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S : Since the 1990s, underground utility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of aerial communication c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optimal measures for preventing collisions with existing underground utilities and for future maintenanc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utilities undergrounding projects. This study considered the identifier sensor and tested the optimal sensor performance for more accurate and systematic management. METHODS : In this study, three representative technologies were selected from identifier sensors generally used in air and the possibility for their use in soil and asphalt was confirmed by simulating the environment via a test construction. Three identifier sensors were selected: BLE (Bluetooth low energy) beacon, ultra-high frequency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HF RFID), and a geomagnetic recognizer. The long-term recognition performance of each identifier sensor was tested using the underground depth as a variabl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comparison.
RESULTS : The results of the test under limited conditions and environment demonstrated that the BLE Beacon had advantages in equipment composition, recognition range, and speed but exhibited problems with batteries in winter. The geomagnetic recognizer did not show the exact loca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a disadvantage.
CONCLUSIONS : Although the performance of UHF RFID has been demonstrated to be relatively suitable under these test conditions, it seems that the impact of the more diverse installation depth or medium should be reviewed for actual commercialization.
OBJECTIVES : A fog generated field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sizes of variable speed limit signs and the legibility distance under various fog density conditions. By using this study, appropriate sizes of signs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density of fog. METHODS : An actual tunnel was selected as the area for this test, as other places cannot maintain the fog condition because of rapid air current. A total 121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test, which took place over the course of four days. The test on the first day was conducted under normal weather conditions for comparison. Visibility-distance detecting sensor was used to measure the visibility distance due to the fog density time, simultaneously with the evaluation of legibility distance by subjects. RESULTS : The test results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 sizes of signs and the legibility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visibility distance due to both non-fog and fog generated conditions. According to the technical test results, appreciable amount of reduction in legibility distance due to fog was resulted in all sizes of signs. Moreover, the legibility distance is reduced proportionately with the decrease in the visibility distance due to fog.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select appropriate sizes of valuable speed signs under fog conditions. Hence, drivers can expect to have more room to respond to adverse weather conditions,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accidents.
OBJECTIVES : A fog generated field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uminance of variable speed-limit signs and the legibility distance under various fog density conditions. By using this study, appropriate luminance values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density of fog. METHODS: An actual tunnel was selected as the area to conduct the test, as other places cannot maintain the fog condition because of rapid air current. Ninety-two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test, which took place during the course of three days. Visibility-distance detecting sensor was used to measure the visibility distance due to the fog density time, simultaneously with the evaluation of legibility distance by subjects. RESULTS: The test results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luminance values and the legibility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visibility distance due to fog. According to the technical test results, lower luminance value such as 7000 cd/m2 corresponds to less legibility distance compared to higher values such as 20000 cd/m2 or 40000 cd/m2. However, the amount of difference between 20000 cd/m2 and 40000 cd/m2 is negligible in our tes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select appropriate luminance of valuable speed signs under fog conditions. Hence, drivers can expect to have more room to respond to adverse weather conditions,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accidents.
도로교통 소음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방안으로 가장 보편적인 방안으로 방음벽이 사용되어오고 있다. 하지만, 건물의 높이가 증가하여 방음벽의 높이도 높아지며, 이를 통한 주변경관을 저하가 되고 있다. 또 한, 방음벽의 높은 설치 및 유지비용도 방음벽의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방음시설의 한 계를 극복하고자 능동형 소음 저감 기술(Active Noise Cancellation, 이하 ANC)이 대안으로 제시하였고, ANC 알고리즘 개발 및 현장 적용 분석을 진행하였다. ANC기술은 주로 음향장비, 차량내부 등 주로 내부 공간의 소음을 저감시키는데 사용된 기술이며, 도로 분야에 대한 적용은 기초적인 단계에 있다. 본 연구 에서는 가장 범용적인 ANC 알고리즘은 Fx LMS 알고리즘을 본 연구에서 개발한 ANC 제어기에 적용하여 현장 적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현장 적용은 경기도 광주 여주 IC 부근의 국도 구간과 중부내륙고속도로에 위치한 한국도로공사 시험도로에서 진행하였다.
현장 적용 결과 일반 국도에서는 일부 주파수 대역에서의 근소한 소음 저감 효과를 보였고, 고속도로의 경우 부분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 3dB의 소음 저감을 보였다.
본 연구는 가장 범용적인 ANC 알고리즘은 Fx LMS 알고리즘을 통해 현장 적용 가능성을 입증 하였고, 향후, 다양한 ANC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현장적용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도출할 예정이다.
제한되어 있는 자원으로 인해 최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도 특히 태양광 발전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위험성이 적어 타 재생에너지 시장보다 빠르게 성 장하고 있다. 따라서 태양광의 발전 효율을 성장시키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 광 패널의 온도나 패널 표면의 먼지, 눈 등의 오염원에 따라 발전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만, 태양전지를 개 발하거나 보완하는 연구가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 개발된 패널의 발전 효율을 높이는 연구는 미비 한 실정이다. 하여 본 연구는 패널 표면의 오염원을 자동으로 청소해주는 클리닝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 유무에 따른 발전 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2016년 1월 강설 시 테스트를 수행하여 발전 효율 분석한 결 과, 5분 단위로 최대 3.3% 증가하였고, 1시간 동안 약 1% 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패널 온도 는 클리닝 시스템 적용 유무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발전 효율이 미미한 수치로 증가한 것은 적 설량이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된다. 향후에 많은 량의 강설 발생 시, 클리닝 시스템을 적용한다면 발 전 효율이 더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에 따라 태양광 발전 시스템 시장에서도 필요한 요소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악천후 관련 대형 추돌사고 및 빗길 대형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악천후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어 시급한 대책이 필요하다. 현행 도로교통법에 따라 악천후에는 감소의 무를 규정하고 있으나 운전자 스스로 기상상황에 맞추어 적정 속도로 주행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 서, 교통관리 운영자가 기상조건을 정확하게 검지하고 도로 및 기상상황에 따라 적정 제한속도를 표출해 주는 것이 필요하지만 현재 영종대교 시범운영구간을 제외하고는 국내 적용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악천후 시 기상조건을 정확하게 검지하고 도로상황을 감안한 제한속도를 표출하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기상검지기, 표출시스템, 속도 관리 전략 및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기상검지기는 눈, 비, 안개, 바람, 노면온도 등을 검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저비용 보급형 실현을 위해 통합형 기상검지기 개발을 목표로 한다. 시인성 향상 표출부는 야간 및 악천후에도 시인이 가능한 수준의 휘도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고, 운영전략은 도로 및 기상상황에 따른 적정 제한속도 선정 및 교통류를 감안한 운영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가 완성되는 시점에서 기대효과로, 도로교통법에 규정된 악천후 시 감속 관련한 안전규정을 실 효성있게 도로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악천후 시 운전자들에게 적정 제한속도를 표출함 으로써 운전자간 속도편차를 줄여 도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교통류 흐름을 최대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교통관리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다.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raffic accident injury severity factors for elderly drivers and the relative relationship of these factors.
METHODS: To verify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among traffic accident injury severity factors, this study employ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o develop the SEM structure, only the severity of human injuries was considered; moreover, the observed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The number of fatalities, serious injuries, moderate injuries, and minor injuries were selected for observed variables of severity. For latent variables, the accident situation, environment, and vehicle and driver factors were respectively defined. Seven observed variables were selected among the latent variables.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vehicle and driver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accident severity among the latent factors. For the observed variable, the type of vehicle, type of accident, and status of day or night for each latent variable were the most relative observed variables for the accident severity facto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EM, several model fitting methods, including , GFI, AGFI, CFI, and others, were applied, and the model produced meaningful results.
CONCLUSIONS: Based on an analysis of results of traffic accident injury severity for elderly drivers, the vehicle and driver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one for injury severity. Therefore, education tailored to elderly drivers is needed to improve driving behavior of elderly d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