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0.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산약(山藥)은 종근(種根)을 분근(分根)하거나 苗頭植付法(묘두식부법)을 쓰고 있는바 이는 마 재배시(栽培時) 종근(種根)의 소요양(所蓉量)이 과다(過多)하다는 문제(問題)로 증식비률(增殖比率)이 낮아 대량증식(大量增殖)을 기대(期待)하기 어려운 실정(實情)이다. 따라서 조직배양(組織培養)을 이용(利用)한 종근증식(種根增殖) 체계(體系)를 이용(利用)코저 마의 줄기마디 부분(部分)을 시료(時로料 )하고 무기염류(無基鹽類)의 농도(濃度)를 1/2, 1/4, 1/8로한 MS배지(培地)와 옥신류(類), Cytokinin류(類) 처리(處理)로 시험(試驗)을 실시(實施) 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MS배지(培地)를 농도별(濃度別)로 처리(處理)하여 기내배양(器內培養) 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발육상태(發育狀態)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배지내(培地內) 무기염농도(無機鹽濃度)가 점차(漸次) 낮아 질수록 shoot장(長)을 촉진(促進) 시키고 출엽(出葉)과 발근개체수(發根個體數)가 모두 증가(增加)되는 경향을(傾向) 보였으며 출엽율(出葉率)과 발근율(發根率)에서도 같은 경향(傾向)이 있었다. 2. 발근개체수(發根個體數)를 경시적(經時的)으로 볼때 배양초기(培養初期) 보다는 중후(中後)로 경과(經過)할수록 생육(生育)을 촉진(促進)시키는 정도(程度)가 빨라 지므로서 MS배지(培地)에 비(比하)여 1 /8MS에서 보다 뚜렷한 촉진효과(促進效果)를 보였다 3. MS배지(培地) 농도(濃度)에 따른 IBA와Kinetin을 고정(固定)시키고 IAA와 NAA를 농도별(濃度別)로 첨가처리(添加處理)한 것은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발육(發育)을 억제(抑制) 시키는 작용(作用)이 있었다. 4. 1/8MS에 IBA 5mg / l, Kinetin 2mg / l으로 IAA와 NAA를 각각(各各) 1mg / l으로 할때 shoot가 길어지고 출엽(出葉) 및 발근(發根) 효과(效果)가 있었다. 5. 1/8MS 選擇培地를 가지고 Kinet고과 BA에 2,4-D를 농도별(濃度別)로 조합처리(組合處理)한 결과(結果) shoot 유기(誘起)가 지극(致極)히 불량(不良)하였으나 Kinetin에 IBA와 IAA를 조합처리(組合處理)할 경우(境遇) shoot 발생(發生)이 많아지고 출엽(出葉), 발근효과(發根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12.
        199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질소시비량, 재식밀도 그리고 파종기가 오크라 생협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당착과수는 질소시비량 8kg/10a, 재식밀도는 90 30cm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2. 질소비료수준 및 재식밀도간 생협수량은 각각 8kg/10a, 45 30cm 처리에서 가장 많은 경향을 보였다. 가장 수량이 많은 구는 8kg/10a의 45 30cm로서 1,348.7kg/10a이었다. 3. 파종기에 있어서 생협수량은 5월 1일 파종이 1,270.8kg/10a로 가장 수량이 많았다.
        13.
        198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페피노(Solanum muricatum AIT)의 증식을 위한 삽목방법과 착과진행을 위한 지베레린(GA3 )의 처리시기를 구명하기 위하며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삽목용 상토로는 피트모스(50%)+질석(50%)의 혼합상토가 모래나 일반상토보다 발근수와 발근장이 모두 좋았다. 2. 발근을 위한 생장조절제로는 NAA 1,000ppm 침지처리가 삽목 15 일 후에 발근수와 발근장이 많아 타처리보다도 효과가 컸다. 3. 착과증진을 위한 GA3 (50ppm )의 처리시기는 개화기가 좋았고 처리부위는 화기가 좋았다. 4. 지베레린의 처리는 착과효과 이외에도 단위결과를 유도할 수 있었다.
        14.
        198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수도작의 재배시기 추정식을 유도하기 위하여1962∼1980년의 지역적응시험성적을 이용하여 몇가지 분석을 한 결과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상, 지리조건 및 재배시기 상호간에는 고도의 상관이 있었고 기상요인 중에서는 최저평균기온이 재배시기에 가장 크게 작용하나 기타요인들도 관여함을알 수 있었다. 지리적 요인 중에서는 위도, 고도 및 경도의 순으로 기상과 경종시기에 관여하였다. 2. 반종부터 적정출수까지의 전생육일수는 Japonica 품종군의 경우가 115일, I/J품종군은 111일 이었고 육묘기간은 각각 44일과 42일 이었다. 3. 위치결정요소인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이용하여 파종기, 이앙기, 적정출수기 및 안전출수. 한계기 추정식을 유도한 결과 편회귀계수와 중상관계수가 모두 유의성을 보여 재배시기추정식은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 그러나 본 연구분석에 Topology 효과는 고려되지 않아서 특수지역에의 적용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특수생태형을 가진 품종이나 특이한 재배법에의 적용은 좀더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15.
        197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연구는 13개 교배조합을 공시하고 온실재배조건에서도 비교적 식별이 편리하며 또한 측정이 용이한 간장, 출수기, 묘출도 및 지엽장등 4개 양적형질과 탈립성 및 망등 2개의 질적형질을 대상으로 선발을 가하고 그 효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본연구는 작물시험장의 온실과 시험답에서 1971년부터 1973년에 걸쳐 수행되었는데 그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도잡종의 온실세대촉진과정에서 간장이나 출수기와 같이 유전력이 높은 양적형질을 대상으로 하는 선발은 그 효과가 매우 명확하였으나 추출도 및 지엽장과 같이 유전력이 비교적 낮은 형질의 선발효과는 공시조합에 따라 상이하였지만 일반적으로 낮았다. 또한 탈립성 및 망등 질적형질에 있어서도 선발효과는 인정되었는데 우성형질을 선발할 때 더욱 현저하였다. 2. 장간개체보다는 단간개체를 선발할 때, 그리고 양친품종의 간장차가 큰 조합에서 그 효과는 보다 현저하였다. 3. 간장의 실제유전획득량과 기대유전획득량간에는 일반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재배조건이 포장과 온실로 각각 상이한데서 기인된 것으로 짐작되었다. 4. 통일/Tetep와 IR 24/Tetep과 같이 단간대장간조합에서의 간장유전력은 69~96%로 높았는데 YR 52/IR 24와 Toride 2/수원 224와 같은 단간대단간조합에서는 14~89%의 비교적 낮은 유전력을 나타내었다. 5. 통일/Tetep와 IR 24/Tetep양조합의 간장유전은 비교적 단순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YR 52/IR 24와 Toride 2/수원 224양조합의 경우에는 연속분리로 정규분포곡선을 나타내므로서 주동인자이외에 미동인자의 존재를 예측할 수 있었다. 6. 출수기를 대상으로 하는 선발은 조생집단에서 2~4일의 유전획득량을 얻었으며 만생집단에서는 1~4일의 만생화 차이를 관찰하였다. 2개선발은 1회선발에 비하여 그 효과가 다소 높았다. 7. 출수기의 유전력은 83~96%로 대단히 높았으며 단순인자에 의하여 좌우되기 보다는 여러개의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생은 조생에 대하여 우성으로 나타났다. 8. 추출도에 대한 선발효과는 교배조합에 따라 상이하였다. 양친품종간의 추출도차이가 비교적 큰 IR 1325/Chukei 314조합에서는 그 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양친품종의 추출상태가 비슷한 Chukei 314/수원 224조합에서는 선발효과가 적었다. 9. 추출도는 여러개의 유전인자에 의하여 지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m 유전력은 IR 1325/Chukei 314조합에서는 63~95% 비교적 높았으나 Chukei 314/수원 224조합의 경우에는 무시할 정도의 유전력을 보여주었다. 10. F2 집단에서 지엽장의 유전력은 산도/수원 224조합에서 55% 그리고 이의 역교잡인 수원 224/산도조합에서 26%로 낮았다. 11. 지엽장에 대해 선발했을 때 산도/수원 224조합에서는 집단에 따라 그 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이의 역교잡에서는 전혀 무의미하였다. 따라서 지엽장은 환경요인의 영향이 큰 것으로 미루어 초기세대 선발대상형질로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보았다. 12. 탈립성은 비탈립성에 대하여 우성으로 작용하고 비교적 단순유전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13. 탈립성을 대상으로 선발하는 경우 그 효과는 확실하였으며 탈립집단에서 선발의 효과는 더욱 명확하였다. 14. 유망은 무망에 대하여 우성으로 작용하며 관여인자수는 2쌍이상으로 추정되었다. 15. 망에 대한 선발은 유효했으나 유망개체의 선발효과가 무망개체선발의 경우보다 높았다. 그리고 무망개체를 선발할 때에는 1회보다 2회가 더 효과적이었다.
        16.
        197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과거시험에서 권장되고 있는 복교잡종을 수량적으로 능가하였거나 대등한 결과를 나타낸 F1 품종간교잡의 F2 및 F3 의 생산성을 평가검정할 목적으로 11개의 황색종 품종간교잡과 5개의 백색종 품종간교잡종 및 이들의 F2 와 F3 와 더불어 각 양친품종 및 표준복교잡종 등을 1963년 우기와 1963-1964 년 건기에 걸쳐 생산력검정을 하였다. 다만 전자시험은 몹시 강한 태풍의 피해 때문에 유효한 성적을 얻지 못하였다. (2) 품종간 교잡종의 F1 에서 Heterosis는 아주 현저하여 양친의 평균치에 비하여 39.9%의 증수를 나타내었고 F2 의 수량감소는 평균 30.3%였으며 F3 는 평균 27.2%이었다. (3) F2 와 F3 세대에서는 상당한 정도의 감수가 나타나서 평균하면 F2 는 17.6% 그리고 F3 는 20.7%의 감수를 보여주었다. 이 두 세대에서의 Heterosis강세는 2수준으로 표현되었는데 4개의 조합에서는 10.9%, 그리고 나머지 12개조합에서는 22.0%이었다. 1개황색종조합 Cuban Yellow Flint×Hawaiian Flinty Dent와 3개백색종조합 Bicol White Flint×Eto Blanco, College White Flint×Eto Blanco 및 Bicol WHite Flint×Narino 33b 등은 각각 표준복교잡종인 Philippine Hybrid No. 1 및 Philippine Hybrid No. 4와 비슷한 수량성을 나타내었다. (4) Hardy-Weinberg 법칙이 명시하는바와 같이 Panmixis의 경우 유적적평형(Genetic equilibrium)이 F2 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명확한 것으로서 F2 와 F3 의 수량사이에는 어떠한 유의성도 발견되지 않았다. (5) 이전시험에서와 같이 Hawaiian Flinty Dent는 현 장려복교잡종인 Philippine Hybrid No.1과 거의 동일한 수량을 보여 주었으므로 장차 육종사업에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믿는 바이다.
        17.
        197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생장온도가 낮을 때에 내한성이 중정도에 속하는 품종들은 내한성의 향상을 보였으나 내한성이 극히 강하거나 극히 약한 품종들은 생장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2. 냉각온도가 높고 또 냉각기간이 비교적 짧았을 때에는 2℃ 에서 보다 5℃ 에서 경화가 잘 되었다. 3. 일장은 경화전이나 경화중 별로 영향하지 않았다. 4. 토양습도가 높을수록 내한성은 저하되었다. 5. 질소시용은 내한성을 증가시켰으며 식물체의 건물중을 증가시켰다. 건물중과 내한성간에는 고도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6. 경화기간은 길수록 유리하지만 시험편의상 4일정도가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고온하에서의 연화는 불과 1일-4일이내에 끝남을 알 수 있었다. 7. 내한성검정에 적합한 냉각조건은 -8℃ 에서 24시간정도이었다. 8. 품종에 따라서는 냉각처리 직후 그 피해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회복력을 가지는 품종도 있으므로 처리후 일주일간 정상온도에 두었다가 동피해정도를 조사함이 타당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9. 전체적으로 보아 CD 80과 83의 내한성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Cappelle과 Mris Otter의 순서이었다. 4개의 추파연맥과 Jufy I은 중정도로 구분되었으나 3개의 춘파연맥은 극히 약하였다. Peniarth는 Maris Otter와 대등하였고 S 147은 추파연맥중 가장 약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10. 수용성탄수화물함량이 내한성에 어느 정도 관여하고 있음은 사실이나 이 자체가 내한성을 조절하는 관건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