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3.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탐라오가피를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물과 주정의 비율을 달리하여 추출시간에 따른 유용성분의 경시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물 및 주정농도를 각각 로 조절한 다음 0.5 cm 이하로 세절한 뿌리를 300 g/7.5 L의 비율로 첨가하여 9시간 동안 의 항온수조에서 환류냉각으로 추출하였을 때, 추출을 시작한 후 3시간까지 pH가 낮아졌으며, pH 범위였다. 색도 a값은 추출용매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추출 시간까지에 변화가 컸다. 색도
        4.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라봉감귤의 Si+CaO 혼합필름포장과 LDPE 필름포장에 따른 저장 중에 품질변화를 검토하였다. 과육율은 포장처리와 무처리에서 로 저장기간에 따른 한라봉과 M16A의 과육율의 변화가 없었으며, 무처리에서 저장 후기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경도는 M16A가 한라봉보다 100 g-force 정도 높은 값을 보였으며, 포장재처리에 따른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가용성고형물은 한라봉과 M16A 모두 Brix였으며, 무포장처리에서 저장 후기에 약간의
        5.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귤착즙박의 자원화를 위하여 감귤 착즙박과 완숙기에 수확한 궁천조생의 유용성분 등을 분석하였다. 채취시기에 따라 감귤착즙박의 성분 함량은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평균적으로 수분 82.23%, 무질소화합물 16.94%, 조단백질 1.27%, 조지방 2.5%, 조회분 0.58%였다. 일반성분은 온주 밀감의 과육보다 껍질 부위의 특성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감귤 착즙박의 pH는 3.57, 산 함량은 0.43%, 펙틴 1.49% 그리고 비타민 C는 온주밀
        6.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라봉의 생육과정과 수확 후에 온도처리에 따른 품질변화를 검토하였다. 한라봉은 12월 초순까지 지속적으로 당도()가 증가하였다. 한라봉 변이품종인 M16A에서는 10월 이후에 산 함량이 감소가 두드러져 1% 수준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한라봉에서는 산 함량의 감소가 지속적으로 일어나, 1월 중순 이후에도 산 함량이 높아 후숙처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과일의 경도는 11월까지 서서히 감소하여 1,000 g-force 수준을 유지하였다. 가용성고
        7.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탐라오가피를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물과 주정의 비율을 달리하여 추출시간에 따른 유용성분의 경시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물 및 주정농도를 각각 로 조절한 다음 0.5 cm 이하로 세절한 줄기를 300 g/7.5 L의 비율로 첨가하여 9시간 동안 를 유지하는 항온수조에서 환류냉각 추출하였다. 추출 중에 pH의 변화는 대체로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추출 후 3시간까지 pH가 낮아졌으며 범위였다. 색도 a 값은 추출용매
        8.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온재배한 한라봉감귤의 물리화학적 성분특성을 검토하였다. 수분 함량은 한라봉과 M16A에서 각각 87.42%와 88.12%, 총당은 8.01%와 7.81%, 산 함량은 1.09%와 0.99 %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한라봉과 M16A에서 각각 72.01 와 68.01 mg/100g으로 온주밀감에 비하여 매우 높았다. 무기물 함량 중에 K는 한라봉은 1369.33 mg/100g으로 M16A 의 938.33mg/100g에 비해 높았으며, 한라봉은
        9.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온재배한 한라봉감귤의 분포도, 물리화학적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한라봉은 과중 이 90%를 차지하는데 비하여, 한라봉 변이종인 M16A 품종에서는 나무나이가 어리고 열매솎기의 영향으로 결실 정도가 낮아 을 중심으로 한 큰 과일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M16A의 과일크기가 한라봉에 비하여 컸지만 껍질두께는 오히려 3.29mm로 한라봉의 3.51mm에 비해 얇고 과육과 밀착되어 있었다. 중간 위치에 달려있는 한라봉의 경도가 832.8 g-fo
        10.
        200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산 건조녹차를 에서 15분간 추출하여 여과한 다음 PET병에 밀봉하여 저온과 실내 및 실외에 각각 보관하면서 보존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라 L값은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a값이 감소하고 b값이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색깔이 짙어졌으며, 실내에서 저장한 경우가 실외저장이나 저온저장보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더 짙어졌다. 녹차추출물 중의 주요 카테킨류로는(-)-epi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
        11.
        200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산 감귤류를 리큐르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금귤은 3kg/6L, 병귤은 1kg/3L의 비율로 주정농도 에서 금귤은 일, 병귤은 일간 침출하여 유용성분인 flavonoid의 이행을 HPLC로 분석하였으며 pH, 색도, 고형물 함량의 변화 등을 측정하였다. 주정농도에 따라 pH의 변화는 차이가 많았으며, 색깔의 변화도 컸다. 일반적으로 주정농도 30%와 95%에서 glucose와 fructose는 높은 주정농도에서, sucrose는 낮은 주정농도
        12.
        200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 지역의 대표적인 좁쌀 약주 제품에 대하여 유통 과정 중에 발생하는 침전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 공정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러 공극 크기의 유리 막 여과지와 중공 사막 카트리지여과 매질을 가지고 좁쌀 약주를 여과한 결과, 대부분이 침전 형성 가능한 입자들은 1.2 공극 크기의 여과 매질에 의한 여과로 제거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0.45 중공 사막 카트리지인 경우 여과 flux는 342.8 lmh로 계산되었
        13.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장 전 키토산과 칼슘 처리와 저장고 형태에 따른 온주밀감의 저장 중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항균제로서 베프란(iminoctadime-triacetate) 2,000배 희석액, 키토산 1.5%에 0.5% CaC1를 혼합한 용액에 감귤을 충분히 침지하였다. 풍건시킨후 26L인 플라스틱 컨테이너에 감귤을 12kg 정도씩 담아 3에서 24시간동안 저장전 처리를 하고, 상온저장과 내부온도 4, 상대습도 81%를 기준으로 저장하였다. 저장고내의 온습도 편
        14.
        2003.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산 하우스 감귤의 유통전 처리에 따른 선도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통 중 가용성고형물은 온도조건이나 처리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산 함량 및 경도는 유통초기에 비해 전체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저온유통처리구가 상온유통처리구에 비해 높게 유지되었고 상온과 저온유통 조건에서 모두 전해산화수 및 왁스코팅 처리가 대조구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과실 내부의 초기 발생량은 1% 내외였지만 상온유통조건에서는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
        15.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장고 형태에 따른 온주밀감의 저장 중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항균제로서 베프란(iminoctadime-triacetate) 2,000배 희석액과 키토산 1.5%에 0.5% CaCl를 혼합한 용액에 감귤을 충분히 침지 하였다. 풍건시킨 후 26L인 플라스틱 컨테이너에 감귤을 12kg 정도씩 담아 3에서 24시간동안 저장전처리를 하고, 상온저장과 내부온도 4 상대습도 87%를 기준으로 저장하였다. 저장고내의 온습도 편차가 적은 저장고에서 가장 낮은
        16.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장고 형태에 따른 온주밀감의 저장 중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항균제로서 베프란(iminoctadime-triacetate) 2,000배 희석액, 키토산 1.5%에 0.5% CaCl를 혼합한 용액에 감귤을 충분히 침지하였다. 풍건시킨 후 26 L인 플라스틱 컨테이너에 감귤을 12 kg 정도씩 담아 3에서 24시간동안 저장전 처리를 하고, 상온저장과 내부온도 4, 상대습도 87%를 기준으로 저장하였다. CaCl를 함유한 키토산 용액을 처리한 감귤이
        17.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귤의 저장 중 손실율을 줄이고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베프란, 키토산과 CaCl을 처리하고 상온저장과 4, 873%의 조건에서 저장하면서 궁천조생 온주밀감의 품질변화를 검토하였다 온주밀감의 저장기간 중 부패율은 2월 중순부터 상온 및 저온저장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2000배 희석한 베프란 용액, 0.5% CaCl를 함유한 1.5% 키토산 용액을 처리한 감귤이 부패과 발생이 매우 낮았다. 또한, 키토산과 CaCl을 처리한 감귤에서 중량감소도 적게
        18.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mical analysis and optimum preparation conditions for fig jam were investigated. Soluble solids, acid content and vitamin C of fig was 12.20。Brix, 0.14% and 2.27 mg/100g, respectively. Carbohydrate in fig juice was consisted of 54.43% glucose and 44.53% fructose. Potassium content of fig was 178.0 mg/100g. Moisture content and total sugar of fig fruit was 88.35% and 9.47%. In preparation of fig jam, the addition of 0.2% Citrus natsudaidai juice and 0.5% C. lemon juice as acid source was the best in regard with color and flavor determined by sensory evaluation. The ratio of sucrose : honey : oligo sugar(70:20:10) was also the best in addition of sugar source 60%(w/w) in total. Fig jam prepared in this experiment was better than that of commercial products in sensory evaluation, and microbial growth of this product was not recognized for one month at 30.
        19.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iyomi tangor(Citus unshiu x sinensis) was stored at 3 and 85% relative humidity, and the changes in firmness, pectin degrading enzymes activity and oth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fruits during storage were investigated. Decay ratio and weight loss during 180 days’ storage were increased gradually to 13.0% and 12.9%, respectively. Firmness of fruits with 2 mm probe was decreased gradually from 808.7 g-force to 406.4 g-force, and moisture of peel and flesh were decreased from 76.5% to from 89.6% to 87.6% during storage, respectively. Exo-polygalacturonase activity of peel after 150 days’ storage were increased gradually to 558.09 units/100g. Pectin methylesterase activity of peel and flesh were increased from 14.7 units/g to 2.3 units/g, and from 9.4 units/ml to 2.7 units/ml at 150days’ storage, respectively. Endo-polygalacturonase activities were not changed notably during storage. Alcohol-insoluble solid(AIS) of peel was not changed notably. During storage of the fruits water soluble pectin(WSP) of peel and flesh were increased from 474.49 mg/100g to 614.29mg/100g, and from 66.91mg/100g to 92.74mg/100g as wet basis, respectively. Hexameta-phosphate soluble pectin(HMP) of peel were decreased from 405.5mg/100g to 270.43mg/100g, hydochloric acid soluble pectin(HSP) of peel was also decreased from 544.02mg/100g to 412.64mg/100g during storage. Total pectin substance(TPS) of peel and flesh were decreased from 1,424.01mg/100g to 1,297.36mg/100g, and from 165.51mg/100g to 171.54mg/100g, respectively. Composition ratio of pectin was in order of WSP > HSP > HMP.
        20.
        200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탐라오갈피 나무의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eleutheroside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9월에 수확한 탐라오갈피 나무의 부위별 eleutheroside B의 함량은 줄기에서 549.2 ppm으로 가장 높았고, 뿌리 및 잎에서는 각각 483.2 ppm, 255.9 ppm으로 잎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eleutheroside E도 줄기에서 653.1 ppm으로 뿌리보다 높았으며, 잎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잎에는 eleutherosid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