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체육교육과정 특성화학교의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파악하여 개선 및 지원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체육교육과정 특성화학교 운영 문서, 운영 전문 가 면담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계열로 진 학하려는 일반 학생들을 위한 고등학교 체육 선택과목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체육특성화학교 운영 유형 중 <과목편성형>에 대한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이 보완되어야 한다. 셋째, 체육진로 교육 프로그램이 체험 중심으로 강화되고, 지역 및 관련 직업 분야와의 연계를 높이도록 지원해야 한다. 넷째, 운동기능 측정 및 실기 연습을 위한 장비 및 용기구가 충분히 구비되도록 예산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체육교육과정 특성화학교가 모든 시도교육청에서 운영되도록 하는 정책 적 노력과 체육특성화학교 운영 현황 파악이 매년 이루어져 이를 근거로 체육계열 진로진학 교육의 내실화에 필요한 정책 개선 및 지원 사항을 파악해야 한다.
        2.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개정된 초등학교 생존수영교육 표준프로그램의 변화를 이해하고, 전체 학년 확대에 따른 개선 및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존수영교육 표준프로그램 문서, 초등학교 교사 대상 설문, 수영교육 관계자 면담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정된 초등학교 생존수영교육 표준프로그램은 목표 및 내용 영역은 기존과 유사하지만, 간접체험 위주였던 1~2학년 표준프로그램을 직접 체험을 강조한 물 적응 활동과 물놀이 교육 중심으로 신설하고, 5~6학년에서 실제 상황에서의 생존수영능력을 강화하였다. 둘째, 생존수영교육 개선을 위해 수영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을 강화하고, 입수 중심의 수영교육은 재고되어야 하며, 체육과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셋째, 초등 수영교육 담당교사와 수영강사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초등교사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 넷째, 1~2학년 수준에 적합한 수영교육장을 확대하고, 수영교육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