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부하 상태에서의 족관절 검사 시 양측 족관절을 동시 촬영 했을 때와 편측 족관절을 나누어 각각 촬영 했을 때, 족관절염의 평가에 해당되는 측정값들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양측을 동시촬영 할 때, 다리를 모아 촬영하게 됨으로 Tibia axis축이 기울게 되고, 족관절의 external rotation으로 인해 족관절의 각도와 joint space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양측 족관절 동시촬영과 편측 족관절을 나누어 촬영한 영상을 PACS system 이용하여 족관절 평가에 이용되는 TAS, TT, TMM, JSW, Tibiotalar joint, Fibulotalar joint의 측정값을 구한 후 통계 분석 하였다. 각도 측정에 있어, 체중부하 양측 족관절 동시 촬영한 검사의 오른쪽 족관절의 TAS, TT, TMM 측정값은 87.24°, 6.44°, 26.67° 이였으며 편측을 나누어 촬영한 오른쪽 족관절의 TAS, TT, TMM은 88.93°, 2.41°, 19.77° 였다. 양측 족관절 동시촬영의 왼쪽 족관절 TAS, TT, TMM의 측정값은 87.25°, 5.71°, 23.92° 였으며 편측을 나누어 촬영한 왼쪽 족관절의 TAS, TT, TMM은 88.75°, 3.19°, 21.45° 였다. 양측 족관절을 동시촬영한 검사와 편측을 나누어 촬영한 족관절과의 비교 시, 양측을 동시 촬영한 검사에서 족관절 평가의 중증도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세로 인한 측정값의 왜곡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너비 측정에서 JSW, Tibiotalar joint는 검사 자세로 인한 측정값들 간의 유의성은 없었지만, Fibulotalar joint 의 양측 족관절 동시 검사에서 오른쪽 0.98mm 왼쪽 1.22mm 로 나타났고, 한쪽씩 촬영한 오른쪽 족관절에서는 1.6mm 왼쪽 1.22mm로 측정 자세로 인한 측정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족관절염 평가를 위한 체중부하 족관절 검사시 양측을 동시에 검사하기 보다는 각각의 족관절을 나누어 촬영하는 것이 족관절염 평가값에 왜곡을 최소화 하며, 측정값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사회 변화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전문적인 학생상담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독 문제에 대한 학교의 상담역량 개발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인터넷·게임을 포함한 청소년의 인터넷 및 게임 중독관련 상담 정책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 및 게임 중독 결정 요인과 인터넷·게임중독예방을 위한 전문상담교사와 교사 훈련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청소년들의 인터넷 및 게임 중독에는 자기관련 변인과 정서변인 등 심리적 구인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학교 교사를 위한 상담역량 개발 연수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해 보면 다양한 상담 기법과 실용적 교육내용을 포괄하는 교원 연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문가 의견 수렴 방식인 델파이 패널 조사를 활용하여 미디어 중독과 관련된 교원 연수, 학교 현장과 기관의 역할 및 비전 등에 관해 학교 교사와 상담사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우선 추진 요구과제로 교사 및 상담원 등 일선 학교에서의 실무자들은 미디어 중독 학생들을 위한 구체적 상담기법이나 교육법, 대처법 등 실용적인 교육내용 제공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교원 연수 프로그램에서도 대부분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내용으로 좀 더 확대하거나 유지시킬 것이 요구된다. 연수 프로그램 내용구성 외에도 교사·상담사들은 담당기관과 기구의 정책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특히 중독 학생들에 대한 단발성 상담이 아닌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추수 관리와 현실과 괴리되지 않도록 상담 장면과 삶의 연계성 유지 등을 통해 상담의 내실화를 꾀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가정학습에서 배운 내용을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학습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시에 소재한 7개 초등학교 4, 5, 6학년 795명을 대상으로 연구 취지와 실시 방법을 사전에 설명한 후 학습자 배경 변인, 학습자 내적 특성, 교육내용 및 설계, 학습 수행 환경, 학습 전이 등의 관련 검사를 실시하여 786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한 78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 내적 특성, 교육 내용 및 설계, 튜터 지원, 사이버가정학습 수행 환경, 학습만족도가 학습 전이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 전이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성적 향상에 대한 기대와 사이버가정학습을 학습할 수 있는 준비 자세 등 학습자 내적 특성을 사전에 잘 갖출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학습동기 유발 전략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학습하도록 지원하는 튜터의 역할과 사이버 상에서 안정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시스템 환경이 중요하므로 무엇보다도 효율적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 주어야 한다. 셋째, 학교 수업과 연계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은 물론, 학습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이버가정학습 설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을 가장 잘 적용할 수 있는 초등학교 통합교과와 접목함으로써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교과 수업 방안을 탐색하고 구체적인 스토리텔링 전략을 모색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의 개념을 단순히 스토리(Story)를 이야기하는(telling) 차원에서 벗어나, 하나의 스토리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Story Writing, Story Telling, Story Showing, Story Doing, Story Playing, Story Singing, Story Drawing, Story Planning 등 여러 가지 표현 방식으로 의미를 구성 또는 창조(making)하는 차원으로 확장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교과 수업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주제 중심의 통합교과 수업은 하나의 단원을 중심으로 주제 만나기, 주제 학습하기, 주제 학습 마무리하기의 단계에 따라 스토리텔링 활동을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교과 수업 전략은 표현활동, 탐구활동, 실천활동 등으로 구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셋째, 통합교과 중 ‘가족’ 주제에서 탐구 활동 모형으로 적용할 수 있는 ‘부모님께 사랑의 마음 전하기’ 차시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활용한 수업 전략은 가족에 관한 영상을 보고 동기 유발하기(Story Telling), 부모님에 관한 영상과 이미지를 보고 부모님의 소중함 알기(Story Showing), 부모님께 고맙다고 미안한 마음 전하기(Story Writing), 부모님을 생각하며 노래부르기(Story singing), 영상편지로 부모님께 사랑의 마음 전하기(Story Making) 등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수학영재교육원 선발대상자의 선행학습 경험과 가정환경이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첫째, 수학영재교육원 선발대상자의 합격여부에 따른 가정환경의 차이와 선행학습 정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둘째, 수학교과의 선행학습 경험 및 가정환경과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며 셋째, 수학영재교육원 선발대상자의 선행학습 경험과 가정환경이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정한 의미의 수학영재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선행학습의 경험으로 인해 상위 학년이나 학교 수준의 문제를 출제하여 선발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한 과정의 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둘째, 심리적 가정환경이 수학교과의 선행학습 경험과 물리적 가정환경보다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와 인내심을 높일 수 있는 심리적 가정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셋째, 심리적 가정환경은 수학교과에 대한 인내심보다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학교과 특성상 끈기와 집착성을 가지고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끝까지 해결하려는 수학교과에 대한 인내심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에서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학습자 특성, 교사 특성, 학습환경 특성, 학습내용 특성)이 학습효과(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의 학습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 학습자에 대한 칭찬이나 격려, 학습자의 질문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 학습자에 대한 관심 및 배려 등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자질이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을 지도하는 교사는 다양한 칭찬이나 보상 등의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 학습자가 교사를 바라볼 경우, 긍정적인 시각이나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교사로서의 열정과 사랑도 필요하다. 셋째,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을 받는 학습자가 컴퓨터 게임을 하는 시간을 줄이고, 컴퓨터 및 인터넷을 통해 학교 수업 시간에 학습할 수 있는 내용을 검색하고, 교과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