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남부에서 중력과 지형 자료를 바탕으로 모호면구조와 이것의 변형을 계산하였다. 천부와 심부 지각의 중력효과를 분리하기 위해 지각 평형의 개념과 유효 탄성 두께를 이용하여 설계한 필터를 활용하였다. 모호면의 변형 구조에서 세 가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SKTL(South Korean Tectonic Line)과 나란한 모호면 습곡 구조가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영남 육괴와 경기 육괴의 충돌과 이후에도 반복된 횡압력 성분의 힘과 관련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에 한반도에서 또 다른 대륙 충돌 경계로 알려진 임진강대를 따라서는 특별한 변형 구조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경상 분지 아래에서 모호면이 많이 상승되어 있는 것이 발견되는데, 이는 대륙 충돌에 의한 횡압력과 함께 마그마 물질의 하부점착에 의한 부력이 같이 작용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태백 산맥의 동쪽으로 모호면이 상승되고 서쪽으로는 침강된 것으로 보이는 구조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동고서저형 지형의 형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이며, 동해와 울릉 분지의 열림이 그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계산된 모호면의 변형 구조는 지진의 분포나 GPS 측정에 의한 지각의 운동과도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SKTL 을 경계로 횡압력이 비록 미약하나마 여전히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모호면의 변형은 아직도 진행 중일 것이라 예상된다.
        6,000원
        5.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GPS를 이용한 서울-제천지역에 대한 대류층 천정 지연 분석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기상조건하에서 정확도를 보장하는 GPS 측위를 위하여 대류층 천정 지연과 GPS 정밀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Bernese 4.0소프트웨어로 산출한 대류층 천정 지연값의 증가시 GPS 측위 오차도 증가하였다. 대류층에 의한 오차는 평균 20 cm 였으며, 보정 모델 사용시 모두 5cm 범위내로 줄일 수 있었으며, 보정 모델 간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GPS 측위오차와 대류층 천정 지연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전선의 이동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는 GPS 기준망의 확장으로 가능할 것이다.
        4,000원
        6.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determined the precise three dimensional WGS84 Coordinates and the sea level height of Seou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SRAO).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simultaneous GPS observations at SRAO and Seoul GPS Reference Station(SGRS) of Korea Astronomy Observatory(KAO) for 3.5 hours from 17KST on October 27, 1999. We employed two different antennas, i.e., chokering antenna at SGRS of KAO and L1/L2 compact with groundplane antenna at SRAO. But we employed same type of receivers, i.e., Trimble 4000SSI at both observing places. The observed data were processed by GPSURVEY 2.30 software of Trimble with L1/L2 ION Free technique and broadcasting ephemeris of GPS Satellites because of very short baseline between SGRS of KAO and SRAO. We determined WGS84 latitude, longitude, height and the sea level height of SRAO with 37∘27′15.′6846N±0.′0004,126∘57′19.′0727E±0.′0002,204.89m±0.02m,181.38m±0.17m 37∘27′15.′6846N±0.′0004,126∘57′19.′0727E±0.′0002,204.89m±0.02m,181.38m±0.17m , respectively.
        3,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