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먹거리의 국제화에 따라 식품이나 식품원료의 수입이 급증하고 식품규제에 대하여 국제적 조율이 강조되는 등 먹거리를 둘러싼 환경이 크게 변하고 있다. 식품산업도 고품질을 유지하면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해졌는데 안전성 확보에는 미생물학적, 물리적 위해(이물질 혼입 등)와 함께 식품첨가물, 잔류농약 등의 화학적 위해분석을 빠뜨릴 수 없다. 이들 먹거리의 안전성평가기술의 대표적인 것이 HACCP이다. HACCP절차는 식품가공과 식품저장의 모든 형태에서 식품안전을 확인하는 필수요소이다. 전통적인 최종제품검사가 품질결함을 찾아내기 위한 것이라면 HACCP은 식품의 안전성 결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품계통이나 가공인자 그리고 실제운전에 규제사항을 설계하는 것이다. 본보는 HACCP시스템에 필요한 기기를 중점적으로 요약한 것이다.
        4,000원
        2.
        199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추의 연화현상을 연구하고자 건조중에 세포벽 구성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알코올 불용성 물질, 세포벽 및 수용성 물질의 함량은 건조 6일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건조 9일째에는 알코올 불용성 물질과 세포벽은 감소하였으나 수용성 물질은 증가하였다. 펙틴질과 헤미셀룰로오스는 건조 6일까지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건조 P일째에는 펙틴질과 알칼리 가용성 헤미셀룰로오스가 감소한 반면 산가용성 헤미셀룰로오스는 증가하였다. 셀룰로오스는 건조 중에 증가하였다.
        3.
        199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포들은 변색기까지는 아주 조밀하게 결합하고 있었으나 완숙기에서는 세포벽 중층이 다소 분해되어 둥근 형태의 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벽 변화는 녹숙기에서는 중층을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세포벽이 발달되지 않았으며 변색기에서는 중층을 관찰할 수 있었고 완숙기에서는 분해되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의 조직은 녹숙기에서는 mitochondria, endoplasmic reticulum 둥의 조직과 소액포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4.
        199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was investigated the changes of the cell wall components, enzyme activities during ripening of jujuba fruits for elucidating the softening metabolism of jujuba fruits. Firmness were decreased during ripening. Moisture content did not show any notable cahanges until ripening stage but they decreased a little In overripe jujuba fruits. Polygalacturonase activities were not detected at nature green stage and -galactosidase activities were until turning stage. But polygalacturonase activities in ripening and overripening were 51.31 and 100.72 units/100g-fr, wt. respectively. -galactosidase activities were 16.05 and 182.55units/100g-fr. wt. in the same stages. The content of water-soluble protein was increased in overripening. Stage the contents of cell wall and alcohol-insoluble material were. decraesed during maturation, but water-soluble material was increased. The pectin and alkali-soluble hemicellulose were increased until ripening stage, but decreased in overripe jujube fruits. The total pectin and insoluble pectin during ripening, but decreased in overripe jujuba fru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