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고추의 장기자루식 양액배지에 있어서 분지수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폿트당 4지, 6지, 8지를 유인하여 재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 경경, 엽중, 근중, 경중은 유의성은 없었으나 엽수와 엽면적은 8지유인에 많았다. 2. 과경, 과중은 4지 유인구에서 많았고 유의성은 없었으나 수량도 124.5ton/ha로 8지 유인의 113.4ton/ha보다 9% 많았다. 3. 유인방법별 월별 수량은 초기 5개월은 8지 유인이 4지 유인보다 많았으나 중기이후인 4월부터 수확 종료까지 4지 유인이 수량이 많았으며 유인에 따른 노동력 절감 및 상품율면에서 자루식 장기재배의 경우 4지 유인이 알맞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2.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초의 시설양액재배시 적정양액의 종류를 구명하기 위하여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선초의 초장은 시설양액재배의 화란액이 59.8cm로 가장 컸으며, 엽장은 화란액이 37.4 cm로 가장 길었고, 엽폭도 화란액이 35.8cm로 가장 넓었으며, 수량도 4,542kg/10a로 노지재배 (1,904kg/10a)에 비하여 139% 증수되어, 신선초 시설양액재배시 적정양액은 화란액으로 판단되었다. 2. 신선초의 엽록소함량은 노지재배가 3.60mg/100cm2으로 가장 많았다. 3. 신선초의 물추출 엑스수율은 화란액이 25.97%로서 야마자끼액 (21.93%), 한국원시액 (20.56%) 및 노지재배 (19.71)%)보다 높았으며, 50% 에탄올추출 엑스수율은 각 처리별 26.59~29.31%로서 별 차이가 없었다. 4. 신선초의 무기성분함량 분석결과 주성분은 Na이였으며, 한국원시액은 Mg와 Zn, 야마자끼액은 Na와 Fe, 화란액은 K, Cu, P가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시설양액계배와 노지재배간에는 유사한 함량을 나타냈다. 5. 신선초의 게르마늄함량은 한국원시액이 0.35ppm으로 야마자끼액 (0. 22ppm), 화란액 (0.18ppm) 및 노지재배 (0. 25ppm)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5.
        199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철재래종, 내장산 수집종, 대둔산 수집종, 거제도 수집종, 진부재래종 및 일본 도입종 등 계통의 용담을 대상으로 RAPD 분석을 통한 유사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적용한 20가지의 10-merprimer 중 8가지에서 54개의 증폭된 DNA 절편을 얻었다. 그 중 53.7%에 해당하는 29개의 band가 다형현상을 보였으며, 9.3%에 해당하는 5개의 band는 모든 계통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고, 37%인 20개의 band가 특이성을 보였다. 특이성을 보이는 band들은 내장산 수집종에서 2개, 거제도 수집종에서 1개, 진부재래종에서 11개, 일본 도입종에서 6개가 관찰되었다. 유전적 유사도의 분석결과 서천재래종, 내장산 수집종, 대둔산 수집종 및 거제도 수집종이 0.76-0.87의 유사도를 보여 한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집단과 진부재래종 및 일본 도입종 사이의 유사도는 0.23-0.34로 각 각 다른 집단으로 구별되었다. 또한 진부재래 종과 일본 도입 종 사이의 유사도는 0.41로 나타나 서로 구분되었다.
        6.
        199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장이 뚜렷이 다른 검정콩 2계통에 대하여 트렉터 부착 세조파기를 이용한 조파시 재배시기 및 파종밀도 차이가 생육 및 수량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자 하였다. 공시품종은 중경종인 검정콩 001와 단경종인 수원 157호이었고, 파종은 5월 21일과 6월 19일에 트렉터 부착 세조파기를 이용하여 조파하였다. 파종밀도는 m2 당 8.3본(60 20cm), 11.0본(60 15cm), 16. 7본(60 l0cm), 22. 0본(60 7.5cm), 33.0본(60 5cm)등 5처리를 두었다. 1. 수량 구성요소와 수량에서 중경종인 검정콩001는 적만파간 파종밀도 반응이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단경종인 수원157호는 적만파간 파종밀도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다. 2. 생육,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서 파종기와 품종, 파종기와 파종밀도와의 상호작용은 대부분의 형질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품종과 파종밀도와의 상호작용은 유의성이 없었다. 3. 도복과 수량에서 검정콩001는 만파적응성이 높았고, 수원157호는 적파적응성이 높았다. 4. 재배시기와 파종밀도 차이에 따른 변이가 높은 형질은 경장, 분지수, 개체당 입수, 수량 등이였고 변이가 낮은 형질은 주경절수, 협당립수, 100립중 등이었다.
        7.
        199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枸杞子) 재배시(栽培時) 생육환경(生育環境)을 개선함으로써 건전한 생육(生育)을 도모하여 수양성(收量性)을 증대하고 농약방제(農藥防除)에 소요되는 노력을 절감하면서 안전 농산물(農産物)을 생산키 위하여 1992년(年) 비가림 망실재배시험(網室栽培試驗)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平均) 기온(氣溫)은 비가림 망실재배시(網室栽培時) 노지자연재배에 비하여 1~1.9℃가 높았고, 병충해 방제횟수는 비가림 망실재배가 2회, 노지재배가 7회이었다. 2.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은 망실재배(網室栽培)가 노지재배에 비하여 양호하였다. 3. 비가림망실재배가 노지재배에 비하여 탄저병의 이병과율과 혹응애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4. 수량은 비가림 망실재배시 환기처리 204kg, 미환기처리 218kg으로 노지재배에 비하여 92~106% 증수하였고, 이는 병충해 감소에 의한 주당과수의 확보에 기인하였다.
        9.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수확과 맥류파종간에 노동력 및 농기계에 대한 경합을 분산하면서 무경운에 의한 파종작업의 조방화로 성력효과를 기하고자 벼 수확전 입모중에 맥류 종자를 전면 산파하고 벼 수확시 볏짚으로 맥류종자를 피복되게 하는 파종법을 트렉터부착 줄뿌림 파종기에 대한 휴입세조파 방법과 비교하였다. 파종방법간 비교시험은 올보리를 공시하여 1990~1994년 4사맥작기간 동안 대전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입모중 파종기 시험으로 벼 수확전 1일, 5일, 10일, 15일에 파종한 후 파종기 차이에 따른 생육 및 수량반응을 1992~1994년까지 2작기 동안 조사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 입모중 보리 산파는 세조파에 비하여 월동전후 초장이 길고 분얼수가 많았으나 월동후 고엽율은 평균 17.4% 높았다. 2. 지상부 생육은 세숙파에 비하여 입모중 파종에서 저조하였고, 출수기와 성숙기는 두 파종방법간 비슷하였다. 3. 수량은 입모중 파종에서 평균 364 kg / 10a로 세조파 파종에 비하여 평균 20.6% 감소하였고 이는 주로 m2 당 이삭수 및 1수입수의 감소에 기인하였다. 4. 벼 수확전 파종일에 따른 보리의 생육 및 수량성은 유의성이 없었다. 5. 입모중 파종이 세조파 파종에 비하여 생육,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의 연차간 변의가 높았다.
        11.
        199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2~1993년 2년에 걸쳐 충남농촌진흥원 특작 시험포장에서 용담의 번식방법 및 성분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아온도는 25℃ 조건에서 발아소요시 3일, 발아율 65%, 3월 20일 파종기에서 출현 소요시 49일과 입모율 54%로 타처리구보다 양호하였다. 4. 삽목번식 5월 상순 녹지삽이 6, 8월 숙지삽보다 양호하였고, 생장조정제 처리는 무처리(관행) 대비보다 NAA 100ppm에서 발근수, 발근장, 발근율 모두가 양호하였다. 3. 절단처리 시험에서 8월 상순 무절단 외 1/2, 1/3, 1/4 절단 결과 1/2 절단구가 무처리(관행)에 비해 5% 수량성이 높았고, 약효성분은 무절단이 가장 높았으나 절단시험에서 수량과 약효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14.
        197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중부지방에서 재배방법의 차이(이앙재배, 담수직파재배, 건답직파재배)에 따른 수도품종의 생육ㆍ수량의 변이를 알고자 1970-1972년에 걸쳐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에서 출수까지의 일수는 담수직파가 이앙재배에 비해 현저히 단축되었으며 건답직파재배는 이앙재배에 비해 출수일수가 연장되었다. 2. 수수는 담수직파재배, 건답직파재배, 이앙재배, 순으로 많았으며 일수영화수는 이앙재배, 건답직파재배, 담수직파재배순으로 많았다. 3. 정조중은 모두 품종 공히 담수직파재배에서 가장 많았고 이앙재배는 건답직파재배보다 증수되었으며 담수직파재배에서 고위수량성인 품종은 사도미노리, 아끼바레, 수원 213-001 등이었다. 4. 수량과 수량구성요소와의 상관을 보면 이앙재배에서는 현미천입중 및 일수영화수, 담수직파재배에서는 일수영화수 및 수수, 건답직파재배에서는 수수와 정(+)의 높은 상관이 인정되었다. 5. 정조중과 출수일수와의 상관은 건답직파재배와 담수직파재배에서는 부(-)의 상관관계가 현저하였으나 이앙재배에서는 부(-)의 상관이 매우 낮았다.
        15.
        197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중부지방에서 담수직파재배에 알맞은 파종립수를 구명함과 파종립수에 EK른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의 변이를 알고져 1972년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고분얼수는 밀파할수록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280립 파종구에서 최고수치를 보였고 그 이후는 점차 감소되었으며 분얼에 대한 경합은 m2 당 280립이상 파종구에서 뚜렸했다. 2. 유효경비율은 m2 당 120립부터 280립 파종구까지는 파종밀도가 증가될수록 감소되다가 그 이후는 점차 증가되었다. 3. 최고분얼수가 m2 당 1,000개 이하에서는 얼자간 경합이 적었다. 4. 수수와 파종립수는 현저한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수수와 일수영화수, 수수와 동숙비율은 (-)의 상관 경향이었다. 5. 수량과 m2 당 영화수는 r=0.929이며 수량과 수수는 r=0.695, 수수와 m2 당 영화수는 r=0.796이었다. 또한 수량과 수량구성요소간의 순위상관을 보면 수량과 수수가 가장 상관이 높았으며 (r=0.954 담수직파에서 수량을 지배하는 요인은 수수이었다. 6. 수량은 m2 당 280립 파종구에서 최고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