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nutritional balance for fast foods select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INQ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A thousan students that is 0.09% of the populati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surveyed from January 21 to February 10 in 1989. A total of 835 subjects excluding incomplete answer were analyzed. All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Fifty kinds of fast foods were analyzed for nutrient values calculation. INQ and % of std. values of selected fast food combination were calculated, and % of std. were charted with each first letter of menu items by using GW-BASIC program. Satiety of fast foods was low in hamburger and pizza chain, high in noodle chain. 66.3% of the subjects ate fast foods snack, 29.2% for meals and 6% for beverages. Protein content of hamburger sold in Korea by American brand name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data published in the U.S. for the same brand's menu item. As a result of INQ evaluation, the desirable case of both 'nutritious' and 'fitness for a meal' was only appeared in selecting several menu items at once. A total of 59% of combined fast foods surveyed were revealed as 'nutritious'. Both 'nutritious' and 'fitness for a meal' was 10.4% and 'nutritious' was 48.6%, 'Unfitness for a meal' but 'nutritious' was 48.6% and 'undernutritious' was 37%. Thus a total of 85.6% was 'unfitness for a meal'. 'Undernutritious' but 'fitness for a meal' was 3.5%
        4,000원
        2.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학이 성과 창출 조직으로 변화되면서 대학 행정조직의 인적자원관리는 경쟁력 강화의 새로운 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대학에서는 직원 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역량모델을 인사관리에 도입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대학 행정조직의 역량모델 개발 및 활용 실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역량모델을 활용하고 있는 3개 국립대학의 사례를 분석했다. 분석 자료로 공문서, 발표 자료, 인사담당자의 인터뷰가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역량모델 도입 배경으로 총장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관심과 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교육부 권고사항 이행이나 Best HRD 인증을 위한 수단적 목적도 있었다. 또한, 역량모델의 개발 절차상 타당성 확보가 되지 않은 대학의 사례도 있었다. 역량도출 방법으로는 행동사건기법, 역량 사전 활용방법 등이 활용되었다. 역량군은 공통역량, 직무역량, 리더십역량으로 유사하게 구성되었으나, 직무와 직위 고려 여부는 대학마다 차이가 있었다. 역량 항목 중 전문가 의식, 의사소통, 기획력, 팀워크, IT/PC 능력이 많았다. 역량모델의 활용 범위가 가장 넓은 분야는 교육훈련이며 승진, 경력개발, 인센티브 등에는 부분적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역량모델 도입 후 가장 큰 구성원의 변화는 역량개발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관심이 제고되었다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