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2.
        2020.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에서 톱밥재배 방식으로 생산하는 표고의 경우 톱밥배지에 종균이 접종된 후 배양 및 갈변까지 완료된 완성형 배지의 형태 를 구입하여 버섯을 생산하는 농가가 대다수이며 ,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표고 완성형 배지를 이용하는 재배 농가가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 표고버섯의 수출량은 105.5 105.5 톤(2019) 으로 팽이 , 새송이 , 느타리 다음으로 수출되었으며 수출 금액은 1,626 1,626천$(2019) 이다 . 수출 형태는 주로 건조버섯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 이외에 조제저장 , 생버섯의 형태로 수출되고 있다 . 신선버섯은 해외 수출을 위한 운송 수단에 따 라 유통기간이 크게 좌우되므로 완성형 배지로 수출 형태 전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 수출 맞춤형 완성형 배지의 가장 적합한 배지조성을 설정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시험품종은 ‘농진고 ’ 품종과 ‘참아람 ‘ 품종을 사용하였다 . 배지 재료의 주재료로는 참나무톱밥과 미송톱밥을 사용하였으며 , 영양원으 로는 미강 , 밀기울 , 대두박 , 파옥쇄를 사용하여 혼합비율을 달리한 20 처리를 하였다 .
        16.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성셔츠 소재의 선염 줄무늬 특성에 따른 시각적 감성 이미지의 차원을 알아보고 소비자들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남성셔츠 소재용 줄무늬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남성셔츠 줄무늬 감성은 매력성, 성숙성, 품위성, 실용성, 단순성의 5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남성셔츠 소재 줄무늬의 특성이 감성 차원 및 선호도와 구매 욕구에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색상, 배열, 간격 등 줄무늬의 특성이 남성셔츠 소재의 시각적 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두 가지 두께의 부등간격 줄무늬 조합이 매력성, 실용성이 높기 때문에 선호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조되는 복합색의 줄무늬가 매력성이 높으므로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8.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has identified detailed climate types and their geographical ext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MK (Modified Korean)-PRISM (Parameter-elevation Regression on Independent Slopes Model) 1×1km high-resolution grid climate data and Trewartha climate classification. When considering 60 ASOS (The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s) stations, only four climate types were identified over South Korea. Three climate types, Dca (52%), Doa (28%) and Cfa (18%), were prevalent while Dcb type was only located at Daegwallyeong. When based on a high-resolution grid climate data, six climate types were identified including Dob and E types which were not detected with ASOS stations. High-resolution grid climate data reflected better and detaile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reas occupied by Cfa climate types were located along the narrow southern and Jeju coastal areas, dedicating only 6.9% of South Korea. Trewartha climate classification was also applied to 1km×1km RCP scenarios. The most distinct feature of future climate changes based on RCPs was a larger expansion of Cfa and Doa types with a drastic reduction of Dca and Dcb, indicating that a warmer and wetter climate would be prevalent over South Korea in the latter period of this century. Even for RCP2.6, all the coastal areas, some of Seoul metropolitan area, a large part of Daegu and Gwangju metropolitan areas would be classified as Cfa. For RCP8.5, 51.5% of South Korea would be occupied by the Cfas and 25.1% by the Doas, leaving only 23.2% of Dcas.
        19.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rainfall over South Korea during recent five(2009-2013) years using observation data. There was a significant contrast in interannual variability between July and August rainfall since 1998. Large increase of rainfall in July (2009 and 2011) and August (2010 and 2012) were found to be consistent over all 60 stations in South Korea. Enhanced precipitation over western tropical Paciÿc and anticyclonic anomaly to the east of Korean peninsula were the common features when there was rainfall increase both in July and August. Intraseasonal summer rainfall over South Korea evolves in time lag with intraseasonal Indian and Western North Pacific monsoon indices. The meridional tripole structure of intraseasonal convection from the Western North Pacific to East Asia and the baroclinic structure of intraseasonal circulation anomalies centered over Korean peninsula provided a favorable condition for the extreme rainfall(90 percentile) events to occur.
        20.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남한의 우기를 포함한 5월부터 9월까지 강수의 월별 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61년부터 2007년까지 16개 기상관측지점을 장마 시종일 발표 지역인 중부, 남부, 제주의 세 지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961~1990년까지의 30년 평균값 대비 1971~2000년까지의 30년 평균값의 월별 편차를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제주 지역을 제외한 중부와 남부 지역에서는 1961~1990년보다 1971~2000년의 7월과 9월 강수량은 감소한 반면, 5월, 6월, 8월 강수량은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제주 지역은 5월부터 9월까지 모든 달에서 강수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중부 및 남부 지역은 장마 시ㆍ종일로 계산한 장마일수와 6ㆍ7월 강수량의 상관성이 높았으나 제주 지역은 상관성이 낮아 장마전선 외 다른 강수 메카니즘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10년대별로 분석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1990년대에는 8월 강수량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2000년대에는 제주 지역을 제외한 중부와 남부 지역은 7월 강수량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