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angover relieving effect of algae and plant complex extract. The complex extract showed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effec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high antioxidant capacity (59.48%) when administered at 120 μg/mL. In addition,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omplex extract. A locomotor activity test with an alcohol-complex extract mouse group showed improved motor activities over that of the alcohol-water group at 120 min post-administration. Blood was harvested from each mouse at 120 min post-administration then concentrations of alcohol and aldehyde were measured. The alcohol-extract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0.0001) alcohol (33.48 ± 0.59 μg/mL) and aldehyde (1.54 ± 0.13 μg/mL) concentrations than the alcohol-water 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angover relieving effects of complex extract results in increased motor activity of mice, which reduces the alcohol and aldehyde concentration in the blood.
        4,000원
        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ynergistic effect of single inoculation and co-inoculation of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PSB) Burkholderia metallica JH-7 and Burkholderia contaminans JH-15. Phosphate-solubilizing abilities of these strains were assessed by measuring phosphorus content in culture media that were singly inoculated or co-inoculated with these strains for 7 days. B. metallica JH-7 was found to release the highest content of soluble phosphorus (140.80 μg mL-1) into the medium, followed by single inoculation of B. contaminans JH-15 (135.95 μg mL-1) and co-inoculation of two strains (134.84 μg mL-1). The highest pH reduction, organic acid production, and glucose consumption were observed in the medium inoculated with B. metallica JH-7 alone compared with that in the medium co-inoculated with both the strains. Results of a plant growth promotion bioassay showed 17.4% and 7.48% higher leaf and root growth, respectively, in romaine lettuce inoculated with B. metallica JH-7 alone than in romaine lettuce inoculated with a control strai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single inoculation and co-inoculation of these strains with respect to phosphorus release and plant growth. Although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did not show the synergistic effect of phosphate solubilization by the PSB strains examin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reatment with PSB exerts a beneficial effect on crop growth.
        4,000원
        5.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ABA(γ-aminobutric acid)는 비단백질성 아미노산으로 뇌기능 촉진, 신경안정 및 혈압저하 효과 등의 생리 활성 기능물질로 알려져 있다. GABA 고함유 배추김치를 제조하기 김치제조 시 사용되는 부재료로 표고버섯, 느타리, 팽이, 큰느타리, 양송이 등 국내산 버섯류를 수집하여 열수 및 5% trichloroacetic acid 로 추출하고 HPLC을 이용하여 GABA 함량을 분석하였다. 버섯류 중에는 양송이 39.46 mg 100 g-1, 큰느타리 31.63 mg 100 g-1, 느타리 70.75 mg 100 g-1로 순으로 느타리 버섯이 가장 높은 GABA 함량을 나타내어 김치 부재료로 사용하였다. 느타리 버섯이 함유된 김치육수에 GABA 생성 Lactobacillus 유산균을 접종하고 30°C에서 24시 간 발효시킨 육수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4°C에서 숙성 기간별 GABA 및 glutamic acid 함량변화를 분석한 결과, 김치는 초기에 비해 19일 후 GABA 함량이 88.59 mg g-1 증가하였고, 김치국물도 173.79 mg 100 mL-1의 증가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배추김치 제조시 부재료로 느타리 버섯과 실온에서 Lactobacillus 균을 접종하여 발효한 육수를 사용시 배추김치의 GABA함량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6.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버섯의 종류 및 추출 방법에 따른 성분함량의 차이를 확인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발한 버섯의 종류는 시중에서 판매중인 표고, 큰느타리, 양송이, 느타리, 팽이, 목이, 만가닥, 아위, 황금송이 등 9종류이다. 추출은 열수 추출 및 EtOH 추출을 진행하였다. 열수 추출물은 각 버섯 100g을 각각 열배수인 1L의 증류수로 3시간, 121°C에서 열수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EtOH 추출물은 마찬가지로 100g의 버섯을 각 각 70% EtOH 1L로 24시간, 45°C에서 150rpm으로 진탕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은 HPLC 기기분석 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은 1-deoxynojirimycin(DNJ), γ-amino butyric acid(GABA) 등 유리아미노산, 유 기산 등이다. 분석 결과 모든 버섯의 열수 추출물과 EtOH 추출물 전부 DNJ는 검출되지 않았다. 추출물의 유기산 농도는 EtOH 추출물보다 열수 추출물에서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malic acid의 함량이 전체 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각 버섯의 열수 추출물 중 표고버섯의 총 유기산 함량이 14911.77 μg/mL로 가장 높았으며, 반대로 목이버섯의 총 유기산 함량은 556.17 μg/mL로 가장 적었다. EtOH 추출물에서는 glutamic acid를 제외한 유기산은 거의 측정되지 않았다.
        7.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높은 염 농도와 알칼리성 특성으로 식생토양으로 활용에 어려움이 있는 간척지 토양을 복원하고 식생회복 을 목적으로 양송이 퇴비 와 미 발효 양송이 수확 후 배지를 새만금 간척지 토양과 천수만 간척지 토양에 복토, 혼합 한 후 각 토양의 이화학성분석과 식생회복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척지 토양의 이화학성 분석 결과, 새만금 토양은 pH 8.5, Na+ 함량은 1.4 cmol+/kg으로, 천수만 토양은 pH 7.2, Na+ 함량은 0.8 cmol+/kg의 특성을 보였다. 수확 후 배지 처리에 의한 간척지 토양의 중화 효과와 벼 재배실험을 통한 식생성장 상태를 8주 간 모니터링 하면서 토양의 미생물 생장과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무처리에 비해 처리 수확 후 배지 처 리구에서 벼의 식생피복율과 성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구의 경우 천수만 토양이 새만금 토양보다 생장효과가 다소 높았다. 또한 복토 및 식생 후 새만금 토양의 pH는 8.5에서 7.4로 중화 되었으 며, Na+ 함량도 0.9 cmol+/kg으로 감소되었으나, 천수만 토양은 pH 7.0, Na+ 함량은 0.6 cmol+/kg의 특성을 보임으 로서 수확 후 배지 처리에 의한 간척지 토양의 중화 효과와 벼 재배실험을 통한 염농도 저감 효과를 보였다.
        8.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양송이 재배기간에 따른 오염발생 원인과 환경요인을 분석하고, 또한 재배농가별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충남 부여군 석성면 소재 양송이 재배 농가 4곳을 선정하여 각 재배사와 재배사 주변의 환경조건과 재배기 간별 각종 미생물 과 해충의 발생 및 밀도를 조사하였다. 재배농가별 양송이 퇴비의 미생물상의 분포는 총세 균수는 10 6 -10 7 cfu/g, 사상균은 10 2 -10 3 cfu/g 수준으로 농가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농가별 재배 사 내의 평균온도는 14-16°C, 습도는 90-94%, CO2 함량은 1,000-1,400ppm 수준이었다. 초발이 기간에 비해 재 배 4주기 후 평균적으로 총세균수는 10 5 -10 6 cfu/g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사상균은 10 3 -10 4 cfu/g 수준으로 증가 하였으며, 농가 간에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재배기간별 재배사 내,외의 낙하균 밀도는 재배 전 기간을 통해 평균적으로 세균은 10 3 -10 4 cfu/g, 사상균이 10 2 -10 3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Pseudomonas 속 및 방선균도 소량 검출되었다. 양송이 재배사 및 수확한 양송이에서 5종의 식품 유해 미생물들(Salmonella sp,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0157,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 결과 모든 농가에서 E. coli 0157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Listeria monocytogenes 와 Staphylococcus aureus 는 일부 농가에서 검출되 었다. 또한 양송이 재배기간별 병해충 발생 유무를 확인한 결과, 푸른곰팡이(Trichoderma 속)은 1농가에서 재 배 3주기 이후 발생하였나, 버섯파리는 1 또는 2 주기부터 모든 농가에서 발생하였고, 괴균병(Diehliomyces 속) 과 갈반병(Pseudomonas 속)도 2주기 이후에 재배농가에서 일부 발병이 확인되었다.
        9.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송이 수확후 배지로부터 lipase 생산균을 분리하여 16S rDNA 유전자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Burkholderia cepacia ATCC와 99.8% 상동성을 나타냈다. 분리균 B. cepacia 배양여액 중에 함유된 효소단백질을 70% 황산암모늄으로 침전시켜 crude lipase를 회수하였다. 고정화 효소를 제조하기 위하여 crude lipase(CL)과 Novozyme lipase(NL)을 cross-linking 법에 의해 Silane화된 Silicagel에 고정화 시킨 결과, immobilized CL(ICL)은 61%, immobilized NL(INL)은 72%의 잔존활성을 유지하였다. 중성지방 Canola oil을 알칼리(NaOH) 촉매와 효소(CL 및 ICL) 촉매를 이용하여 지방산(fatty acid)으로 분해한 후, methanolysis에 의한 에스터전이반응(trans-esterification)을 통해 지방산으로부터 전환된 바이오디젤(fatty acid methyl ester, FAME)의 종류와 수율을 비교 하였다. 생성된 총 FAME 함량은 NaOH 781mg L-1, free lipase 681mg L-1, 고정화 lipase 598mg L-1순으로 높았으며, 지방산 조성별 FAME 함량은 linoleic acid(C18:1)가 약 50%로 가장 높았으며, stearic acid(C18:0)가 22%정도의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CL과 ICL 모두 불포화지방산 FAME의 조성비는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포화지방산 FAME의 조성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lipase 효소가 transesterification 활성과 interesterification 활성을 동시에 가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고정화효소의 잔여활성은 반복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4회 반복 후, 초기 활성도에 비해 ICL은 34% 와 INL은 21%까지 감소하였다.
        4,000원
        11.
        202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used seawater temperature data, measured in the Garolim Bay, to analyze temperature variation on an hourly and daily basis. Lagrange’s interpolation using before and after data was applied to restore nonconsecutive missing temperature data. The estimated error of the data restoration was 0.11oC. Spectral analyses of seawater temperature showed significant periodicities of approximately 12.4 h (semidiurnal tide) and 15.0 d (long-period tide), which is close to those of M2 and Mf partial tides. Variation in seawater temperature was correlated more with tidal height than with air temperature around the Garolim Bay. In June and December, when the seawater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Garolim Bay was very large, the periodicities of 12.4 h and 15.0 d were highly promin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change of seawater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Garolim Bay induced variations in seawater temperature owing to tide. Understanding temperature variation because of tide helps to prevent abnormal mortality of cultured fish and to predict seawater temperature in the Garolim Bay.
        12.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1-Deoxynojirimycin (DNJ) is a representative compound of the antidiabetic constituent in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The hot water extracts of mulberry leaves were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in order to analysis the changes of the DNJ contents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Methods and Results : The mulberry leaves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121℃, 3 hr). The extracts were fermented with nine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Lactobacillus acidophilus,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ents of DNJ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DNJ contents in the fermented extracts were determinated by HPLC analysis. The α-glucosidase inhibition was mesured by comparing dose-inhibition curves of α-glucosidase and IC50 value. The DNJ contents after fermentation have increased in the almost fermented extracts. Especially, DNJ of the extracts fermented with L. acidophilus was increased from 8.38 ㎍ ㎖ -1 to 21.77 ㎍ ㎖-1. IC50 values of the α-glucosidase inhibition were shown to be decreased in the fermented extracts. The extracts fermented with L. casei KCTC 3109 was determined at 290.04 ㎍ ㎖-1, resulting it is lower about 140 ㎍ ㎖-1 than 429.76 ㎍ ㎖-1 of the control.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of mulberry leaves extracts can more enhance the hypoglycemic activities such as DNJ contents.
        13.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hypoglycemic effects of mulberry leaves extract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abilities on glucose uptake in C2C12 myotubes and 3T3-L1 adipocyte. Glucose uptake of the extracts were identified to be enhanced by bio-conversion using cellulolytic enzyme like Viscozyme. Methods and Results : The mulberry (Morus alba L) leaves were extracted with 30% ethanol or hot water. The hypoglycemic compounds such as Moracin C and, Quercetin and 1-Deoxynojirimycin were identified from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The extracts were fermented using kinds of celluolytic enzymes, which were vicozyme, pectinase, β-glucosidase and xylanase,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ents of hypoglycemic constituents in the extracts. The hypoglycemic effects of the fermented extract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abilities on glucose uptake in C2C12 myotubes and 3T3-L1 adipocyte.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fermented with only Viscozyme were identified to increase glucose uptake in C2C12 myotubes and 3T3-L1 adipocyte by supplement of the concentration of 10 μM extracts, compared to insulin as control. However, bio-conversion effects by other enzymes were not shown in the treatments, suggesting hypoglycemic constituents in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can be conversed to more active compounds by cellulolytic enzyme treatment like viscozyme.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the hypoglycemic constituents in mulberry leaves extracts can be conversed to more active compounds by cellulolytic enzymes.
        14.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로미 열매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 활성과 간 손상 동물모델에서의 항산화 효소 활성 측정을 통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 시로미 열매 추출물은 12.0 ug/ml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활성을 보였고, 1 mg/ml의 농도에서 56.1%의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CCl4로 유도한 간 손상 동물모델에서 serum ALT 및 AST의 수치를 감소시켜 간보호 효능을 나타내었고, 간 조직의 지질 과산화를 최대 73% 억제하였으며, 항산화 효소인 SOD 및 catalase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15.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다래 동결건조물을 2.5%, 5% 농도로 사료와 혼합하여 실험동물에 투여하고 실험 5일간 loperamide(2 mg/kg/day, s.c.)로 변비를 유도하여 참다래의 변비치료 및 예방 효과를 측정하였다. Lopermide를 단독 투여한 군은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변의 개수 및 중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원위 결장 내 변 잔류의 증가 및 cecocolonic segment의 무게가 증가하였다. 참다래 동결건조물 및 loperamide를 투여한 군은 loperamide를 단독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변의 개수 및 중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원위 결장 내 잔류 변 및 cecocolonic segment의 무게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참다래가 in vivo에서 변비 개선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변의 수분 함량에서도 loperamide로 변비를 유발시킨 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참다래 동결건조물 투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조직학적 검사에서도 참다래 동결건조물 투여군의 원위 대장관에서 crypt cell내 점액의 증가와 장관내 분변의 점액질의 증가도 관찰되었다. In vitro 실험결과, 회장 적출 절편에서 참다래 동결건조물(2.5 mg/ml)을 전 처리 시 loperamide에 의한 장력과 진폭 억제가 부분적으로 차단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참다래 동결건조물의 변비 개선효과가 장의 운동성 촉진과 대장관 내 점액분비 증가에 의한 대장관 내용물의 이동성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1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참다래 과실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경세포주인 PC12 세포를 이용하여 참다래 과실추출물의 전처리가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유발되는 신경세포사멸을 억제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t-BHP에 의해 유도된 신경세포손상으로부터 세포사멸을 억제하여 세포생존도를 증가시켰으며 세포사멸로부터 형성되는 핵의 농축현상과 단편화가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Bcl-2 단백의 발현 증가, Bax 단백의 발현 감소, caspase-3의 활성, PARP 분해 단백(85KDa)감소, ERK, p38 활성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참다래 과실의 추출물은 신경세포증식효과를 통해 신경세포손상으로부터 유발되는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나타났다.