∼32.0 ㎛ is about 252 particles/㎝3. The number concentration in small size ranges(≤ 0.5 ㎛) are very higher than those in large size ranges, such as, the number concentration in range of larger than 6.5 ㎛ are almost zero particles/㎝3. The contributions of the number concentration to PM10 and/or PM2.5 are about 34%, 20.1% and 20.4% in the size range 0.25∼0.28 ㎛, 0.28∼0.30 ㎛ and 0.30∼0.35 ㎛, respectively, however, the contributions are below 1% in range of larger than 0.58 ㎛. The monthly variations in the number concentration in smaller size range(<1.0 ㎛) are evidently different from the variations in range of larger than 1.0 ㎛, but the variations are appeared similar patterns in smaller size range(<1.0 ㎛), also the variations in range of larger than 1.0 ㎛ are similar too. The diurnal variations in the number concentration for smaller particle(<1.0 ㎛) are not much, but the variations for larger particle are very evident. Size-fractioned aerosol number concentrations are dramatically decreased with increased particle size. The monthly differences in the size-fractioned number concentrations for smaller size range(<0.7 ㎛) are not observed, however, the remarkable monthly differences are observed for larger size than 0.7 ㎛.
        14.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var.miyagawa) harvest on early December according to production areas and sea level altitude of Cheju were investigated. Soluble solids and flesh ratio were distributed 9.32∼12.50, 75.95%-81.3 in citrus fruits harvested in orchards located below 10m sea level altitude (lower area), and was 10.23-12.17 , 77.35%-80.29% on those over 150m sea level altitude )higher area), respectively. Acid content of citrus juice was 0.95%-1.26% in fruits harvested inlower area, and was 1.02%-1.39% in higher area. In proportion to late harvesting , Brix/acid ratio and fruits quality was improved. Soluble solids of fruits harvested in higher area were higher than those of fruits from higher area, but acid contents were on the contrary . In sensory evaluation on fruit appearanc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altitudes were not cl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