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andardize the cooking methods of Omija-Pyun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starch densities (6% 7%, 8%, 9%) on the texture and taste of Omija-Pyun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as follows: 1) It was better for Omija to soak for 18 hours. The most favorite Mungbean starch density of 7% of Omija-Pyuns has the degree of lightness of 18.90, the degree of redness of 19.18, and the degree of yellowness of 3.98. 2) The Brix of syrup used for Omija-Pyuns was 49.4%. 3)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exture through Instron, if Mungbean starch density is increased, its hardness also increase. Each of the Omija-Pyuns (6%, 7%, 8%, 9%, in density) has showed its effection (p<0.05). 4) The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Omija-Pyuns produced with Mungbean starch density of 7% was most preferred in appearance and overall taste, but it did not show the statistical effection (p<0.05) from the Omija-Pyuns produced with Mungbean starch density of 8%. The flavour was highest in Omija-Pyuns of 6%, and as the density was increased, the flavour decreased.
        4,000원
        2.
        199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oktanbyung, a traditional rice cake, was named in old literature, since from old times its taste was so good that one was not able to eat it without much regret. To suggest its standard preparing method, we prepared it by 0%, 10%, 15%, and 20% of the moderate standard of ground pine nuts which had much influence on its own special soft textu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was as follows: The water content of Seoktanbyung was 31.62~34.62%. The degree of colour was L value: 48.17~56.88, a value: 6.07~8.24, and b value: 12.67~15.25,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addition of ground pine nuts was, L value and a value were more or less decreased, but b value was increased. The measured result of texture was: as for hardness and gumminess, there was a significance (p〈0.05) between Seoktanbyung with and without ground pine nuts, and as for cohesiveness, there was a significance (p〈0.05) between Seoktanbyung added 20% of ground pine nuts and another material, but each material showed a similar value of measure.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was: as for sweetness and flavor, there was no significance among material, so ground pine nuts had no influence on the sweetness and flavor of Seoktanbyung, and as for crumbness and chewiness, there was a significance between Seoktanbyung with and without ground pine nuts. The general degree of the taste was: Seoktanbyung added 20% of ground pine nuts was the highest among others.
        4,000원
        3.
        2018.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IPA를 활용하여 학교현장 실습 전· 후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역량 중요도와 실행역량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4학년 106명(A대학 40명, B 대학 66명)이다. 이를 위해 교사역량 질문지를 사용하여 중요도와 실행역량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빈도분석과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유아와 직접적인 상호작용, 교육과정과 수업계획, 일과운영, 교사로서의 열정은 학교현장실습 전과 후, 중요도와 실행역량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 후에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한 계획, 교직윤리관 형성이 중요도와 실행역량을 높게 인식하였다. 유아관찰과 평가, 건강과 영양지도, 실습 후 교육활동 목표 내용 평가와 문서양식에 적합한 내용 기술, 지역사회 기관, 전문가와의 협력 역량은 개선과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방법, 평가결과 기록, 평가의 활용,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역량은 중요도와 실행역량 인식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실습전과 후에 모두 실행역량에 대한 인식이 높고 상대적인 중요도는 낮게 인식한 역량은 다양한 흥미영역 구성이었으며,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한 계획과 목표 유아흥미 개선이 포함된 마무리와 평가는 유지 또는 개선이 필요한 역량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원 양성 교육과정에서 학교현장실습 전 교육과 실습 후 어떠한 교육과 지원방안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5.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30명으로 2년 동안 이루어진 장기연구이다. 참여자들이 2학년때와 4학년때(동일한 자) ‘유치원교사는 00이다’라는 문항을 통해 이미지를 살펴보았고 이미지변화의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4학년이 되어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과 양적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에 대한 이미지는 교육관이 확고한 자, 부모님과 같은 자, 유아발달 전문가, 다재다능한 자, 교수자, 건강한자로 분석되었고 학년이 올라가면서 유치원 교사 이미지는 변화하였다. 즉, 부모님과 같은 자의 이미지는 증가하였고 다재다능한 자의 이미지는 감소하였다. 교수자의 이미지는 매우 구체적이고 전문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이미지를 변화하게 한 요인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습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보조교사, 대학교 수업, 부모님, 유아관련 직업경험, 매스컴의 영향이었다. 예비교사들에게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여 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확고히 하고 토론해보는 반성적 시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