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199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m2당(當) 생체수량(生體收量)은 전남 순천 수집종(蒐集種)이 3,975g으로 가장 많았으며, 충북 옥천 수집종(蒐集種)은 713g으로 가장 적어 5.6배(倍)의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수집종간(蒐集種間)에는 황해쑥이 3,420g, 명천쑥이 3,173g, 실제비쑥은 3,148g 순으로 많았으며, 뺑쑥은 2,093g, 큰제비쪽이 2,078g으로 가장 적었다. 2. 황해쑥과 실제비쑥, 명천쑥은 향미(香味)가 좋고 색택(色澤)은 연녹(軟綠)으로 상품성(商品性)이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3. 수량(收量)과 품질(品質)이 좋았던 황해쑥은 철, 마그네슘이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던 반면(反面)에 동은 적게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상품성(商品性)이 가장 뛰어났던 명천쑥과 템쑥은 단백질함량(含量)이 않았던 반면(反面)에 칼슘과 철, 아연이 적 게 함유(含有)되었다. 4. 차광매배시 황해쑥과 실제비쑥의 수양(收量)이 가장 높았고 맛과 색택등(色擇等) 품질(品質)이 우수(優秀)하여 상품성(商品性)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199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28 수집종중(蒐集種中) 인도쑥과 실제비쑥은 초기생장량(生長量)이 많은 반면(反面)에 황해쑥은 후기 생장량(生長量)이 많아 m2당(當) 생체중(生體重)은 황해쑥과 실제비쑥이 1711~1531gr으로 가장 많았다. 2. 조기재배시 실제비쑥과 황해쑥은 향미(香味)가 좋고, 형태가 가늘어 상품성(商品性)이 좋아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3. 지상부의 생육이 양호(良好)하였던 산쑥, 황해쑥, 실제비쑥은 탄수화물, 철, 동의 함량(含量)이 많이 함유(含有)되어있었으나, 생육(生育)이 떨어졌던 뺑쑥, 명천쑥, 큰제비쑥은 인과 마그네슘함량(含量)이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4. 지상부(地上部)의 생체중(生體重)과 무기성분간(無機成分間)에는 인, 철, 마그네슘, 아연, 동함량간(含量間)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칼슘과 후기 생체중(生體重)과는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199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연구(本硏究)는 쑥의 周年生産(주년생산)과 쑥의 용도별(用途別) 적품종(適品種)을 선발육성(選拔育成)하기 위(爲해) 전국(全國)에서 수집(蒐集)된 28종(種)에 대(對)하여 지상부(地上部)의 생육특성(生育特性)과 잎에 대(對)한 무기(無機) 및 유기성분(有機成分)을 分析(분석)한 바 얻어진 주요결과(主要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북부수집종(北部蒐集種)은 경장(莖長), 경태(莖太), 분지수(分枝數), 절간수(節桿數), 잎의크기, 잎의 모용(毛茸)가 모두 커 중부(中部)와 남부수집종(南部蒐集種)보다 지상부(地上部)의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하였다. 2. 생체중(生體重)은 명주산 덤블쑥이 가장 무거웠으며, 지역별(地域別)로는 전북이리 수집종(蒐集種)과 경북의성 수집종(蒐集種)이 가장 많았으며, 이들 수집종(蒐集種)에 대(對)한 특성(特性)은 잎수(數)와 절간수(節桿數)가 많고 잎의 모용(毛茸)가 길었다. 3. 잎의 무기성분(無機成分)은 북부수집종(北部蒐集種)은 N, MgO, Zn, Cu, Mn 함량(含量)이 많았던 반면(反面), 중부수집종(中部蒐集種)은 P2O5과 K2O 함량(含量)이 또한 남부수집종(南部蒐集種)은 Fe 함량(含量)이 많이 함유(含有)되었다. 4. 잎의 탄수화물(炭水化物) 함량(含量)이 많올수록 K2O 함량(含量)도 많은 경향(傾向)이 있다. 5. 생체중(生體重)이 가장 많았던 전북이리 수집종(蒐集種)과 경북의성 수집종(蒐集種)은 잎의 N, P2O5, K2O 함량(含量)이 많았으나, 반대(反對)로 MgO, Zn, Ca, Mn, Fe 함량(含量)은 적게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4.
        199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本) 시험(試驗)은 1992년 충남(忠南) 농촌진흥원(農村振興院) 특작(特作)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수행된 결명(決明) 적기파종(適基播種) 구명(究明)과 피복재료(被覆材料) 선발(選拔)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대전 중부지역 결명 파종적기는 5윌 18일 파종이 가장 수량이 많았고, 6윌 하순도 10a당 273kg까지 생산이 가능하여 맥후작으로 이용할시 유리한 작물로 사료되었다. 2. 피복 재료 선발은 무피복대비 전구에서 수량성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관행(무피복)보다 수량이 20~53% 증수되었고 흑색 PE는 잡초제거 노력을 경감하여 생력화 할 수 있었다. 3. 결명은 조기파종시 결명 입고병이 조금 발생할뿐 파종기, 피복재료에 관계없이 농약사용없이 무공해 농산물이 생산 가능하였다.
        5.
        199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시험은 구약감자의 수량향상을 위해 시비적량과 재식거리에 따른 품종비교시험에 관해 국내수집종 3개와 외국수집종 2개를 공시하여 이들에 대한 생육과 수량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3요소 성분량은 적정시비량은 N-P2 O5-K2 O를 14-10-11kg/10a로 처리했을때 경장이 21.1cm 엽폭 15.1cm로 무처리에 비해 경장이 3.2cm 엽폭이 2.0cm 신장하였고 수량도 10a당 393kg으로 무비구에 비해 62% 증수되었다. 2. 자구크기별 적정재식거리는 출아기, 출아율에 차이가 없고 주당에서는 자구의 크기가 크고 재식거리 50 25cm에서 경수, 자구수가 증가한 반면 수량은 50cm 15cm 밀식구에서 증가하였다. 3. 수집종에 대한 파종후 출현시기는 대부분 60여일 소요되어 전체적인 생육기간이 크게 단축되었다. 4. 품종비교시험에서는 전수집종이 생육기간이 짧아 단위면적당 수량이 낮았으며 국내수집종중 제천수집종이 경수 3.1개와 자구착생수 3.6개로 가장 많아 번식용으로 적당하였고 수량은 일본 수집종에서 높은편이었다.
        6.
        197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중부지방에서 재배방법의 차이(이앙재배, 담수직파재배, 건답직파재배)에 따른 수도품종의 생육ㆍ수량의 변이를 알고자 1970-1972년에 걸쳐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에서 출수까지의 일수는 담수직파가 이앙재배에 비해 현저히 단축되었으며 건답직파재배는 이앙재배에 비해 출수일수가 연장되었다. 2. 수수는 담수직파재배, 건답직파재배, 이앙재배, 순으로 많았으며 일수영화수는 이앙재배, 건답직파재배, 담수직파재배순으로 많았다. 3. 정조중은 모두 품종 공히 담수직파재배에서 가장 많았고 이앙재배는 건답직파재배보다 증수되었으며 담수직파재배에서 고위수량성인 품종은 사도미노리, 아끼바레, 수원 213-001 등이었다. 4. 수량과 수량구성요소와의 상관을 보면 이앙재배에서는 현미천입중 및 일수영화수, 담수직파재배에서는 일수영화수 및 수수, 건답직파재배에서는 수수와 정(+)의 높은 상관이 인정되었다. 5. 정조중과 출수일수와의 상관은 건답직파재배와 담수직파재배에서는 부(-)의 상관관계가 현저하였으나 이앙재배에서는 부(-)의 상관이 매우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