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인삼 재배지인 충남 금산군 소재의 인삼류(백삼, 홍삼) 제조업체 3곳을 대상으로 하여 수삼, 용수 등의 원부재료와 공정별 인삼류, 그리고 작업도구, 제조설비,작업장 환경 및 작업자 개인위생에 대해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원료수삼과 제조 공정별 인삼의 경우 일반세균은 1.8~4.9 log CFU/g, 대장균군은 1.2~3.0 log CFU/g, 곰팡이는 0.8~4.1 log CFU/g으로 검출되었고, 병원성 미생물은 일부 시료에서 B. cereus만 미미한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특히 일반세균의 경우는 공정을 거치면서 오염도가 감소되어 완제품인 백삼에서는 2.7 log CFU/g, 홍삼에서는 1.8 log CFU/g으로 검출되었고, 곰팡이의 경우 홍삼 제조과정 중 증숙 후에 오염도가 증가하였다가 이후 공정에서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조설비와 작업 도구에서는 일반세균 1.7~4.7 log CFU/100 cm², 대장균군0.4~4.0 log CFU/100 cm², 곰팡이 0.9~4.2 log CFU/100 cm² 의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흙과 이물의 잔존할 가능성이 높은 세척기와 탈피기에서 비교적 높은 수치로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작업자의 개인위생에서는 일반작업자가 실 묶음 작업자에 비해 미생물 오염도가 대체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일부 작업자의 손에서는 S. aureus가 0.2~0.7 log CFU/hand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공중낙하균은 일반세균, 대장균군, 곰팡이만 미미한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인삼류 제품의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삼류의 가열 또는 건조 시 적절한 온도와 시간의 준수, 제조시설의 청결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과실류와 채소류 156점을 대상으로 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및 곰팡이에 대한 오염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과실류의 경우 재래시장에서 구입한 시료에서는 일반세균이 0.4~3.1 log CFU/g, 대장균군이 0.0~1.5 log CFU/g 범위로 검출이 되었고, 대형마트에서 구입한 시료에서는 일반세균이 0.6~3.0 log CFU/g, 대장균군이 0.0~1.7 log CFU/g 범위로 검출이 되었다. 채소류의 경우 재래시장에서 구입한 시료에서는 일반세균이 2.2~5.8 log CFU/g, 대장균군이 0.1~4.5 log CFU/g 범위로 검출이 되었고, 대형마트에서 구입한 시료에서는 일반세균이 2.2~5.4 log CFU/g, 대장균군이 0.1~4.4 log CFU/g 범위로 검출이 되었다. B. cereus는 재래시장의 과실류에서는 모두 불검출 되었으나 대형마트의 배에서 0.4 log CFU/g이 검출되었다. 채소류의 경우 재래시장 및 대형마트의 부추, 양파, 당근, 고구마, 시금치에서 각각 0.3~1.0와 0.3~1.5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S. aureus는 재래시장의 배에서 0.2 log CFU/g이 검출되었고, 그 외 병원성 미생물은 불검출 되었다. 곰팡이는 과실류와 채소류 각각 0.3~3.8 및 0.8~4.3 범위로 검출되었다.
부추의 위해요소관리를 위한 GAP 모델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부추 생산과정을 재배전 단계, 재배단계 및 수확·포장단계로 나누어 재배환경 (토양, 용수), 부추, 개인위생 시료에 대해 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의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위생지표 세균 중 일반세균은 토양 6.4~6.7 log CFU/g, 부추 4.6~5.1 log CFU/g, 개인위생 중 손과 장갑에서 각각 최대 3.3 및 5.4 log CFU/hand or cm²으로 검출되었고, 그 외의 시료에서는 2.7 log CFU/g (or mL, hand, 100 cm²) 이하로 검출되었다. 대장균군은 토양 3.9~4.2 log CFU/g, 부추 4.8~5.0 log CFU/g으로 부추에서 더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 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B. cereus만 용수를 제외한 시료에서 0.5~4.6 log CFU/g (or hand, 100 cm²)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곰팡이의 경우도 용 수와 일부 작업도구를 제외한 시료에서 2.1~3.8 log CFU/g (or hand, 100 cm²)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전반적으로 토양과 닿아 있는 부추에서의 미생물 오염도가 높게 확인되었으며, 이는 비교적 미생물의 오염도가 높은 토양으로부 터 교차오염이 발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부추의 생물학적 위해요소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 서는 토양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백두대간의 마루금일대에 자라는 소나무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21개 지역에서 48본 시료의 연륜을 분석하였다. 모든 지역의 소나무 연륜패턴이 서로 크로스데이팅 되어 우리나라 소 나무의 생장이 기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연륜연대기는 3개의 군집으로 구 분할 수 있었는데, 지역적으로 그리고 해발 고도에 따라 분류되지 않아 백두대간에 분포하는 소나무의 연륜생장은 지역이나 고도보다는 미소 (microsite) 생육환경에 따른 생장량의 대소에 따라 분류되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백두대간 소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월 강수량과 월 평균기온)와의 관계를 상관계수로 분석한 결과, 백두대간 소나무의 연륜생장은 강수보다는 기온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생장이 양호한 군 집이 기후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Urachal cancer is extremely rare and accounts for fewer than 1% of malignant neoplasms of the bladder. Urachal remnants persist from the bladder dome to umbilicus after birth, and urachal carcinoma may arise from any of these segments. The standard treatment for urachal cancer is primarily wide excision with extended partial cystectomy of the urachal mass, urachal tract and umbilicus, and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Nevertheless, prognosis is generally poor because early diagnosis is difficult and local invasions, distant metastasis, and recurrence frequently develop. The authors present a patient with recurred urachal adenocarcinoma, who was treated by partial cystectomy with lymph node dissection. One year after subsequen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she achieved complete remission.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on urachal adenocarcinoma is provided.
Chronic myeloid leukemia (CML) was a well-known myeloproliferative neoplasm and a disease of haemopoietic stem cells due to BCR-ABL fusion protein arising from a translocation t(9;22), known as the Philadelphia chromosome. Imatinib (Gleevec), a selective small molecule inhibitor of Bcr-Abl kinase, has been confirmed as the standard drug therapy for CML. Discovery of imatinib led to the availability of a molecular-targeted therapy as a new model of cancer treatment and challenged the molecular target cancer treatment trend from non-targeted cytotoxic chemotherapy. We reviewed the advancement of chronic myeloid leukemia treatment in the area of imatinib.
Amyloidosis is a disease caused by extracellular deposition of the fibrous protein amyloid in one or more sites of the body, leading to organ dysfunction and death. Its causes and pathogenesis are variable, with common histopathologic features. Amyloidosisis a rare disease, and usually present in the heart and frequentl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skin but is rarely encountered in lymph nodes. Amyloidosis in Waldenström’s macroglobulinemia (WM) is exclusively due to amyloid lightchain deposition. Only a few case of amyloidosis in WM have been reported. We report on one case that occurred independently of with Primary amyloidosis which involved only multiple lymphadenopathy and waldenstrom’s microglobulinemia involving bone marrow.
The goals of palliative chemotherapy are to improve overall survival an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relief of symptoms. On the other hand, chemotherapy has many side effects, such as, myelosupression, neuropathy,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infertility. On the many known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bleeding occurs in approximately 6-10% of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Most of bleeding associated with chemotherapy is due to local vessel damage and systemic process, such as, disseminatated intravascular coagulopathy or abnormalities in platelet function or number. This symptom led to worse progression of quality of life and severe stress state in patient and their attendant. Here,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chemotherapy- related bleeding in maxillary cancer patient and successful achievement of hemostasis using interventional endovascular therapy.
Development of two different histologic types of lymphoma in the same person is rare. Sequential lymphoma is defined as two different types of lymphoma occurring sequentially in the same person. In particular, sequential Hodgkin’s lymphoma (HL) following non-Hodgkin’s lymphoma (NHL) is extremely rare. A 63-year-old female diagnosed with B-cell NHL at the mass in T3 received treatment with an R-CHOP (rituximab,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vincristine and prednisolone) protocol for six cycles. However, 12 months later, the patient complained of a left neck mass and ex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Microscopically the biopsied tissue showed Reed-Stemberg cells and confirmed the diagnosis of HL.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BVD (adriamycin, bleomycin, vinblastine and dacarbazine) for four cycles. Although the possibility of a secondary malignancy cannot be excluded, this is a rare case of sequential Hodgkin’s lymphoma following Non-Hodgkin’s lymphoma.
The association between human parvovirus B19 and aplastic crisis in patients with hemolytic anemia, such as sickle-cell anemia and hereditary spherocytosis, has been well described. However, most cases of parvovirus induced-aplastic crisis in patients with hereditary spherocytosis have been reported in children or adolescents. We report on a 31-year-old female with pancytopenia who was diagnosed with aplastic crisis caused by parvovirus B19 infection in hereditary spherocytosis.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hereditary spherocytosis may initially present with aplastic crisis induced by parvovirus B19 infection in adults
Actinomycosis is a rare disease caused by the Gram-positive anaerobic filamentous bacterium, Actinomyces israelii. Due to its unusual clinical presentation, it is mainly diagnosed postoperatively. The risk of the disease increases with the use of intrauterine contraception device (IUD). A 46-year-old female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due to diffuse lower abdominal pain and had used an IUD until two weeks ago. Findings on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howed a large mass measuring approximately 9 cm, which was suspected of urachal cancer or omental sarcoma. After wide surgical resection, pathologic finding showed severe inflammation with sulfur granule, confirming abdominal actinomyc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