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ABA(γ-aminobutric acid)는 비단백질성 아미노산으로 뇌기능 촉진, 신경안정 및 혈압저하 효과 등의 생리 활성 기능물질로 알려져 있다. GABA 고함유 배추김치를 제조하기 김치제조 시 사용되는 부재료로 표고버섯, 느타리, 팽이, 큰느타리, 양송이 등 국내산 버섯류를 수집하여 열수 및 5% trichloroacetic acid 로 추출하고 HPLC을 이용하여 GABA 함량을 분석하였다. 버섯류 중에는 양송이 39.46 mg 100 g-1, 큰느타리 31.63 mg 100 g-1, 느타리 70.75 mg 100 g-1로 순으로 느타리 버섯이 가장 높은 GABA 함량을 나타내어 김치 부재료로 사용하였다. 느타리 버섯이 함유된 김치육수에 GABA 생성 Lactobacillus 유산균을 접종하고 30°C에서 24시 간 발효시킨 육수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4°C에서 숙성 기간별 GABA 및 glutamic acid 함량변화를 분석한 결과, 김치는 초기에 비해 19일 후 GABA 함량이 88.59 mg g-1 증가하였고, 김치국물도 173.79 mg 100 mL-1의 증가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배추김치 제조시 부재료로 느타리 버섯과 실온에서 Lactobacillus 균을 접종하여 발효한 육수를 사용시 배추김치의 GABA함량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2.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높은 염 농도와 알칼리성 특성으로 식생토양으로 활용에 어려움이 있는 간척지 토양을 복원하고 식생회복 을 목적으로 양송이 퇴비 와 미 발효 양송이 수확 후 배지를 새만금 간척지 토양과 천수만 간척지 토양에 복토, 혼합 한 후 각 토양의 이화학성분석과 식생회복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척지 토양의 이화학성 분석 결과, 새만금 토양은 pH 8.5, Na+ 함량은 1.4 cmol+/kg으로, 천수만 토양은 pH 7.2, Na+ 함량은 0.8 cmol+/kg의 특성을 보였다. 수확 후 배지 처리에 의한 간척지 토양의 중화 효과와 벼 재배실험을 통한 식생성장 상태를 8주 간 모니터링 하면서 토양의 미생물 생장과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무처리에 비해 처리 수확 후 배지 처 리구에서 벼의 식생피복율과 성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구의 경우 천수만 토양이 새만금 토양보다 생장효과가 다소 높았다. 또한 복토 및 식생 후 새만금 토양의 pH는 8.5에서 7.4로 중화 되었으 며, Na+ 함량도 0.9 cmol+/kg으로 감소되었으나, 천수만 토양은 pH 7.0, Na+ 함량은 0.6 cmol+/kg의 특성을 보임으 로서 수확 후 배지 처리에 의한 간척지 토양의 중화 효과와 벼 재배실험을 통한 염농도 저감 효과를 보였다.
        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auxin-producing bacteria (A-1) was isolated from soils of Oyster mushroom farmhouse in Daejeon city, South Korea. The strain A-1 was classified as a novel strain of Ochrobactrum anthropi based on a chemotaxanomic and phylogenetic analyses. The isolate was confirmed to produce indole-3-acetic acid (IAA), one of auxin hormones, by TLC and HPLC analyses.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IAA, 5.6 mg L-1 was detected from the culture broth of O. anthropi A-1 incubated for 24 h at 35oC in R2A broth containing 0.1% L-tryptophan. To investigate the growth-promoting effects to the crops, the culture broth of O. anthropi A-1 was inoculated to water cultures and seed pots of mung bean as well as lettuce. In consequence, the adventitious root induction and root growth of mung bean and lettuce were 2.7 and 1.4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non-inoculated, respectively.
        4,000원
        4.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hypoglycemic effects of mulberry leaves extract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abilities on glucose uptake in C2C12 myotubes and 3T3-L1 adipocyte. Glucose uptake of the extracts were identified to be enhanced by bio-conversion using cellulolytic enzyme like Viscozyme. Methods and Results : The mulberry (Morus alba L) leaves were extracted with 30% ethanol or hot water. The hypoglycemic compounds such as Moracin C and, Quercetin and 1-Deoxynojirimycin were identified from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The extracts were fermented using kinds of celluolytic enzymes, which were vicozyme, pectinase, β-glucosidase and xylanase,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ents of hypoglycemic constituents in the extracts. The hypoglycemic effects of the fermented extract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abilities on glucose uptake in C2C12 myotubes and 3T3-L1 adipocyte.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fermented with only Viscozyme were identified to increase glucose uptake in C2C12 myotubes and 3T3-L1 adipocyte by supplement of the concentration of 10 μM extracts, compared to insulin as control. However, bio-conversion effects by other enzymes were not shown in the treatments, suggesting hypoglycemic constituents in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can be conversed to more active compounds by cellulolytic enzyme treatment like viscozyme.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the hypoglycemic constituents in mulberry leaves extracts can be conversed to more active compounds by cellulolytic enzy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