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타이밍, 리듬, 동기화 등의 기능들을 훈련시키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Interactive Metronome(IM) 훈련을 설명하고 IM 훈련 효과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기전을 근거로 제공하여 다양한 연구영역에 서의 접근과 새로운 연구 문제를 도출하고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국내⋅외 학술지에서 발간된 논문들 중 IM 훈련을 적용한 논문을 검색하였다. 국내 학술지 web 검색엔진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 한국학술정보서비스, 디비피아를 이용하였으며 국외 학술지는 SCOPUS, PubMed, Google scholar를 이용하였다. 검색 주제어는 ‘interactive metronome’, ‘metronome training’ 그리고 ‘synchronized metronome’을 검색하였다. 결과: IM 훈련 효 과에 대한 3가지 신경생리학적 기전 중 첫 번째는 뇌 시계와 시간적 정보 처리로서 IM 훈련을 통해 주요 뇌 영 역 일반 신경인지 메커니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둘째, 뇌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과 동기화로 반복적으로 수행 되는 IM 훈련은 뇌신경 네트워크와 뇌 영역 간의 연결성 및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촉진된다. 셋째는 주의 조 절 시스템 기능의 향상이다. IM 훈련은 내⋅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방해 요소에 대한 통제력을 높일 수 있으며 고 도의 사고와 주의집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 IM 훈련은 장애 및 질환 영역과 스포츠 및 운동행동 영역에 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타이밍, 리듬, 동기화 등의 기능들을 향상시킨다. 또한, IM 훈련은 선행연구들을 통 해 뇌신경 가소성이 일어나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2.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수평-수직 착시(horizontal-vertical illusion)가 지각과 동작 제어 사이의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시각적으로 지각된 결과와 운동수행에서의 결과가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C 대학 체육학과 골프 전공자들로 KPGA와 KLPGA에 소속된 프로선수들 총 16 명을 선정하였다. 실험 과제는 총 두 가지가 실시되었다. 첫 번째는 지각 판단 과제로 수평-수직 착시를 세 가지 조건(200cm, 400cm, 600cm)으로 제시하여 시각적으로 선분의 길이를 확인한 후, 시각이 차단된 상태에서 보행하고 판단된 위치에서 보행을 멈추는 과제를 각 조건에 따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각각 10회씩 30회를 실시 하였다(총 60회). 두 번째 과제는 골프 퍼팅으로 지각 판단 과제와 동일한 세 가지 조건에서 진행되었다. 두 과제의 수행은 수평-수직 착시 조건에 따른 과제의 항상 오차(constant error: CE)를 통해 분석되었다. 산출된 자료는 2(수평-수직 착시 여부) x 3(착시 조건)에 의한 요인설계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factorial design) 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수평-수직 착시 여부와 착시 조건에 따른 지각 판단 과제와 골프 퍼팅 거리는 모두 시각적 착시에 의해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착시 현상으로 수평 방향에 비해 수직 방향이 길게 지각되었으며 골프 퍼팅도 실제 길이 보다 길게 수행되었다.
        3.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Interactive Metronome(IM)훈련이 농구 패스 타이밍 정확성과 일관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농구 패스 타이밍 정확성과 일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비숙련자 20명을 대상으로 IM훈련을 적용한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할당하였다. 실험 과제는 불빛 자극 3가지 이동속도 조건(2㎧, 4㎧, 8㎧)에 대해 불빛의 도착지점(표적)과 참여자가 패스한 볼이 시·공간적으로 일치되도록 하는 과제를 20회씩 총 60회를 시행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6주간 12회 걸쳐 IM 훈련을 적용하였으며 훈련 종료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패스 타이밍 수행력은 시각 타이밍 과제의 절대오차와 가변오차를 통해 분석되었다. 산출된 자료는 시기에 반복이 있는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ime)을 통해 분석되었다. 훈련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파지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IM훈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농구 패스 타이밍 정확성과 일관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이밍 수행능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